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교통편 편하고 부담 없는 산행
포내2리 버스정류장-성동검문소-문수산(△376.1)-아문(홍예문)-고읍동(도보)-조강저수지-가좌동-애기봉 조강전망대(155,8)-다시 가좌동-56번 도로-군하리 한우단지 버스정류장
거리 : 도보 포함 17km
소재지 : 경기도 김포시 월곳면 하성면
도엽명 : 김포(통진)
지도 크게 보기
2025년 1월 28일 (화) 흐림
홀로 산행
21전 한남정맥 종주 후 처음 찾아가는 문수산과 평화누리길을 이어 성탄절 때 큰 성탄 트리를 북쪽에 보여주던 기억이 나는 애기봉과 이어지는 산행을 명절 때 한가하게 걸어보는 계획을 실행해 본다
지하철과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을 연계해서 걸포북변역 하차 3000-1번 버스로 포내2리 하차 도보로 성동검문소를 지난 잘 만들어진 문수산성 길로 접어들면서 산행 시작이다
물론 21년 전 한남정맥 산행 때와는 다른 여정이고 그때와 달리 아주 잘 만들어진 산책로를 따라 느긋한 오름이나 한동안 포근했던 날씨와 달리 눈도 내린 후의 제법 차가운 날씨로 완전무장(?) 차림이다
강화도나 북한 땅 조망을 하려던 계획은 흐린 하늘에 강화도의 산들도 제대로 보지 못하고 그냥 도보를 많이 걷고 온다
▽ 포내2리 버스정류장에서 북서쪽 강화 가는 48번 국도를 따라 문수산성 입구로 간다
▽ 잘 만들어진 산책로를 따라 부드러운 오름이다
▽ 올라선 좌측 능선 △127.8m 분기점에 오르니 문수산성 성곽을 만나고 버스정류장0.5km↔정상1.7km
▽ 성곽을 만난 분기점에서 동쪽으로 틀어 저 앞 분기봉을 보며 오름이다
▽ 올라선 능선 저 편 강화대교 건너 우측이 강화지맥 당산(112.1) 이고 다리 좌측은 남산(222.5)이, 고려산(436.3) 덕정산들은 흐린 하늘로 보이지 않는다
▽ 약 210m 좌측 산성동 능선 분기봉
▽ 문수산 정상 쪽이 보이기 시작하고
▽ 남쪽 김포대학교 건너편으로 이어지는 △180.2m 오봉산(104.9)로 이어지는 능선은 한남정맥이 아니다 한남정맥은 좌측으로 갸날픈 능선 보이지 않는다
▽ 서쪽 바다 건너 당산과 우측 범머리 쪽 낮은 봉우리 봉천산이나 별립산은 보이지 않는다
▽ 눈이 제법 쌓였다
▽ 홍예문을 지난 정상 직전 넓은 공터가 나타나고
▽ 올라선 문수산 정상 21년 전에는 넓은 헬기장이었다
▽ 다시 바라본 강화도 멀리 고려산이 흐릿하다
▽ 저 앞 OP 봉우리로 가본다
▽ 한강 건너 개풍군 임한면 북한 쪽
▽ 보구곳리 쪽으로 이어지는 능선 끝 쪽
▽ 애기봉을 당겨본다
▽ 다시 돌아가면서 바라본 문수산 정상
▽ 홍예문으로 다시 돌아간다
▽ 홍예문에서 남쪽으로 내려선다
문수산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북단에 위치한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서는 비아산(比兒山)으로 되어 있으며 통진현 북쪽 6리 지점에 있고 진산(鎭山)에 해당한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문수산은 일명 비예산(imagefont晲山)이라 하였으며 통진부에서 북쪽으로 10리 정도 떨어져 있으며 부평 안남산(安南山)에서 북쪽으로 줄기가 이어져 읍치의 주맥을 형성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산에 건축된 문수산성은 둘레가 15리에 달한다
「팔도군현지도」에는 문수산성이 표기되어 있다 김포시 내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조선시대 숙종 때 축성한 문수산성(文殊山城)이 있으며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이곳을 점령하였던 적이 있다
산성 안에 문수사(文殊寺)가 있으며 흥룡사(興龍寺)도 문수산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 내려서면서 바라본 군하리 갈산리 들판
▽ 편안한 산책로 남쪽으로 내려서다가 남동쪽으로 내려선다
▽내려선 후 문수산을 올려본다
▽ 고읍동 마을 평화누리길을 지나가고
▽ 도로를 만나서 북쪽으로 향하면 금방 도로 우측 요양원 건물이다
▽ 도로 고개를 넘어 도로 좌측 임마누엘교회를 지나면 우측 갈림길 조강저수지 방향이다
▽ 진행하는 도로를 버리고「평화 쉼터」옆으로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 조강저수지를 끼고 저 멀리 애기봉 스타벅스 건물이 보인다
