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과 충청권의 갈등 양상으로 번지던 청운대학교 제2캠퍼스가 결국 인천으로 가게 됐다.
인천시는 지난 19일 시청에서 청운대학교와 인천시 남구 도화동 옛 인천대 본관 건물 및 인근 5만6350㎡ 규모의 토지에 대한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충남 홍성군에 본교를 두고 있는 청운대는 오는 4월 대학건물 리모델링 작업에 착수, 내년 3월 제2캠퍼스 문을 열 예정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청운대 학생 4천명이 제2캠퍼스에서 수업을 받게 된다.
청운대 제2캠퍼스를 둘러싼 논란은 지난해 6월 청운대가 시에 캠퍼스 신설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가열됐다.
홍성군의회는 청운대 제2캠퍼스 신설로 일부 학과가 이전할 경우 지역의 교육 경쟁력 약화와 지역 상권의 경제적 타격이 우려된다며 곧바로 `청운대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캠퍼스 신설 저지에 나섰다.
김석환 홍성군수도 이상열 청운대 총장을 만나 `청운대 제2캠퍼스 관련 이전 방침 재검토 건의서'를 전달하고 "홍성에서 자체 발전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요청했다.
청운대 제2캠퍼스 문제는 급기야 지역 주민 간 갈등으로 번졌다.
청운대 캠퍼스 예정지인 인천시 남구 도화동 주민들로 구성된 `청운대 유치를 위한 도화주민 추진위원회'는 지난해 11월 기자회견을 통해 캠퍼스 신설 당위성을 강조했다.
주민들은 "청운대 재학생 5800명의 81%가 수도권 지역 학생이고, 이 중 1600명이 인천지역 출신 학생들"이라며 "학생들의 통학 편의를 위해서라도 인천캠퍼스 유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홍성군민 1000여 명은 지난달 6일 인천으로 올라와 시청 앞에서 청운대 이전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며 맞받아쳤다.
군민들은 "290만 인구의 인천시가 8만8천명 인구의 홍성군 내 유일한 4년제 대학을 빼가려는 행태를 용인할 수 없다"며 "청운대 유치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청운대 유치사업이 지역 주민 간 갈등으로 비화되자 인천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2005년 이후 현재까지 인천에서 충청지역으로 이전한 기업은 120여 개에 이르며 홍성에도 큰 기업들이 이미 이전해 있는 상태"라며 "청운대 캠퍼스는 지역 간 상생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제2캠퍼스 신설 사업 속도
홍성 지역의 반발이 여전히 진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토지 매매계약 체결에 따라 제2캠퍼스 신설 사업은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인천시는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로 인천에 9번째 대학을 유치하게 돼 고등교육을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보고 있다. 또 대학지출 효과 148억원, 학생소비 지출 효과 400억원 등 연간 500억원이 넘는 지역 소득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청운대 역시 수도권인 인천에 진출함으로써 대학경쟁력이 강화되고 인천의 기업들과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토대를 갖추게 됐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인천시와 청운대는 교육 발전과 산학협력 증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청운대의 인천캠퍼스 신설은 서로에게 큰 이익을 안겨주는 상생 발전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지난 19일 시청에서 청운대학교와 인천시 남구 도화동 옛 인천대 본관 건물 및 인근 5만6350㎡ 규모의 토지에 대한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충남 홍성군에 본교를 두고 있는 청운대는 오는 4월 대학건물 리모델링 작업에 착수, 내년 3월 제2캠퍼스 문을 열 예정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청운대 학생 4천명이 제2캠퍼스에서 수업을 받게 된다.
청운대 제2캠퍼스를 둘러싼 논란은 지난해 6월 청운대가 시에 캠퍼스 신설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가열됐다.
홍성군의회는 청운대 제2캠퍼스 신설로 일부 학과가 이전할 경우 지역의 교육 경쟁력 약화와 지역 상권의 경제적 타격이 우려된다며 곧바로 `청운대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캠퍼스 신설 저지에 나섰다.
김석환 홍성군수도 이상열 청운대 총장을 만나 `청운대 제2캠퍼스 관련 이전 방침 재검토 건의서'를 전달하고 "홍성에서 자체 발전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요청했다.
청운대 제2캠퍼스 문제는 급기야 지역 주민 간 갈등으로 번졌다.
청운대 캠퍼스 예정지인 인천시 남구 도화동 주민들로 구성된 `청운대 유치를 위한 도화주민 추진위원회'는 지난해 11월 기자회견을 통해 캠퍼스 신설 당위성을 강조했다.
주민들은 "청운대 재학생 5800명의 81%가 수도권 지역 학생이고, 이 중 1600명이 인천지역 출신 학생들"이라며 "학생들의 통학 편의를 위해서라도 인천캠퍼스 유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홍성군민 1000여 명은 지난달 6일 인천으로 올라와 시청 앞에서 청운대 이전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며 맞받아쳤다.
군민들은 "290만 인구의 인천시가 8만8천명 인구의 홍성군 내 유일한 4년제 대학을 빼가려는 행태를 용인할 수 없다"며 "청운대 유치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청운대 유치사업이 지역 주민 간 갈등으로 비화되자 인천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2005년 이후 현재까지 인천에서 충청지역으로 이전한 기업은 120여 개에 이르며 홍성에도 큰 기업들이 이미 이전해 있는 상태"라며 "청운대 캠퍼스는 지역 간 상생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제2캠퍼스 신설 사업 속도
홍성 지역의 반발이 여전히 진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토지 매매계약 체결에 따라 제2캠퍼스 신설 사업은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인천시는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로 인천에 9번째 대학을 유치하게 돼 고등교육을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보고 있다. 또 대학지출 효과 148억원, 학생소비 지출 효과 400억원 등 연간 500억원이 넘는 지역 소득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청운대 역시 수도권인 인천에 진출함으로써 대학경쟁력이 강화되고 인천의 기업들과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토대를 갖추게 됐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인천시와 청운대는 교육 발전과 산학협력 증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청운대의 인천캠퍼스 신설은 서로에게 큰 이익을 안겨주는 상생 발전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