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에르메스, 루이비통.
명품 브랜드들 가운데에도 가장 비싼 초고가 브랜드 들이죠.
가방 한 개가 천만 원이 넘는데도, 없어서 못 살만큼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에 감춰진 비밀을 오해정 기자가 집중 취재 했습니다.
백화점 문을 열기도 전에 명품을 사려고 선 긴 줄.
오픈런이라고 부르는, 익숙한 풍경입니다.
명품이라고 다 같은 명품은 아닙니다.
고가 명품일수록 지난해 매출이 높았습니다.
루이비통의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1조를 넘었고, 샤넬과 에르메스의 매출도 각각 9천억과 4천억이 넘었습니다.
반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해 입문용 명품으로 불리는 토즈와 페라가모는 지난해 매출이 줄고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명품들은 왜 비쌀수록 잘 팔릴까?
여기에는 교묘한 마케팅 전략이 숨어 있습니다.
6년 전 1천5백만 원대였던 에르메스 버킨백.
지금은 3천만 원이 넘습니다.
4년 전 7백만 원대였던 샤넬 클래식 라지 핸드백.
지난해 1천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똑같은 제품인데 1년에 두 세 번씩 가격을 올립니다.
루이비통은 올해 넉 달 동안 벌써 4번 가격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격 인상은 마케팅 기법입니다.
지금 안 사면 손해라고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제품이 언제 들어오는지, 어느 매장에 있는지도 모두 비밀에 부칩니다.
세일은 일부 VIP 고객에게만 합니다.
재고를 할인하는 아울렛도 없습니다.
팔지 못하고 남은 제품은 아예 소각해버리기도 합니다.
업계에서는 루이비통과 에르메스가 재고를 소각하는 이른바 '재고 파괴'를 한다는 게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이렇게 소각하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고 세금도 아낀다고 합니다.
살 수 있는 양도 제한합니다.
샤넬은 한 사람이 한 달에 살 수 있는 게, 가방은 한 개, 지갑은 3개까지로 정해놨습니다.
이렇다 보니 전문업자들은 시간당 1만 원을 주고 알바생까지 써서 명품을 사재기합니다.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 한 해, 전세계 명품 매출은 19%나 줄었지만, 한국만 예외였습니다.
15조 원 어치가 팔려, 독일을 제치고 세계 7위에 올랐습니다.
특히 20대와 30대의 명품 쇼핑이 무섭습니다.
백화점 명품 매출의 절반을 2~30대 젊은이들이 올려줬습니다.
2~30대는 왜 명품을 살까요?
이들을 만나봤습니다.
패션 유튜버 하빠 씨.
사무실 한 쪽이 명품 운동화들로 가득 차있습니다.
여성용 핸드백, 옷과 모자, 열쇠고리까지 싹 다 명품입니다.
2, 30대들에게 중고거래는 하나의 문화입니다.
명품 옷이나 신발도 사서 쓰다가 되팝니다.
중고거래 앱 이용자 수는 1년만에 2.5배나 늘었습니다.
인기 제품은 중고 가격이 오히려 정가보다 비쌉니다.
비싸도 일단 살 수 있으면 사는 게 이익인 셈입니다.
아예 처음부터 재테크 목적으로 명품을 사들이기도 합니다.
대학생 김재돈 씨.
매달 한정판 운동화 추첨에 응모합니다.
당첨되면 정가에 사서, 비싸게 되팝니다.
10만 원에 산 운동화를 120만 원에 되판 적도 있습니다.
돈 될만한 건 뭐든 투자 대상으로 바꿔버리는 시대.
2-30대들에게 오히려 명품은 접근 가능한 투자처입니다.
MBC뉴스 오해정입니다.
첫댓글 환경오염 오지네 덜만들던지
동뮬들도 불쌍하고 환경오염되고 어휴
더블로 잔인하다 키워서 가죽으로 소비하고 태워 없애는 것까지
니들은 매달 나무심기 봉사해라
명품브랜드들은 esg경영이랑 반대 행보네...
그럴거면 걍 주문제작을 해라ㅠ
환경오염.. 대단하다.
세금을 더 걷어야해.. 손실이라고 줄여줄게 아니라 환경파괴니까 세금을 오히려 더 받아야함
여러가지를 내세워봤자 결국 모든 명품이 판매하는 철학은 자본을 독차지한 소수만이 가진 희소성과 그들이 내뿜는(다고 우리가 믿게 하는) 아우라 하나로 환원되는 거 같아 그래서 난 명품 휘감고 전시하는 거 보면 이 격차의 시대를 살면서 자신의 과잉소유를 과시하는 게 과연 옳은 일인가싶어… 고작 가방 하나 구두 하나 갖추는 것이 자신을 남과 구별하는 아이덴티티라고 속이며 과소비 부추기는 명품회사의 농간도 너무 싫고
이런거보면 가방이라도 안좋아하는 나라서 다행이다
세상에나
진짜 내 주위에 명품없는사람이 없음....ㅋㅋ 한국 명품소비 진짜,많은듯
진짜 명품은 지양해야됨...
소각할때 회계사들 감사한대..ㅋㅋㅋㅋㅋㅋ진짜 태우는지..
괜춘 ㅎㅎ안삼되지
내가 예전에 알던 가격에서 두배씩 됐더라 ㅋㅋ 그냥 없이 살라고
지구야 미안해,,,,,
진짜 사치품...
이래서 명품이 싫어 ㅋㅋㅋㅋㅋ 저런거에 왜 명품이란 말을 붙여야 되는지?
환경오염도 오염인데 인간이 쓰겠다고 가죽벗겨서 죽여놓고 안팔렸다고 태워버리는게..ㅋㅋㅋㅋㅋ
그냥 허상을 파는거 그 자체네
세금감면이 아니라 세금을 더 부과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