둑중개科 Cottidae
● 살꺽정이 : Myoxocephalus polyacanthocephalus (Pallas) (= Ainocottus ensiger)
► 외국명 : (영) Great sculpin, (일) Togekajika (トゲカジカ), Nabekowashi (ナベコワシ)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80㎝, 체중 9kg까지 자란다. 몸은 원통모양으로 머리는 종편되었고 복부가 좀 나와 있다. 제1, 2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기부에서 옆구리까지 분명하고 폭이 넓은 흑색 띠가 있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짧고 새개 전골 변두리에는 가시가 4개 있는데 가장 위의 것이 제일 길다. 양 턱과 서골에는 이빨이 있으나 구개골에는 없다. 제1,2등지느러미는 다소 떨어져 있다. 피부는 나출되어 있고 골판은 전혀 없다. 안후부와 목부의 융기선들은 모두 예리하다.
크기는 전장 70㎝ 정도이다. 몸은 원통형으로 머리는 종편되었으며 배는 불룩하다. 머리 위에 골질돌기연이 뚜렷하고, 후두부에 2쌍의 작은 가시가 있다. 체측의 표면은 비늘이 변형된 가시 모양의 작은 돌기로 덮여 있으며, 전새개골에 4개의 가시가 있다. 측선비늘 수는 36~40개이다. 몸은 진한 황갈색 바탕에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와 연조부 아래, 그리고 꼬리지느러미 기부에 큰 흑갈색 무늬가 있다.
► 설 명 : 서식 수심 범위는 표층에서 수심 775m이며, 연근해의 약간 깊은 곳과 연안의 얕은 곳에 서식한다. 산란 시기는 12월~다음해 1월경이다. 암컷은 크기에 따라 18.5만~22.5만 개의 알을 낳는다. 캄차카에서 수컷은 5년째 전장 33~34㎝ 에서 성숙하기 시작하며, 암컷은 7년째 전장 49~50㎝에서 성숙하기 시작하며, 대량 성숙은 8세 또는 전장 54~58㎝에서 이루어진다. 수명은 17년 정도이다.
제철은 겨울이다. 비늘이 거의 없으며, 껍질은 두껍고 단단하며 질기다. 뼈는 별로 단단하지 않다. 혈합육은 선도가 상당히 좋지 않으면 붉지 않으며,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지만 흐려지기 쉽다. 몸통보다는 머리나 복골에 붙어 있는 살이 더 좋다. 상당히 선도가 좋지 않으면 살은 섬유질이 부족해서 식감이 나쁘고 감칠맛도 적다. 가열하면 살이 단단하게 조여지기 때문에 굽는 것보다 오히려 끓이는 것이 좋다. 생선회는 선도가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활어를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냉장고에서 숙성을 시켜도 담백해서 맛은 없다. 기본적인 요리는 매운탕, 찌개, 된장국 등 국물로 하는 요리이다. 푹 우려내면 좋은 국물이 나와서 깊은 맛이 나며, 가장 맛이 좋은 것은 간이다.
► 분 포 : 한국(동해안 북부), 일본(혹카이도 북부 서북해 연해), 러시아(캄차카반도, 태평양 연안), 베링해, 알래스카, 캐나다의 태평양 연안 등 북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 비 고 : 근연종으로 개구리꺽정이(Myoxocephalus stelleri), 올꺽정이(Myoxocephalus jaok)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