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서예[2616]선현(先賢)들의 좌우명(座右銘)105 (1).千里之行 始於足下 (천리지행 시어족하) 천리 길도 첫걸음부터 시작한다. - 老子 - 始:처음 시, 비롯 시 (2). 行百里者 半於九十 (행백리자 반어구십) 백리 길을 가는 사람은 구십리를 가고 십리가 남았어도 반밖에 못 간줄 여겨야 한다. -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
者:놈 자, 於:어조사 어, 탄식할 오 (3). 欲知未來 先察己往 (욕지미래 선찰기왕) 무엇인가 앞으로 닥쳐올 일을 알고자 하거든 먼저 지난 일을 살펴봐야 한다. - 명심보감 - 欲:하고자 할 욕, 욕심 욕, 察:살필 찰 (4).有志者事竟成 (유지자 사경성) 확실한 뜻이 있는 자는 필경 사업에 성공한다. - 後漢書 - 志:뜻 지, 竟:마침 경.
(5). 人子愛人 有禮者 敬人 (인자애인 유예자 경인) 인자한 사람은 남을 사랑하고 예가 있는 사람은 남을 공경한다. - 老子 - 愛:사랑 애, 禮:예절 예, 敬:공경할 경 (6). 上善若水 -상선약수 上善은 물과 같은것이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나 다투지 않는다. (마음을 비우고 억지씀이 없이 순리대로 살아야 한다) - 老子 - 善:착할 선 (7). 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 (성자 천지도야 성지자 인지도야) 참(誠)은 하늘의 길이요 참으로 행하는 것이 사람의 길이요. - 中庸 - 誠:정성 성, 道:길 도, 也:어조사 야 (8). 不徑一事 不長一智 (불경일사 불장일지) 한가지 일도 겪지 않은 사람이면 한가지 지혜도 성장하지 않는다. - 명심보감 - 徑:지름길 경, 건널 경, 智:슬기 지 (9). 省喫 省用 省求人 (성끽 성용 성구인) 살펴 먹고 살펴 쓰고 살펴 사람을 구하라. -먹는것을 줄이고 씀씀이를 줄이고 남에게 요구함을 줄이자. - 명심보감 - 省은 '살필 성' 또는 '덜 생'이라는 한자로, '살피다', '덜다'를 뜻한다. 喫:마실 끽, 求:구할 구 (10). 勤者富之本 儉者富之源 (근자부지본 검자부지원) 부지런함이란 것은 부의 근본이고 검소라는 것은 부의 근원이다. - 景行錄 - 勤:부지런할 근, 儉:검소할 검, 源:근원 원 (11). 敎人 各因其才 (교인 각인기재) 교육은 그 적성과 능력에 따라야 한다. - 근사록 - 敎:가르칠 교, 各:각각 각, 因:인할 인 (12). 報怨以德 (보원이덕) 원수 갚기를 덕으로 하라. - 老子 - 報:갚을 보, 怨:원망할 원, 德:큰 덕 (13). 見賢思齊 (견현사제) 현인을 만나거든 나도 이 사람과 같이 되어야 하겠다고 생각하여 노력하며 수양하라. - 論語 - 賢:어질 현, 思:생각 사, 見:볼 견, 齊:조화할 제 (14). 君子 求諸己 小人求諸人 (군자 구제기 소인구제인) 군자는 자기 책임 하에 자신의 힘으로 무슨 일을 하지만 소인은 늘 남에게 기대어남의 힘으로 자기의 소망을 이루어 보려 한다. - 論語 - 君:임금 군, 諸:모든 제, 己:몸 기 (15). 諸生 相對 有如 尊賓之在塵 (제생 상대 유여 존빈지재진) 제자를 대할 때는 마치 귀한 손님을 대하도록 하라. - 퇴계교육잠언 - 賓:손 빈, 塵:티끌 진, 如:같을 여, 尊:높을 존 (16). 勞而不伐 (노이불벌) 실적을 올리고도 자랑하지 않는다. - 易經 - 勞:일할 로, 伐:칠 벌 (17). 視民如傷 (시민여상) 백성을 보기를 자신의 상처를 보듯 하라. - 近思錄 - 視:볼 시, 傷:생각할 상, 如:같을 여 (18). 順天者存 逆天者亡 (순천자존 역천자망) 가. 