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 감 리 교 회 사
I. 개척교회 시대
1. 쇄국정책과 선교활동
(1) 시대적 배경
* 1832.7.:최초의 선교 선교사 퀴즈라프 - 서해안 상륙 선교 교섭 실패
* 1866.:오페르트(독일인-유태계) - 강화유수 김재헌에 문호개방 교섭실패
(2) 퀴즈라프 목사의 처음 접촉
* 중국 내륙 전도의 개척자 였음.
* 1832. 7. 17. : 장산(황해도) - 고기잡이 배에 한자성경책을 줌.
# 이 당시 1827년 천주교인 500여명이 체포된 수난 사건이 있었음
퀴즈라프
* 18세에 선교사로 자원하여 - 동양언어 배움.
* 황실장학금으로 "베르린" 신학교 졸업 (1821).
* 의술 까지 연마.
* 목사안수 (1826. 7. 20).
* 1829. 런던 전도협회 소속으로 - 천진 도착 (기독교 서적. 약품).
* 홍콩에서 중국인 선교사 양성, 많은 서적 남김.
(3) 토마스목사의 처음 순교
* 퀴츠라프 선교사가 다녀간지 13년 뒤에 1865 토마스목사가 옴.
토마스 목사
* 1840. 9. 영국 웨일즈 지방의 목사의 2남으로 출생.
* 에딘버에 있는 뉴우 칼리지(New College)를 졸업.
* 23세 스코트란드의 하노바 교회에서 선교사가 되려고 목사 안수 받음.( 1963. 6. 4. )
* 1863. 7. 부인과 함께 중국 상해 도착 (부인 사망).
* 북경 도착 - 중국을 출입하는 한국인(상인) 천주교 신자를 만남.
* 1865. 9. - - 한국 천주교인 안내로 한국 해안 도착. (한국어배움).
해변가에 " 두달반" 머물음. (2권의 책을 받지 않음).
* 육로 동해 만주 경유-- 북경 도착.
* 다시 천진을 거쳐 1866. 7. 29. 대동강을 거스려 올라옴.
선교 개국 교섭 했으나 = 보수적인 쇄국정책 1866. 8. 24. 배가 소각당함. (토마스 목사와 20여명 희생).
== 셔먼호 사건 ==
* 이 사건이 계기가 되여 15년 후에 미국과 정식 외교 관계 수립
국제적 외교 관계 = = 1884. - 이탈리아, 러시아
= 1886. - 프랑스, 서구 여러 나라
외교관 교환으로 서구문화 들어 옴.
기독교 선교사들이 들어 옴. (전도의 문이 열림).
2. 문호개방과 선교동기
(1) 이수정의 성서번역활동
* 한국에 개신교가 들어 오기 전 - "이 수정"은 40세에 일본에 건너가 서구의 과학과 진보된 새로운 지식을 연구 함.
* 이때 -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즈다를 만나게 됨.
즈다
* 미국감리교회 선교사 "소퍼"목사에게 세례받음. 감리교인임.
* 농학박사, 농업입국을 주장하는 교육가 임.
* 1882. 9. - 농업지식 얻기 위해 즈다를 방문했을 때 한자" 산상수훈 족자"를 인상깊게 보고, -그 한자의 뜻을 깨닫게 되자 기독교 진리를 파악할 수 있었음.
* 그후 즈다를 통하여 기독교를 배우게 됐고, 한문성경을 애독케 됨.
* 1883. 4. 29. "야스가와"목사로 부터 세례를 받음.
일본에서의 한국인 최초의 개신교 신자가 됨.
* 한자성경을 한글로 번역(세례 받은지 두달 만에) " 현토한한 신약성경"
* 한국에 선교사들을 오게 하는 활동 함 (- 언더우드).
* 갑신정변 이후 - 한국에 돌아 왔으나 = 정부는 "위험인물"로 지적하여 비밀리에 처형 됨.
