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빙톡] 일어서다 갑자기 핑∼…여름철 특히 조심해야할 이것!
https://tv.naver.com/v/27364564
(서울=연합뉴스) 앉아 있다가 일어나는데 머리가 핑 돌 때가 있죠.
여름철에 특히 심해지는 이런 어지럼증, 기립성 저혈압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일 텐데요.
쪼그려 앉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와 같이 자세가 바뀔 때 순간적으로 현기증이나 어지럼증,
눈앞이 깜깜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기립' 상황에서만 발생한다는 점에서 그냥 평소의 일반적인 갑작스러운 어지럼증과는
구분되는데요.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있다가 일어나서 혈압을 쟀을 때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떨어지면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진단합니다.
어지럼증 외에도 목덜미의 뻣뻣함, 두통, 전신 무력감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더운 여름철에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기온이 높아지면 우리 몸에서는 땀을 배출하기 위해 피부 혈관이 확장돼 혈액이 피부 주위로 몰리면서
전체 순환 혈액량이 부족해져 혈압이 떨어지는데요.
특히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섰을 때 혈관이 순간적으로 수축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면서 어지럼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고혈압 환자도 기립성 저혈압을 피해갈 수 없는데요.
이광노 아주대학교 순환기내과 교수는 "고혈압과 기립성 저혈압은 기전이 아예 다른 병"이라며
"감기 환자에서 다른 병이 나타날 수 있듯이 고혈압 환자에서도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60대 이상 만성 고혈압 환자는 약 복용으로 심장 기능이 떨어져 기립성 저혈압에 노출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다시 눕거나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는 경우가 많지만, 자신도 모르게 의식을 잃거나
쓰러질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증상을 오래 방치할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과 사망률도 높일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몇 가지 생활 습관으로 예방할 수 있는데요.
충분한 수분과 적절한 염분을 섭취하고 일어날 때 천천히 심호흡하면서 천천히 일어나는 게 좋습니다.
또 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하고 혈관을 확장하므로 과음은 피해야 합니다.
이광노 교수는 "기립성 저혈압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물을 잘 드시고 짭조름하게 염분을 섭취하시고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시라고 말씀드린다"면서 "심한 경우에는 압박스타킹과 같은 보조적 장치를
권장하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유현민 기자 변정현 인턴기자
hyunmin6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