하늘의 뜻을 따르는 자는 생존하고, 하늘의 뜻을 거슬린 자는 멸망한다. - 孟子 - 順:순한 순, 存:있을 존, 逆:거역할 역, 亡:망할 망 (19). 樂極悲生 (락극비생) 즐거움이 극도에 달하면 슬픔이 생긴다. - 景行錄 - 樂:즐거울 락, 極:달 극, 悲:슬픔 비 (20). 忍一時之忿 免百日之憂 (인일시지분 면백일지우) 한때 분을 참으면 백일의 근심을 면한다. - 景行錄 - 忍:참을 인, 忿:분할 분, 憂:근심 우 (21). 人可斯 天不可斯 人可瞞 天不可瞞 (인가사 천불가사 인가만 천불가만) 가. 사람을 속일지언정 하늘을 속일 수 없고 사람에게 숨길지언정 하늘에게 숨길 수 없다. - 忠孝略 - 欺:속일 기, 瞞:속일 만 (22). 治而 不忘亂 (치이 불망란) 태평 무사할 때 난세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잊지 않는다. - 易經 - 忘:잊을 망, 亂:어지러울 란, 治:다스릴 치, 而:말 이을 이, 편안할 능 (23). 敏而 好學 不恥下問 (민이 호학 불치하문) 재질이 민첩하면서 배우기를 좋아하며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 孔子 - 敏:민첩할 민, 恥부끄러울 치, 問:물을 문 (24). 旣取非常樂 須防不測憂 (기취비상락 수방불측우) 이미 심상치 않은 즐거움을 가졌거든 모름지기 예측할 수 없는 근심을 방비하라. -景行錄 - 旣:이미 기, 須:모름지기 수, 非:아니 비, 常:항상 상, 測:잴 측 (25). 百行之本 忍之爲上 (백행지본 인지위상) 모든 행실의 근본은 참는 것이 제일이다. - 子張 - 忍:참을 인, 爲:위할 위, 할 위 (26). 量寬足以得人 身先足以率人 (량관족이득인 신선족이솔인) 도량이 넓으면 인심을 얻을 수 있고 솔선 수범하면 사람을 통솔할 수 있다. - 王導 - 寬:너그러울 관, 率:거느릴 솔, 量:헤아릴 양 (27). 流水 不腐 (유수 불부)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 - 呂氏春秋 - 流:흐를 류, 腐:썩을 부 (28). 若要人重我 無過我重人 (약요인중아 무과아중인) 만약 남이 나를 소중히 여기기를 요망하거든 나무라지 말고 내가 남을 소중히 여길 것이다. - 孔子 - 我:나 아, 過:지날 과, 重:무거울 중, 要:구할 요 (29). 知足者 富 (지족자 부) 자기 분수에 안심하고 만족함을 아는 자는 마음이 항상 부유하다. - 老子 - 富:잘살 부, 知:알 지, 者:놈 자 (30). 父不言子之德 子不談父之過 (부불언자지덕 자불담부지) 아버지는 아들의 덕을 말하지 말고 자식은 아버지의 허물을 말하지 말 것이다. - 太公 - 談:말씀 담, 過:지날 과, 德:큰 덕 (31). 有錢常備無錢日,安樂須防官病時 (유전상비무전일,안락수방관병시) 돈이 있거든 항상 돈이 없는 날에 대비하여 비축하고 즐겁거든 모름지기 오관이 아플 때를 위하여 예방하라. - 명심보감 - 常:항상 상, 備:갖출 비, 錢:돈 전, 須:모름지기 수
(32). 出門如見大賓 入室如有人 (출문여견대빈 입실여유인) 문밖에 나가 있을 때에는 큰손님을 맞는 것 같이하고 방에 들어 있을 때에는 사람이 함께 있는 것 같이 하라. - 孟子 - 賓:손님 빈, 室:집 실, 入:들 입, 見:볼 견 (33). 恭近於禮 遠恥辱也 (공근어예 원치욕야) 공손함이 예절에 가까우면 치욕은 멀리할 수 있다. - 有子 - 恭:공경할 공, 恥:부끄러울 치, 辱:욕되게 할 욕 (34). 常防賊心 幕偸他物 (상방적심 막투타물) 항상 남을 해치려는 마음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남의 물건을 탐내는 마음을 갖지 말라. - 명심보감 - 賊:도둑 적, 偸:훔칠 투, 탐낼 투 (35). 