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보험료 '폭탄'이 또 날라올 전망입니다. 1~3세대 실손보험료가 평균 8.9% 오른다는 소식이 전해진 거죠. 지난해(약 10~12%)와 올해(약 14.2%) 평균 인상률보다는 인상폭이 한 자릿수로 낮아졌죠.
하지만 내년 실손보험 갱신주기가 도래하는 1·2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들은 지난 3~5년치 인상분을 한번에 반영해 체감 인상률이 50%를 넘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1985년생 남성 A씨가 그 주인공이죠. 모 손해보험사의 실손보험에 가입한 그는 1세대(2009년 9월 이전) 실손보험 가입자인데요. 현재 월 보험료로 5만원 가량을 내고 있죠. 최근 A씨는 보험사 앱을 통해 갱신주기(3년)가 다가와 보험료가 오른다는 통지를 받았다고 해요. 2023년 1월부터 보험료가 7만2854원으로 껑충 뛴다는 내용이었죠.
한꺼번에 45.7%가량 보험료가 오르자 깜짝 놀란 A씨는 보험설계사에게 부랴부랴 전화를 걸어 항의했습니다. 이제까지 낸 보험료만 계산해 보니 어림잡아 총 600만~700만원 정도인데 그동안 잔병치레도 거의 하지 않아 실손보험금을 청구한 일이 없었거든요.
그런데 앞으로는 1년에 87만4300원을 내야 하고 다음 갱신주기까지 총 262만3000원의 보험료가 나가게 되는 겁니다. 이제까지 낸 보험료가 쌓이고 쌓이다 보니 A씨는 '이 돈을 모아 차라리 병원 치료비로 쓰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A씨의 경우 연간 인상률만 계산한 수치인데요. 이와 별개로 50∼60대 중에는 갱신 인상률이 50%를 넘는 사례도 속출할 전망입니다. 일부 고령 가입자는 1세당 평균 3% 포인트에 달하는 연령 인상분까지 겹쳐 보험료가 2배 가까이 뛸 수 있거든요. 이런 사례가 남의 일이 아닙니다. 3∼5년 주기로 갱신하는 1·2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만 총 2484만명에 달하거든요.
보험업계는 일명 '나이롱 환자'들의 과잉진료로 발생하는 실손보험의 막대한 적자 탓에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