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그룹, AI기업 ‘모레’에 150억원 투자…“AI 풀스택 가속화”
KT그룹이 ‘AI 풀스택’ 사업 가속화를 위해 AI 인프라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인 ‘모레’에 150억을 투자한다.
AI 풀스택은 AI 반도체와 클라우드 등 인프라부터 고객에게 제공되는 AI응용 서비스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제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KT그룹은 지난 2021년에 이어 ‘모레’에 두 번째 투자를 단행한다고 23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총 150억원으로 KT가 100억, KT클라우드가 50억을 각각 투자한다.
KT그룹은 모레와의 협력은 외산 솔루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 AI인프라 시장에서 국내 AI 기술력을 높여 국가 AI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있어 엔비디아사의 GPU(그래픽 처리장치) 점유율이 80%에 육박한다. 대부분의 AI서비스와 솔루션이 엔비디아에서 제공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쿠다(CUDA)’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KT는 외산 GPU 의존도를 극복함과 동시에 중장기 AI 역량을 확보하고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모레, 리벨리온과 협력을 진행중이다. 국내 순수 기술 기반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아우르는 ‘AI풀스택’ 전략을 가속하기 위해서다.
모레는 AI 인프라 소프트웨어 스택과 AI 클러스터·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우선 AI 인프라 소프트웨어 스택을 적용하면 기존 엔비디아의 쿠다와 호환되는 인프라 소프트웨어 제공으로 동일한 개발환경을 제공해 외산 GPU 의존도와 종속성을 해결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리벨리온과 같은 국내 AI반도체 팹리스가 개발한 칩셋도 AI 개발 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AI 클러스터·클라우드 솔루션은 컴파일러의 자동 병렬화로 대형 AI모델 구현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GPU 가상화·동적 할당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GPU 1개 대상으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다수의 GPU에서 자동 병렬화를 실행할 수 있어 GPT-3와 같이 대규모 인공신경망 모델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실제 GPU 연산이 실행될 때 가상의 GPU가 할당되고 프로그램이 끝나면 할당이 해제돼 필요에 따라 컴퓨팅 인프라 자원 규모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KT그룹은 역량 있는 벤처·스타트업과 사업 협력 시너지 발굴을 위해 2027년까지 약 2조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KT는 “하나의 목표를 항해 꾸준히 다져온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AI풀스택 글로벌 진출이라는 공통 목표와 실행 방안을 구체화할 것”이라며, “글로벌 AI 시장에서도 모레와 같은 국내 파트너들이 활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