得寵思辱 居安慮危 (득총사욕 거안려위) 남에게 유달리 사랑을 받거든 앞으로 욕이 돌아올까를 생각하고, 편안히 살거든 앞으로 위험이 닥쳐올까를 미리 염려하라. - 명심보감 - 寵:필 총, 得:얻을 득, 思:생각 사, 慮:생각할 려, 危:위태로워 할 위 (36). 自疑 不信人 自信不疑人 (자의 불신인 자신불의인) 자기 자신을 의심하면 남도 또한 믿지 못하고 자기 자신을 믿으면 남도 또한 의심하지 않는다. - 素書 - 自:스스로 자, 疑:의심할 의, 정할 응, 비길 의, 信:믿을 신 (37). 寶貨用之有盡 忠孝亨之無窮 (보화용지유진 충효형지무궁) 보물은 쓰면 없어지지만 충성과 효도는 할수록 끝이 없다. - 景行錄 - 貨:재화 화, 盡:다할 진, 亨:형통할 형, 窮:다할 궁 (38). 自伐者無功 自矜者 不長 (자벌자무공 자긍자 불장) 스스로 뽐내는 사람은 공이 없고,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은 오래가지 못한다. - 명심보감 - 伐:칠 벌, 矜:불쌍히 여길 긍, 자랑할 긍, 功:공 공 (39). 懼法 朝朝樂 欺公日日憂 (구법 조조락 기공일일우) 법을 두려워하면 아침마다 즐거운 것이요, 공적인 것을 속이면 날마다 근심이 된다. - 명심보감 - 懼:두려울 구, 欺:속일 기
(40). 見賢思齊焉 見不賢而 內自省也 (견현사제언 견불현이 내자성야) 어진 이를 보면 같이 되기를 생각하며 어질지 못한 이를 보면 깊이 스스로 반성할 것이다. - 孔子 - 賢:어질 현, 省:살필 성, 齊:조화할 제 (41). 嚴不出 孝子 嚴母出 巧女 (엄부출 효자 엄모출 교녀) 엄격한 아버지는 효도하는 아들을 길러 내고 엄격한 어머니는 얌전한 딸을 길러 낸다. - 명심보감 - 嚴:엄할 엄, 巧:공교할 교, 솜씨 좋을 교 (42). 人不倦 (인불권) 사람(제자)을 가르침에 게을리 하지 말라. - 論語 - 倦:게으를 권 (43). 大丈夫當容 人無爲人所容 (대장부당용 인무위인소용) 대장부이거든 마땅히 남을 용서할지언정 남에게 용서받는 자가 되지 말라. - 景行錄 - 容:얼굴 용, 丈:어른 장
(44). 居處恭 執事敬 與人忠 (거처공 집사경 여인충) 몸가짐을 공손히 일은 맡으면 공경히 남과의 사귐은 정성을 다해야 한다. - 퇴계교육잠언 - 執:잡을 집, 敬:공경할 경, 忠:충성 충, 與:줄 여 (45). 寡言則省謗 寡欲則保身 (과언즉성방 과욕즉보신) 말수가 적으면 비방을 덜고 욕심이 적으면 몸을 보전한다. - 景行錄 - 寡:적을 과, 謗:헐뜯을 방, 省:살필 성, 欲:욕심 욕, 保:보전할 보 (46). 物極則 否極泰來 (물극즉 부극태래) 만물은 극도에 달하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운수가 극도로 비색 하면 통쾌한 운수가 나온다. - 명심보감 - 極:달 극, 泰:클 태, 否:아니 부 (47). 疑人莫用 用人莫疑 (의인막용 용인막의) 사람을 고용하는데 있어 의심하거든 쓰지 말고 사람을 썼거든 의심하지 말라. - 명심보감 - 莫:없을 막, 저물 모, 疑:의심할 의 (48). 一日不念善 諸惡自皆起 (일일불념선 제악자개기) 하루라도 선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이 스스로 모두 일어난다. - 莊子 - 念:생각 념, 諸:모든 제, 起:일어날 기, 皆:다 개 (49). 禍莫大於從己之欲 惡莫甚於言人之非 (화막대어종기지욕 악막심어언인지비) 화는 나의 욕심에 따르는 것 보다 큼이 없고 악은 남의 그름을 말하는 것보다 심함이 없다. 甚:심할 심, 禍:재앙 화, 從:따를 종 (50). 欲勝人者 必先自勝 (욕승인자 필선자승) 남을 이기려고 하는 자는 먼저 자기를 이겨야 한다. - 呂氏春秋 - 勝:이길 승, 必:반드시 필, 欲:욕심 욕 (51). 