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저는 현재 중국에 거주중인 학생입니다.
여러모로 요즘에 우울한 감정이 더욱 극대화가 되었으며 공황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불면증이 평소에도 있었으나 이 3가지의 증상이 섞이면서 끔찍한 느낌입니다.
잠을 제대로 잔 기억이 최근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잠을 제대로 자지를 못하니 일상생활이 거의 다 무너졌습니다.
채팅으로 1388로 하였지만 딱히 큰 효과를 보지는 못하였고 진심으로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A.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중국에 거주하는 학생이군요. 유학생활이 여간 힘든게 아닌데 진짜 너무 힘드시겠어요.
우울과 공항을 겪고, 불면증으로 일상 생활이 마비된 상태라면 정말 누군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혼자서는 이겨내기 정말 어려운 것입니다. 꼭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저희센터에 전화를 하셔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불면증 증상 (DSM-5)
■ 수면 시작 장애 : 잠에 드는 것이 어렵고, 잠에 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매우 긴 경우
■ 수면 유지 장애 : 잠에 들고 나서 자주 깨거나, 일찍 깨버리는 경우
■잘 때 발생하는 신체적 증상 : 몸이 떨리거나, 심장이 빨리 뛰거나, 호흡이 어려운 등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DSM-5 기준으로 위의 증상이 3회 이상 발생하여,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불면증으로 진단됩니다. 위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가를 통해 점검하여 적절한 치료를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불면증 치료
■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수면시간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수면의 질을 떨어트리는 요소들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수면 전에 따뜻한 차를 마시는 등의 몸을 이완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해봅니다.
■심리상담치료
불면증의 원인은 대부분 심리적 요인일 경우가 많습니다.
정서치료, 인지치료 등을 통하여 불면증의 심리적 원인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합니다.
■약물 치료
불면증의 증상이 심각하여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는 수면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어린이 동산 2022년 03월호 새학기 증후군, 이렇게 극복하세요!
[상담후기] >> 새로운 환경에 경계심이 많고 불안했던 아동치료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사진출처: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단솔
한국 아동 청소년 심리상담센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76길 7 4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