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팔선(八仙). 팔선도(八仙圖)
우리나라의 그림이나 고사에 자주 오르는 중국의 여덟신선 팔선(八仙)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는 대개 <대한신보>의 기사가 주로 소개되어 있고 다른 자료도 미미하다. 그리스,로마 신화는 잘 아나 중국의 민간 신화중 가장 널리 퍼진 팔선은 잘 모른다. 우리나라 민간 신화도 많으나 자료도 보물단지처럼 아끼고 그림한장 제대로 그려놓은 것이 없는 것이 아쉽다.
자료는 <대한신보>의 기사 내용을 주로하고 이미지는 중국의 웹과 <인민망>에서 일부 추출했다. 중국의 대표적 사전이라하는 곳에 자세한 내용과 이미지가 올려져 있음이 부럽다. 신화의 내용은 수도 없이 많다. 李鐵拐(이철괴)를 예로 제자가 몸을 화장해서 거지의 몸으로 들어 갔다고 알려져 있으나 또 호랑이에게 육신을 밥으로 주고 거지의 몸으로 들어 갔다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팔선(八仙)이 복을 가져다주고 액을 물리쳐준다하여 부적처럼 지니고 다니기도하여 팔선도를 판매하는 곳도 많다. 이미지 출처를 일일이 표기하지 않았음을 양해 구한다. 중국의 자료도 거의 통속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라 별로 다르지 않다.
팔선(八仙) 일화
팔선은 중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기행(奇行)과 속세를 초월한 것으로 알려진 8명의 신선이다. 이들 팔선은 종리권(鍾離權)ㆍ장과로(張果老)ㆍ이철괴(李鐵拐)ㆍ한상자(韓湘子)ㆍ여동빈(呂洞賓)ㆍ조국구(曺國舅)ㆍ남채화(藍采和)ㆍ하선고(女神仙)를 말한다. 팔선은 각자 기물(器物), 신물(神物)을 하나씩 가지고 다니고 있어 구분하기 용이하다.
팔선과해(八仙過海)
팔선은 중국고대 신화에 나오는 8명의 신선을 말한다. 하루는 이 8명의 신선이 서왕모(신화 속의 여신)의 반도성회(蟠桃盛會)에서 돌아오는 길에 동해에 도착하자 각 신선이 자신의 보물을 바다를 건너는 신수(神?)로 변신시켜 동해를 무사히 건넜다. 그 후 사람들은 자신의 특별한 능력으로 기적을 이뤄낸 것을 비유할 때 이 신화를 인용하게 되었다.(인민망 :번역 감수:김명희)
八仙的由來
「八仙」一詞在中國歷史上的不同?期一直擁有不同的涵義,直到明朝吳元泰的《八仙出處東遊記》(一般稱?《東遊記》),才正式定型?鐵拐李、漢鍾離(或鍾離權)、呂洞賓、張果老、何仙姑、曹國舅、韓湘子及藍采和。 팔선은 시기에 따라서 내용이 한결같지 않다. 명조 오원태의 <팔선출처동유기> 일반적으로 <동유기>가 정형화도있다.
道?的八仙緣起於唐宋時期,當時民間已有「八仙圖」,在元朝馬致遠的《岳陽樓》、范子安的《竹葉船》和谷子敬的《城南柳》等雜劇中,都有八仙的?跡,但是,成員經常變動。馬致遠的《呂洞賓三醉岳陽樓》中,?沒有何仙姑,取而代之的是徐神翁。在岳伯川《呂洞賓度鐵拐李岳》中,有張四??沒有何仙姑。 明《三寶太監西洋記演義》中的八仙,則以風僧壽、玄虛子取代張果老、何仙姑。명의 《三寶太監西洋記演義》중 팔선은 풍승수, 현처자가 장과로 하선고 대신 나온다
劉海(或作劉海蟾)雖然現在不列在八仙當中,但在許多地區仍位於八仙之列。 明《列仙全傳》用劉海頂替了張果老,在江西某些地區的「跳八仙」中,也有以劉海代替漢鍾離的,而台灣亦有用劉海替代藍采和。 명나라의<열선전전>에는 장과로가 유해가 바뀌었고, 강서지구의 <도팔선>에서는 한종리가 유해로 바뀌었다 대만 또한 유해가 남채화 대신 바뀌어있다.