三省吾身 (삼성오신) 매일 세 가지를 반성하여 내 몸을 바로 잡아라. (남에게 봉사, 벗에게 신의, 전수한 학문의 익힘의 세 가지) - 論語 - 省:살필 성, 吾:나 오 (52). 大器晩成 (대기만성) 큰그릇은 만들어 낸 기간이 길다. - 老子 - 器:그릇 기, 晩:저물 만 (53). 玉不琢 不成器 入不學 不知義 (옥불탁 불성기 입불학 부지의) 옥은 좋다고 갈아내지 아니하면 좋은 그릇을 만들지 못하며,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의리를 알수 없느니라. - 禮記 - 琢:쪼을 탁, 器:그릇 기, 義:옳을 의 (54). 獨學無友 則孤陋寡聞 (독학무우 즉고루과문) 독학하면서 벗이 없으면 견문이 좁고 학식이 천박하다. - 예기 - 孤:외로울 고, 陋:좁을 루, 寡:적을 과 (55). 祭如在 祭神如神在 (제여재 제신여신재) 제사 때는 조상이 앞에 계시는 듯 하시며 산천의 신을 모실 때에는 신이 앞에 있는 듯이 하셨다. - 논어 - 祭:제사 제, 神:귀신 신, 如:같은 여 (56). 志正則衆邪不生 心靜則衆事不躁 (지정즉 중사불생 심정즉중사불조) 뜻이 정대하면 모든 사심[邪心]이 생기지 않고 마음이 고요하면 모든 일이 잘 되어 분란이 안생긴다. - 王符 - [邪心]=뜻도리에 어긋난 간사스러운 마음 志:뜻 지, 邪:간사할 사, 靜:고요할 정, 躁:성급할 조, 符:부신 부 (57). 孝於親子亦孝之身旣 不孝子何孝焉 (효어친자역효지신기 불효자하효언) 내가 부모에게 효도하면 내 자식이 또한 나에게 효도하나니 내가 이미 효도하지 못하였다면 자식이 어찌 효도하겠는가? - 太公 - 旣:이미 기, 焉:어조사 언, 何:어찌 하, 亦:또 역 (58). 以德勝人則强 以財勝人則凶 (이덕승인즉강 이재승인즉흉) 덕으로써 남보다 낳으면 강하고 재물로서 남보다 낳으면 흉하다. - 魯共王 - 勝:이길 승, 强:굳셀 강, 凶:흉할 흉 (59). 福不擇家 禍不求人 (복불택가 화불구인) 착한 일을 하면 복이 오고, 악한 일을 하면 화가 오나니, 화와 복은 사람과 집을 가리지 않느니라. - 管子 - 擇:가릴 택, 求:구할 구, 禍:재앙 화 (60). 刀槍可惡語難消 (도창가악어난소) 칼로 인해 생긴 상처는 낫기가 쉽고, 악한 말은 소멸하기가 어렵다. - 明心寶鑑 - 槍=창. 무기의 하나.槍劍창검
(61). 破山中賊易 破心中賊難 (파산중적이 파심중적난) 산 속 도적은 격파하기 쉬워도 마음의 도적은 격파하기 어렵다. - 중국 격언 - 破:깨뜨릴 파, 부서질 비, 賊:도적 적, 易:쉴 이, 바꿀 역 (62). 相識滿天下 知心能幾人 (상식만천하 지심능기인) 서로 얼굴을 아는 사람은 세상에 가득하지만 마음을 아는 사람은 능히 몇 사람이나 되겠는가. - 明心寶鑑 - 滿:가득할 만, 能:능할 능, 知:알 지, 識:알 지, 적을 지 (63). 癡人 畏婦, 賢女 敬夫 (치인 외부, 현녀 경부)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한다. - 太公 - 癡:어리석을 치, 畏:두려워할 외, 賢:어질 현 (64). 無遠慮 必有近憂 (무원려 필유근우) 먼 앞날에 대한 생각이 없으면 반드시 바짝 다급한 근심을 당한다. - 論語 - 遠:멀 원, 慮:생각할 려, 憂:근심 우 (65). 人生不學 冥冥如夜行 (인생불학 명명여야행)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저문 밤에 밤길을 가는 것과 같다. - 太公 - 冥:어두울 명, 夜:밤 야, 如:같을 여 (66). 施恩 勿求報 與人 勿追悔 (시은 물구보 여인 물추희) 은혜를 베풀었거든 갚기를 바라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뒤에 후회하지 말라. - 明心寶鑑 - 施:베풀 시, 報:갚을 보, 追:쫓을 추, 悔:후회 회