▽ 돌아본 문수산
▽ 벌판을 진행하며 바라본 애기봉
▽ 조강리 벌판을 지나며 북쪽 건너 북한의 개풍군 하조강리 일대 산들을 당겨본다
▽ 석원동마을을 보면서 큰길을 따른다
▽ 내곡초교 직전 좌측 마을 길로
▽ 마지막 민가를 지나고 숲으로 들어서서 안부로 오른다
▽ 큰 묘역을 지나 오르면 좌측 약145m 우측 △166.5m 사이 안부에서 넘어 내려간다
▽ 내려서면 애기봉로의 큰 도로를 만나는 가좌동
▽ 좌측으로 틀어 도로를 오르면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매표소와 해병대 검문이다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주차장과 매표소 해병초소가 있는 곳에 도착하니 매표소 앞에 긴 줄이 늘어서 있어 오래 기다리는 것은 나처럼 사전 온라인예매를 하지 않고 바로 매표를 하는 사람들 때문이다
사전 예매를 한 내 경우 신분증 확인만 하니 금방 표를 주고 셔틀버스를 타고 가라 해서 가보니 역시 긴 줄이다
군인들에게 다시 한번 확인하고 그냥 걸어서 간다
세상 좋아진 것이 민통선 안 조강전망대 정상에 얼마 전 별 다방(STARBUCKS)이 생겼다
지도에 표기된 애기봉(99)은 이보다 낮고 한강 부근이니 이곳이 진짜 애기봉이다
▽ 1km 정도 도로를 따라 걸어 오른다
▽ 전시관이고
▽ 전시관에서 내려서고 가파르게 오르면 애기봉 정상 표시가 있는 조강 전망대고 좌측으로 스타벅스가 있다
▽ 북쪽 바로 한강 건너 사진 중앙이 북한 땅 △68.4m 우측 저 안이 圖上 암실마을 선전마을
▽ 역시 북한 땅 하조강리 圖上 탄포 쪽
▽ 문수산 자락 보구곳리 쪽과 멀리 강화도 별립산이 보인다
▽ 애기봉에서 바라본 문수산
▽ 망원경에 보이는 북한 선전마을
애기봉은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에 위치한 산이며 하성면 북단의 가금리와 조강리 경계에서 한강에 접한 곳에 솟아있는 봉우리이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 황해로 흘러들어가는 곳에 자리한다
「1872년지방지도」「통진부지도」에 따르면 조강포(祖江浦) 동쪽에 여기봉(女妓峰)으로 표기되어 있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개풍군 조강리와 마주 보고 있으며 현재는 애기봉 전망대가 이 봉우리에 자리하고 있다
애기봉은 병자호란때 평양감사와 그의 여첩인 기생 애기(愛妓)와의 슬픈 일화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 다시 입구로 나오고 이번에는 가좌동에서 왔던 곳이 아닌 남쪽의 도로를 따라가다가 잠시 들린 寒齋堂(한재당)
한재당은 1975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조선 전기의 학자 한재 이목(李穆)의 사당으로 1848년(헌종14)에 세운 옛 사당과 1974년에 세운 새 사당이 있다
이목은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생으로 성균관 유생 때 왕대비가 성균관에 음사(淫祠)를 꾸미고 무당을 부르자 이를 쫓아냈고 한편 유생과 더불어 윤필상(尹弼商)을 탄핵하다가 공주로 귀양 가기도 하였다
1495년(연산군1)에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뽑혀 사가 독서 하였으나 1498년 무오사화에 윤필상의 모함으로 김일손(金馹孫) 권오복(權五福)과 함께 사형되고 1504년 갑자사화 때 다시 부관참시 되기도 하였으나 뒤에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 되었다
▽ 가까운 시간에 지나가는 버스가 없어 그냥 도로 따라 아침에 버스로 지나왔던 군하리 한우마을 버스정류장까지 수 km 걷는다
▽ 군하리 한우마을 버스정류장에서 걸음을 멈춘다
도로를 한참 걷고 목적지까지 얼마 남지 않았을 때 등 뒤에서 휙 하고 지나가는 따복버스가 아쉽지만 목적지까지 얼마 남지 않았다
아침에 타고 지나갔던 군하리 한우마을 정류장에서 걸음을 멈추고 10여분 후 도착하는 버스를 기다리며 남은 막걸리 한잔을 마시고 올 때와 똑같은 교통편으로 귀가한다.
첫댓글 하루 산행으로 좀 짧으실 듯...
슬슬 놀며 빨리 집에 와서 손녀 재롱이나 보려구요 ^^
애기봉에 스타벅스도 생겼네요. 하기는 관광객들로 넘쳐나니...
일기 좋은 날 (버리는 날(?) 놀기 삼아 한 번 걸어볼 만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