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보증활동은 품질검사와 품질관리가 제대로 수행되도록 조사하여서 목표품질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설계, 제조, 판매 등의 각 부문의 협조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결과를 경영자에게 보고하는 기능을 시행하는 것이다.
-품질보증의 정의-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 QA)이란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을 보증하는 활동을 말한다. 여기서 소비자는 사내에서는 다음 공정이 되며, 사외에서는 사용자 또는 구매자를 말한다. 품질보증에 관한 대표적인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쥬란(J. M. Juran)의 정의
" 모든 관계자들에게 품질기능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다는 확신을 갖도록 하는 데 필요한 증거를 제시하는 활동이다."
② 미국표준협회(ANSI)의 정의
" 제품이나 서비스가 주어진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적절한 확신을 주기 위해 필요한 모든 계획적 내지 조직적인 활동이다." (ANSI Z 1.7-1971)
③ 캐나다표준협회(CSA)의 정의
" 물품이나 서비스가 계약 및 법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며 서비스가 만족스럽게 이루어 질 것이라는 적절한 신뢰를 주도록 입안된 모든 수단 및 활동에 관한 계획적이며 조직적인 패턴이다."
④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정의
" 실체가 품질요구사항을 충족시킬 것이라는 적절한 확신을 주기 위하여 품질시스템에서 실시되고 필요에 따라 실증되는 모든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이다." (ISO 8402-1994)
⑤ 유럽 품질관리기구(EOQC)의 정의
" 전반적으로 품질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증하고 그리고 입증하려는 하나의 체계적인 활동이다."
⑥ 일본공업규격(JIS)의 정의
"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이 충분히 만족되어 있음을 보증하기 위해서 생산자가 행하는 체계적인 활동이다." (JIS Z 8101-1981, KS A 3001-1986)
위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품질보증이란 간단히 말해서 소비자가 안심하고 만족하게 구입하고, 사용함에 있어 안도감과 만족감을 가지며,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품질보증의 조건-
품질보증의 조건은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필요조건은 반드시 충족시켜야 한다.
-품질보증 시스템-
품질보증활동은 신제품의 개발에서부터 그 제품의 수명이 끝나는 전체 생산과정에서 전개되므로 각 부문의 참여 없이는 이들 업무가 제대로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품질보증활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능별 품질보증활동의 조직화가 필요하다.
품질보증시스템이란 품질이 모든 부문의 책임사항이라는 사실에 그 기초를 두고, 요구되는 목표품질을 얻고·유지하려는 방법인 품질보증활동의 업무를 시스템화하는 것을 말한다.
-품질보증 활동-
1) 품질평가
품질평가(quality appraising)란 품질을 측정해서 그 목적에 대해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품질평가의 목적은 제품이 잘 팔리는지, 소비자 및 사회에 대해서 유효성이 있는지, 좋은 반응이 있는지, 공해는 없는지 등을 파악하여 사내적으로 관리,해석,감사의 단계를 추진해 나가는데 있다.
품질보증의 각 단계, 즉 조사,연구개발,기획,설계,시작,생산,출하,판매,서비스 등에서의 품질을 측정해서 얻어진 측정치를 관리·해석·감사로 활용함으로써 각 단계의 활동을 추진해 나갈 때에 품질평가의 목적은 달성된다.
품질평가의 대상을 단계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제품기획의 평가
② 개발품의 평가
③ 개발품에 대한 시험결과의 평가
④ 시작품의 평가
⑤ 양산시작품의 평가
⑥ 본생산 이행의 가부결정
⑦ 본생산의 검사
⑧ 시장품질의 조사, 평가(소비자 만족도의 평가)
⑨ 시스템감사
위에서 ②∼④는 설계심사 단계에서 수행된다.
2) 품질감사
품질감사(quality audit)란 품질상의 성과를 이에 대응하는 표준과 비교하여 품질보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관점에서 평가하는 독립적인 심사행위를 의미한다.
품질감사는 대개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실시된다.
① 기업에 의한 자체품질활동 평가
② 외주기업(납입자, 선대리점 등)에 대한 구매자 품질활동평가
③ 감사기관에 의한 산하기간의 품질활동평가
품질감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개발단계, 제조단계, 시장단계의 품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품질감사는 여러 가지 중요한 품질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품질보증에 있어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감사활동은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제품품질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정확히 평가한 정보를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최고경영자에 보고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