(67). 有德者 必有言 有言者 不必有德 (유덕자 필유언 유언자 불필유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들을 만한 말이 있거니와 말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반드시 덕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는 없다. - 論語 - 必:반드시 필, 言:말씀 언, 有:있을 유 (68). 博學 審問 愼思 明辯 篤行 (박학 심문 신사 명변 독행) 널리 배우고 상심하게 묻고, 삼가 생각하고,분명히 판단하고 독실하게 행함. - 中庸 - 博:넓을 박, 審:살필 심, 愼:삼갈 신, 辯:분별할 변, 篤:도타울 독, 思:생각 사
(69). 懲忿如救火 窒慾如防水 (정분여구화 질욕여방수) 분함 참기를 불을 끄는 것과 같이하고 욕심 막기를 물을 막는 것과 같이 하라. - 近思錄 - 懲:혼날 징, 忿:성낼 분, 窒:막을 질 (70). 奢則不遜 儉則固 與其 不遜也 寧固 (사즉불손 검즉고 여기 불손야 녕고) 사치하면 교만해지고 검소하면 비천하여진다. 교만한 것보다는 차라리 비천한 것이 낫다. - 孔子 - 奢:사치할 사, 儉:검소할 검, 遜:겸손할 손, 寧:편안할 녕, 차라리 녕 (71). 見人善事 卽須記之, 見人惡事 卽須掩之 (견인선사 즉수기지, 견인악사 즉수엄지) 남의 착한 일을 보거든 곧 모름지기 이를 기억하고 남의 악한 일을 보거든 곧 모름지기 이를 덮어 준다. - 太公 - 掩:가릴 엄, 卽:곧 즉 (72). 人能常淸淨 天地悉皆歸 (인능상청정 천지실개귀) 사람이 능히 항상 깨끗하다면 천지가 모두 돌아간다. - 老子 - 淨:맑을 정, 悉:다 실, 皆:다 개 (73). 積善如渴 聞惡如聾 (적선여갈 문악여롱)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른 것 같이 하고 악한 일을 듣거든 귀머거리같이 하라. - 太公 - 渴:목마를 갈, 聾:귀머거리 롱 (74). 寡言則省謗, 寡欲則保身 (과언즉성방, 과욕즉보신) 말수가 적으면 비방을 덜고, 욕심이 적으면 몸을 보전한다. 省:살필 성, 謗:헐뜯을 방 (75). 欲多傷神 財多累身 (욕다상신 재다루신) 욕심이 많으면 정신이 상하게 되고 재물이 많으면 몸에 해를 끼친다. - 老子 - 傷:상할 상, 累:묵을 루, 부를 루 (76). 無良無賴之徒 有一端之長則取之 實與人爲善之道也 (무량무뢰지도 유일단지장즉취지 실여인위선지도야) 아무리 변변치 못한 사람이라도 한가지라도 취할 점이 있다면, 본받을 것이니 이는 실로 사람됨의 착한 길이다. - 퇴계 교육잠언 - 賴:힘입을 뢰, 端:바른 단, 徒:무리 도 (77). 朋友切切偲偲 兄弟怡怡 붕우절절시시 형제이이 좋은 친구를 얻는 방법은 먼저 좋은 친구가 되는 것이다_《논어》, 〈자로子路〉 - 벗끼리는 간절하게 서로 충고해 주며 선한 것을 서로 권하고 격려하여야 하며 형제는 서로 화목하고 사랑하여야 한다. - 孔子 - 切:간절 절, 偲 :굳셀 시, 怡:기쁠 이 (78). 誠無悔 恕無怨 和無 忍無辱 (성무회 서무현 화무수 인무욕) 진실하면 후회가 없으며, 용서하면 원망함이 없고, 화목하면 원수가 없으며 참으면 욕이 없다. - 景行錄 - 誠:정성 성, 悔:뉘우칠 회, 恕:용서할 서, 辱:욕되게 할 욕 (79). 善人 不善人之師, 不善人 善人之資 (선인 불선인지사, 불선인 선인지자)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의 스승이고,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의 도움이 된다. - 老子 - 善:착할 선, 資:재물 자, 방종할 자 (80). 