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기간 | 내용 |
태동기 | 1946년~1953년 | 전후 전상자 및 전역자의 사회보장책 전무 계급별 단일 정액제 |
1954년~1969년 | 복지대책 입법화 게급별 호봉제 수당 신설: 가족수당 | |
형성기 | 1970년대 | 군인자녀교육법 복지혜택의 확대 군매점의 공영화료, 자체 복지사업추진 수당 신설: 상여수당, 조정수당, 정근수당 |
성장기 | 1980년대 | 부분적 복지 계획수립 수당신설: 장기근속수당, 정보비, 주택수당, 복리후생비, 체력단련비, 직무수당 |
발전기 | 1990~2000년대 초반 | 중 * 장기 종합복지정책 수립 수당 신설: 시간 외 근무수당 체대군인 지원 관련 법률 제정 |
재판 및 비전기 | 2000년대 중반 이후 | 사병복지 및 인권 개선 연구 및 계획 부대별 병영 문화개선 노력 육군, 해병대 군 기본권 상담관 시범운영 군복지기본법 제정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운영 |
3. 사회복지사의 역할
데일리는 군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5가지로 설명햇다.
첫째: 군사회복지를 통하여 군인들의 전투능력을 향상시키고, 전투 이후의 회복을 돕는다.
둘째: 군 내에서 군 구성원의 복지를 극대화하고, 심리사회적 손상을 최소화하는 정책과 절차를 개발하며 이에대한 자문을 한다.
셋째: 가정폭력, 물질남용, 정신질환, 신체질환으로 인한 부적응 문제와 같은 심리사회적 위험으로 인한 손사을 줄이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넷째: 군 내에서 사회적 서비스 기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을 가지고, 이에 대한 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섯째: 최고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군사회복지서비스를 전달한다.
대상 | 주요 업무 | 활동 및 프로그램 |
시범에 대한 개입 | 위기 개입 개인상담 사례관리 집단상담 | 성격검사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전투 스트레스 관리 및 상담 의료문제 상담 및 퇴원계획 알코올 및 약물 상담 군생활 부적응 상담 가족 문제 및 대인관계 갈등 상담 |
직업군인 및 가족에 대한 개입 | 위기 개입 개인상담 사례관리 집단상담 부부상담 가족상담 가정방문 | 군생활 문제 상담 진로상담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전투 스트레스 관리 및 상담 알코올 및 약물 상담 의료 문제 상담 및 퇴원 계획 가족 갈등 및 가정폭력 문제 상담 가족 강화 및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자녀 발달 및 특수아동 상담 자녀교육 및 부모교육 지역사회 자원 연결 |
군 조직 및 군 복지정책에 대한 개입 | 군복지정책 제안 군 구성원 옹호 자원 개발 | 군복지정책 자문 및 건의 군인 및 가족의 권리 옹호 복지기금 마련 및 자원 발굴 |
군사회복지 개입활동 및 프로그램↑
4. 과제
군사회복지가 아직 제도적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군사회복지의 제도화를 위해 『군복지』 과 같은 법 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련 법이 제정되면 이를 통해 군사회복지를 총괄하게 되며, 군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명문화된 규정을 통하여 군사회복지의 제도적 기틀을 마려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