形象 八仙與道?許多神仙不同,均來自人間,而且都有多采多姿的凡間故事,之後才得道,與一般神仙道貌岸然的形象截然不同,所以深受民?喜愛,其中有將軍、皇親國戚、乞?、道士等等,?非生而?仙,而且都有些缺點,例如漢鍾離袒胸露乳、呂洞賓個性輕?、鐵拐李?酒成性等等,但他們都是道家的仙人,常常在一起。 漢鍾離總是手搖一把芭蕉扇。被全?道奉?北五祖之一。 呂洞賓常背???,行?仗?。被全?道奉?北五祖之一。 張果老鶴髮童?,銀須飄拂,常倒騎一隻小毛驢。 韓湘子是唐朝文學家韓愈的侄?,愛吹笛子。 鐵拐李是個跛足的殘疾人,?一根鐵拐杖,像個叫化子。 何仙姑是年輕漂亮的女人,手持荷花。 藍采和的原型是個有點才氣的流浪漢。 曹國舅是皇帝的親戚。 暗八仙 八仙每人都有一至二樣寶物或法器,一般稱?「暗八仙」或八寶,常出現於刺繡、民間藝術之中,均代表吉祥之意,而且隨場景不同而變換。其中較?通俗的暗八仙?: 팔선은 각 개인마다 한,두개의 보물, 법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부르기를 "암팔선" 혹 "팔보"라 한다. 항상 민간 예술의 자수에 나오고 대표적으로 길상의 뜻이 있다. 吉祥(길상) : 운수가 좋다. 경사가 난다. 蒲扇(鍾離權) 葫蘆(李鐵拐) 花籃(藍采和) 荷花(何仙姑) 寶劍(呂洞賓) 竹笛(韓湘子) 魚鼓(張果老) 玉板(曹國舅) 八仙過海 八仙過海是八仙最膾炙人口的故事之一,最早見於雜劇《爭玉板八仙過海》中。相傳白雲仙長有回於蓬萊仙島牡丹盛開時,邀請八仙及五聖共襄盛?,回程時鐵拐李(或呂洞賓)建議不搭船而各自想辦法,就是後來「八仙過海、各顯神通」或「八仙過海、各憑本事」的起源。
八仙過海(팔선과해 : 팔선이 바다를 건너다)는 사람들이 입에 가장 오르내리는 고사중의 하나인데 근래에 잡극《爭玉板八仙過海》에도 보인다. 전해 내려오는 얘기는 백운선장이 목단꽃이 필 때쯤 봉래선도에 오라고 팔선과 오성에게 서로 돕기를 요청했는데 돌아가는 길에 철괴리(혹 여동빈)이 배에 타지 않고 각자의 방법으로 하기로 건의를 했다한다. 그것이 후에 「八仙過海、各顯神通 팔선과해가 신통력이 나타난다」或「八仙過海、各憑本事 본업이 왕성해진다」의 기원이 되었다. 此時李鐵拐?下自己?一項法器鐵拐(或說葫蘆),漢鍾離?了芭蕉扇,張果老放下坐騎「紙驢」,其他神仙也各擲法器下水,橫渡東海。由於八仙的?動驚動龍宮,東海龍王率領蝦兵蟹將前往理論,不料發生衝突,藍采和被帶回龍宮(亦說法器被?)。之後八仙大開殺戒,怒斬龍子,而東海龍王會同四海龍王,兄弟合作,一時之間驚濤駭浪。此時曹國舅拿出玉板開路,將巨浪逼往兩旁,順利渡海。最後由南海觀音菩薩(或說如來佛)出面調停,要求東海龍王釋放藍采和之後,雙方才停戰。
이 때 철괴리는 자기의 법기인 철괴를(혹 호로) 한종리는 파초선을, 장과로는 타고다니던 '지로'를 다른 신선들도 각자의 법기를 물에 던져서 동해를 건너려고 했다. 팔선들의 행동에 용궁이 놀라서 동해용왕이 蝦兵(하병 : 새우 병사)와 蟹將(해장 : 게 장군)을 이끌고 나와서 따지니 뜻밖에 충돌이 생겼고 남채화가 용궁으로 붙잡혀갔다(일설에 법기를 빼겼다고함) . 그후 팔선이 크게 살계를펴고 노하여 용왕의 아들을 죽였다. 이에 동해용왕이 사해용왕을 불러와 형제 합작으로 순식간에 물살을 빠르게하고 풍랑을 일으키니 조국구가 옥판을 꺼내서 길을 열었고 거대한 파도가 양쪽에서 닥쳤으나 무사히 바다를 건넜다. 최후에 남해관음보살(혹 여래불이라고도 함)이 나서서 조정을하고 동해용왕이 남채화를 석방하여 쌍방이 싸움을 멈췄다. / 維基百科
팔선도
민간에서 유행하는 팔선도 그림의 좌측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여동빈(呂洞賓)은 당나라 때 사람으로 등에 칼을 차고 손에는 불자(佛子)를 들고 있다. 남채화(藍采和)도 당나라 사람으로 청년의 모습을 하고 꽃바구니를 들고 있으며, 때로는 여자의 모습으로도 나온다.
장과로(張果老)는 장과의 존칭으로 당나라 때 사람이며 어고와 간판을 가지고 있다. 나귀를 거꾸로 타고 다닌다. 조국구(曺國舅)는 송나라 조황후의 아우로서 신선이 되어 운양판(雲陽板)을 가지고 있으며, 한상자(韓湘子)는 한상의 존칭이고 당나라 때 인물로서 유명한 유학자이며 문장가인 한유의 조카인데 피리를 불고 있다. 유일한 여자 신선인 하선고(何仙姑)는 이름이 경(瓊)이며 당나라 때 사람으로 연꽃을 들고 있다. 이철괴(李鐵拐)는 절름발이로 어느 시대 사람인지 명확하지 않으나 표주박과 지팡이를 가지고 있다. 종리권(鍾離權)은 한나라 때 사람으로 부채를 가지고 있다.
이들 팔선은 개별적으로 당나라와 송나라 문헌에 나타나다가 원나라 때부터 팔선으로 정리된 듯하며 중국의 소설, 희곡, 회화, 건축 등 여러 분야의 주제가 되어 왔다. 또한 민간에 널리 유전되어 오는 여러 가지 수많은 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신선 한사람마다 신화가 있고 이미지 또한 다양하게 있다. 팔선도는 취팔선(醉八仙). 팔선 악취도(八仙樂聚圖). 팔선과해(八仙過海).기팔선팔(騎八僊八) 등으로 다양하게 그리고 있다.
신선이 신수(神獸)를 타고 동해를 건너는 그림이다. 복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
출처: 마음의 정원 원문보기 글쓴이: 마음의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