간염, 치주염, 뇌염 등은 많이 알려졌지만 '혈관염'을 들어본 사람은 드물다. 혈관 벽에 염증이나 손상이 생기는 것이 혈관염이다.
혈관염은 체내 면역세포가 정상세포를 공격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다. 드물게 알러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할 때도 있다. 염증 반응에 의해 혈관벽이 두꺼워지면서 혈액 흐름을 막거나, 반대로 혈관벽이 얇게 늘어나면서 혈관이 파열돼 심각한 출혈이 생길 위험이 있다.
혈관염이 생기면 피부발진, 고열, 근육통, 관절통, 식욕과 체중 감소, 피로감 등 비교적 흔한 증상이 나타난다.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해림 교수는 "혈관염은 체내 어떤 혈관에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혈관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던 조직에 허혈성 질환이 동반된다"며 "예를 들어, 뇌혈관을 침범하면 뇌경색이 나타나고 신경 주변의 혈관을 침범하면 뇌나 척수의 손상, 손발 저림이 생기거나 감각이 무뎌질 수 있다"고 말했다. 몸살 기운이 비정상적으로 오래 지속되거나, 원인 불명의 피부발진, 혈뇨, 객혈 등의 증상이 지속되면 혈관염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대표적인 전신성 혈관염으로는 다카야수 동맥염, 베게너스 육아종증, 헤노크쇤라인 자반증 등이 있다. 증상은 발병 혈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다양한 검사가 필요하다. 문진, 신체검진, 혈액검사, 영상 검사, 조직 검사, 소변 검사 등을 진행해 종합적으로 진단을 내린다.
김해림 교수는 "흔하지 않고 진단도 어려운 편에 속하는 병이지만, 조기 진단과 적극적 치료가 빠르게 진행되면 심각한 합병증을 막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다"며 "대부분의 치료는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치료로 진행되지만, 각 혈관염에 적합한 치료제나 치료 기간 등을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혈관염을 예방하는 뚜렷한 방법은 알려진 바 없다. 김 교수는 "시기에 따른 예방 접종을 철저히 하고, 건강한 식습관과 정기적인 운동을 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