淸貧常樂 濁富多憂 (청빈상락 탁부다우) 창백하여 가난함은 항상 즐겁고, 부정한 수단으로 얻는 부는 근심이 많다. - 周禮 - 濁:흐릴 탁, 憂:근심 우, 淸:맑을 청, 常:항상 상 (81). 知恩 報恩 風光如雅 有恩不報 非爲人也 (지은 보은 풍광여아 유은불보 비위인야) 은혜를 알고 은혜를 갚으면 인품이 고상한 것 같고 은혜를 받음이 있으면서 갚지 않으면 사람된 품이 그르다 할 것이다. - 太公 - 知恩:은혜를 안다. 報恩:은혜를 갚다. 雅:올바른 아, 報:갚을 보 (82). 浩然之氣 (호연지기) 천지간에 충만한 지대·지강한 원기를 이름. 행동이 도의에 합하여 부끄러움이 없으며 그 몸에 생기는 불요 불급의 도덕적인 윤기.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러울 바 없는 도덕적 용기. - 孟子 - 浩:클 호, 然:그러할 연 (83). 富潤屋 德潤身 (부윤옥 덕윤신) 부자가 되면 집이 윤택해지는 것처럼, 덕은 내 몸을 윤택하게 한다. - 大學 - 潤:윤택할 윤, 屋:집 옥, 富:잘살 부 (84). 心正則 筆正 (심정즉 필정) 마음이 반듯하면, 글씨가 반듯하여 진다. 무슨 일이고 다 그러하다. - 柳公權 - 筆:붓 필, 則:곧 즉, 법 칙
(85). 性相近也 習相遠也 (성상근야 습상원야) 인간의 성품은 누구나 서로 큰 차이가 있다. 습관이 오래 쌓이어 사람의 차이를 서로 멀고 크게 한다. - 論語 - 性:성품 성, 習:익힐 습, 遠:멀 원, 近:가까울 근 (86). 富潤屋 德潤身 (부윤옥 덕윤신) 부자가 되면 집이 윤택해 지는 것처럼, 덕은 내 몸을 윤택하게 한다. - 大學 - 潤:윤택할 윤, 屋:집 옥, 富:잘살 부 (87). 遊刃有餘(유인유여) [遊(놀 유刃(칼날 인)有(있을 유)餘(남을 여) 일처리가 매우 능수능란(能手能爛)함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장자(莊子) 제3 양생주(養生主)편.
(88). 性相近也 習相遠也 (성상근야 습상원야) 인간의 성품은 누구나 서로 큰 차이가 있다. 습관이 오래 쌓이어 사람의 차이를 서로 멀고 크게 한다. - 論語 - 性:성품 성, 習:익힐 습, 遠:멀 원, 近:가까울 근 (89).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 (불의이부차귀, 어아여부운) 의롭지 못하게 얻어진 부를 귀하다는 것은 내게 있어서는 뜬 그름과 같다. - 老子 - 浮:뜰 부, 雲:구름 운, 且:또 차, 義:옳을 의 (90). 非無安居, 我無安心也, 非無足財 我無足心也 (비무안거, 아무안심야, 비무족재 아무족심야) 편안한 곳이 없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편안한 마음이 없는 것이다. 만족할 만한 재산이 없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만족할 만한 마음이 없는 것이다. - 墨子 - 非:아니 비, 我:나 아, 居:살 거, 財:재물 재 (91).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지지위지지, 불지위불지 시지야) 아는 것을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하는 것이 바로 아는 것이니라. - 論語 - 知:알 지, 是:옳을 시 (92). 一言不中 千語無用 (일언불중 천어무용) 한마디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아무리 많은 말도 소용이 없다. - 明心寶鑑 - 言語訓練의 중요성과 多言의 피해 訓:가르칠 훈, 練:익힐 연 (93). 輕諾者 信必寡 面譽者 背必非 (경락자 신필과 면예자 배필비) 경솔하게 승낙하는 사람은 신의가 반드시 적고 면전에서 칭찬하는 사람은 등뒤에서 반드시 헐뜯는다. - 明心寶鑑 - 輕:가벼울 경, 諾:대답할 낙, 寡:적을 과, 譽:가릴 예 (94). 