# 일본에 체류하면서 - 동경대학의 한국어 강사.
# 성서번역과 문서를 통한 한국선교를 호소.
# 일본과 세계를 향해 한국을 올바르게 인식시키는데 힘씀.
# 초기 한국선교사들에게 - 영향을 끼침.
(2) "민영익"사절과 "가우쳐"목사의 만남
* 한미 두나라 사이에 국교가 정상화 되자 답례로 우리나라에서 "보잉 사절단"을 보내기로 결정하여 "민영익"사절은 7. 15 인천을 출발 함. (9. 2. 쌘프란시스코 도착).
* 13일 밤 열차로 시카고를 떠나 와싱턴을 향했는데 그 열차에서 "볼티모아"의 "가우처"목사를 만난 것이 미국감리교회의 한국선교 직접동기가 됨.
존 - 가우처 목사
* 미 감리회의 목사 였음.
* 선교와 교육에 큰 관심을 가진 분임.
* 볼티모아 가우처 대학의 창설자(총장직 겸함).
* 열차 안에서 "민 영익"을 만나 가우처는 한국에 대한 많은 것을 알게 됐고 깊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 " 선교의 가능성" 을 발견 함.
* 1883. 11. 6. - 미국 감리교 해외 선교부에서 " 한국 선교 정책을 건의"함.
# 자신이 $2, 000, 후에 $3, 000을 희사 함. (승인 받는데 실패 함).
* 1884. 1. 31. - 중국에서 15년간 선교활동하고, 일본에 주재하고있는 "맥클레이" 목사에게 한국에 직접 가서 선교 개척 가능성 진단을 부탁하는 편지를 보냄.
* 1884. 6. 19. - 맥클레이 박사가 부인 동반하여 한국에 옴.
(3) 맥클레이와 선교윤허
맥클레이
* 1824. 2. 7. 펜실바니아주 콘코드에서 출생.
* 1846. 티킨슨 대학 졸업.
* 볼티모아의 연회원으로 목사 안수 받음.
* 1847. 8. 30. 중국 선교사 임명. (북주에서 25년간 선교 활동).
* 1872. 12. 미국 뉴욕에서 열린 미 감리회 총회에서 일본선교 결의되자- 일본 주재 선교 관리자로 임명.
* 맥클레이 일본에 머물면서 - 한국에서 일본에 왕래 하는 신사유람단이나 유학생과 망명객들을 사귀는데 특히 "김옥균"을 알게되어 - 한국 방문에 큰 도움을얻게 됨.
* 한국 공사관에 체류하면서 " 선교의 허락"을 받음. (윤 치호가 통역). "교육과 의료에 한함"
# 선교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큰 역활을 함.
# 감리교회가 한국에 들어 오는데 직접 간접적인 서신을 통하여 해산의 수고를 다 하였음.
# 1848(중국), 1873(일본), 1884(한국) 동양 3국에 주의 복음의 빛을전하여준 선교 초기의 개척자, 공로자 임.
# 미 감리교회 한국선교의 "양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3. 선교지로서의 한국 풍토
정 치 : 세도정치와 쇄국정책
사 상 : 유학사상과 동학사상
: 개화의 물결
II. 남북 감리교회 시대
1. 미(북) 감리교회의 선교
감리회 = * 요한 웨슬레 1738. 5. 24." 올더스케잇 체험"
* 최초의 감리교회 = 영국에서 요한 웨슬레가 1740. 7. 에 조직.
* 제 1 회 연회 = 1744. 6. 24. 런던에서 개최.
* 미 감리교회 = 1771. 1. 요한 웨슬레가 파송한 "애스버리"가 개척함.
* 미 감리교회 조직 = 1784. 12. 24. 웨슬레로 부터 미국 감리교회의 총리사로 임명받은 "토마스-코크"가 감독으로 됐다가, 반대로 선거하여 "애스버리"가 감독이 됨.
* 미국에서 해외 선교사를 파송하게 된것은 국내 부흥 운동의 결과임.
이것을 "제 2 의 각성기"라고 함.
* 1810. 외국 선교를 위한 미국 위원회 조직.
