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양 칼럼: 사순절 (부활절 전 40일)의 유래와 뜻 ◈
2월 22일부터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부활절인 오는 4월 8일까지, 주일을 제외한 40일간이 ‘사순절(Lent ,四旬節, 라틴어로 quadragesima)’이라는 뜻이다.
‘회개’를 통해 세례를 준비하고 받은 세례를 되돌아보고 자신을 갱신하는 기간이다.
사순절은 참회와 반성의 시간이지만 주일을 제외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제의 날이 주일이기 때문이다. 부활절은 325년 니케아공의회에서 춘분(3월20- 21일)이후 보름날의 다음 주일로 정했다.
‘40일’은 예수님이 광야에서 시험받으셨다. 모세는 40일 금식했고, 예수님도 부활 후 40일간 제자들과 함께하셨다. 교회는 이것을 본받아‘40일 새벽기도회’를 한다.
자신을 돌아보며 예수님이 가신 십자가의 길을 나도 따르게 해 달라고 기도한다.
◈재의 수요일: 인간의 죄와 유한성을 인식하고 하나님의 용서와 도우심을 구한다. ‘재’는 참회와 회개, 유한성, 정화와 순수, 생명과 성장을 위한 밑거름을 의미한다.
◈사순절의 시작, 주제
예수님께서 부활 승천하신 후 초대 교회에서는 부활절 전 하루나 이틀을 금식 했으나, 곧 부활절 전 한 주간을 통째로 거룩하게 지키는 관습이 생겨났다.
이후 후 한 주간이 3주간으로 길어졌고, 325년 니케아 공의회 이후 최종적으로 6주간 40일로 정해졌다.
특히 사순절의 마지막 한 주간은 부활절 준비의 절정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인데, 서방교회에서는 이를 ‘성 주간(Holy Week)’, 고난주간’, 종려주일이라 불렀다.
종려주일은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입성한 사건을 기념하는 시간이다. (막11:1-11)
사순절 주제는 예수님의 고난과 이를 대하는 성도의 참회를 뚜렷하게 하는 것들로 채워진다. 전통적으로 사순절 주제는 첫째 주에 그리스도께서 받으신 유혹을 생각하고, 둘째 주는 죄를 물리치라는 명령을 생각한다. 셋째 주는 회개로의 요청을 묵상하고, 넷째 주는 치유와 회심을 생각한다. 주일의 강조점이 죄인의 회개에서 그리스도의 치유 능력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다섯째 주일은 종려주일로 부활절을 미리 맛보는 주일이다. 부활의 영광이 있기 위해서는 사순절 기간 동안 십자가의 고난과 은혜에 동참해야 한다.
최근 사순절에는 교회들마다 새벽기도와 회개와 금식에 동참한다. ‘미디어 금식’과 ‘장기기증 캠페인’, ‘아픔을 당한 이웃을 생각하며 이웃돕기에 동참하고 선교하고
이웃을 초청하여 영혼을 구원하는등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는 자세를 가져야한다.
우리도 중보 기도와 말씀 선포와 금식과 회개와 세례와 성천에 동참하고 믿지 않는 이웃을 초청하여 한 영혼을 구원하는 귀한 시간이 되기를 간절히 축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