貪心害己 利口傷身 (탐심해기 이구상신) 탐하는 마음은 몸을 해롭게 하고 날카로운 입은 몸을 다치게 한다.- 太公 - 貪:탐할 탐, 傷:상할 상, 害:해로울 해 (95).良藥苦於口 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양약고어구 이리어병, 충언역어이이리어행)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는 이롭고, 충성스러운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함에는 이롭다. - 孔子 - ㅍ苦:쓸 고. 쓴 맛 고, 病:병 병, 逆:거스를 역 (96). 知足者貧踐亦樂 不知足者 富貴亦憂 (지족자빈천역락 불지족자 부귀역우) 족(만족)을 아는 사람은 가난하고 신분이 낮아도 또한 즐거울 것이고, 족함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돈이 많고 신분이 귀하여도 또한 걱정된다. - 明心寶鑑 - 貧:가난 빈, 踐:천할 천, 憂:근심 우 (97). 水至淸則無魚, 人至察則無徒 (수지청즉무어, 인지찰즉무도) 물이 몹시 맑으면 물고기가 없고, 사람이 너무 분명히 살피면 친구가 없다. - 明心寶鑑 - 察:살필 찰, 徒:무리 도, 至:이를 지 (98). 自滿者敗, 自矜者愚, 自賊者忍 (자만자패, 자긍자우, 자적자인) 스스로 만족하는 사람은 실패하고,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은 어리석고, 스스로를 해치는 사람은 잔인하다. - 景行錄 - 滿:가득할 만, 矜:자랑할 긍, 불살여질 긍, 愚:미련할 우, 賊:도적 적, 敗:패할 패, 忍:참을 인 (99). 驥不稱其力 稱其德也 (기불칭기력 칭기덕야) 명마란 힘을 일컬음이 아니라 그 미점을 말하는 것이다. - 孔子 - 驥:천리마 기, 稱:일컬을 칭 (100). 欲識其人先視其友 欲知其父先視其子 (욕식기인선시기우 욕지기부선시기자) 그 사람을 알고자 하거든 먼저 그 벗을 보고, 그 아버지를 알고자 하거든 먼저 그 아들을 보아라. - 王道 - 識:알 식, 視:볼 시, 欲:바라볼 욕, 욕심 욕 (101). 敬是入道之門 (경시입도지문) 경(敬)이란 진리로 들어가는 문이다. (반드시 정성으로 힘쓰고 쉬어서는 안 된다) - 퇴계교육잠언 - 敬:공경할 경, 道:길 도 (102). 遷善當如風之速 改過當如雷之決 (천선당여풍지속 개과당여뢰지결) 선으로 옮기기를 마땅히 바람의 속도와 같이하고 허물 고치기를 마땅히 우뢰 터지는 것과 같이 할 것이다. - 近思錄 - 薦:옮길 천, 速:빠를 속, 雷:우뢰 뢰, 決:터질 결 (103). 無義錢財渴潑雪 儻來田地水推沙 (무의전재갈발설 당래전지수추사) 의롭지 못한 돈과 재물은 끓은 물을 눈에 뿌린 것 같이 사라지고, 뜻밖에 자기 수중으로 굴러 온 전답은 물이 모래를 밀어도 덮었네. -明心寶鑑 - 渴:목마를 갈, 潑:뿌릴 발, 雪:눈 설, 儻 :빼어날 당, 推:옳을 추
(104). 將方上不足 比不有餘 (장방상부족 비불유여) 곧 위에 비교하면 족하지 못하나 아래에 비교하면 남음이 있다. - 明心寶鑑 - 將:장차 장, 장수 장, 比:견줄 비, 도울 비, 餘:나물 여 (105) 恭而無禮則勞하고 -공손하기만 하고 예가 없으면 수고롭기만 하고, (공이무례즉노) 愼而無禮則恐하고 - 조심하기만 하고 예가 없으면 두려워하는 것 같고, (신이무례즉공) 勇而無禮則亂하고 -용맹하기만 하고 예가 없으면 혼란하고, (용이무례즉란) 直而無禮則迫이니라 - 곧기만 하고 예가 없으면 박절하다. - 孔子- (직이무례즉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