* 1814. 미국 침례교 선교사 협의회
* 1819. 감리교 해외 선교부 조직.
* 1837. 장로교회 외국선교부 조직.
* 1869. 보스톤에서 독실한 8명의 부인등에 의해 " 미 감리교 여자 해외 선교부"가 별도로 조직됨이 자극되여 - 1878. "미 남감리회 해외 선교부"가 조직 됨.
(1) 초기 선교사의 래한과 갑신정변
* 한국에서 "교육과 의료사업" 을 하도록 정식 허락을 받은 "미 감리회 해외 선교부" 는
┌/// 의료선교 = 스크랜톤 박사
└/// 교육선교 = 아펜젤러 목사 임명 함.
스크랜톤 박사
* 예일 대학 졸업
* 1882. 뉴욕 의과대학 졸업
*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에서 개업 선교사로 임명.
* 1884. 12. 4. 뉴욕시 에서 포플러 감독에게 목사 안수 받음.
아펜젤러
* 18세때 중생 체험.
* 1882. 프랑클린마샬 대학 졸업.
* 뚜루 신학교 재학중 선교사로 임명. 졸업.
* 1884. 겨울 - "하트포오드 신학교 연합집회"에서 선교사 결심.
희망지는 일본이였는데 - 뜻밖에 한국으로 가려던 친구가 어머니의 중병으로 떠나기 어렵게 되자 친구를 대신하여 한국으로 오게됨.
* 1885. 2. 2. 샌프란시스코에서 포플러 감독에게 목사 안수 (한국으로 출발하기 전날밤. )
# 최초의 감리회 선교사 - "미국 감리회 해외 선교부"에서 임명.
┌/// * 아펜젤러 목사 내외
5명 ////┼/// * 스크랜톤 박사 내외
├/// * 메리- 스크랜톤 부인( 스크랜톤 박사 어머니) == 여 선교부
| 에서 파송. - 1885. 2. 3. 샌프란시스코 출발
| - 2. 27. 일본, 요꼬하마 도착
└/// * 맥클레이 박사(일본 선교 책임자) 댁에서 3. 5. 선교사 회
의 열림.
# 1885. 3. 31. 포플러 감독은 "한국 선교부 조직"
┌//// 감리사 : 맥클레이 박사
├///// 부 감리사 : 아펜젤러.
└///// 회 계 : 스크랜톤 박사.
# 스크랜톤 박사는 일본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을때 - 일본에 망명중인 "박효영"을 만나 한국이 얼마나 교육과 기독교를 갈망하고 있는가를 알게 됨.
# 3. 31. 선편으로 - 미 북장로교회 선교사 언더우드와 함께 일본나가사끼 항을 떠나 한국으로 향함.
# 1885. 4. 5. 부활절 아침 인천(제물포)에 봄비를 맞으며 상륙함.
(2) 근대식 교육기관
- 신교가 들어 오기 전의 교육은 중국교육제도를 모방한 "남자 중심의 유학교육"이였음.
- 1883. 8. 한국 정부의 고문인 뮐렌도르프의 힘으로 "관립학교" -- 영어교육
①, 배재학당
②, 이화학당
미 감리교 여선교부 에서 파송받은 메리-핏취 스크랜톤 부인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현대식 여성교육기관이다.
③, 영화학당
인천(제물포)에 세워진 선교 초기의 여성 교육기관임.
1892. 4. 30. 존슨 부인이 선교사 사택에서 한 소년을 데리고 시작 함.
④, 광성학교
"격물학당"으로 알려짐. "널리 사물의 이치를 캐내어, 정확한 지식을
얻는다."
- 1894. 봄. 미 감리교 의료선교사 허을 박사에 의해 평양에 설립됨.
⑤, 영명학교
- 1905. 가을. 샤프 목사 부인 "사애리시"여사가 설립함.
--- 논산 = 영화여학교
--- 강경 =만동여학교 설립.
- 1907. 남자 영명학교 "윌리암스"가 설립.
⑥, 정의여학교
- 노블 부인과 포웰 부인에 의하여 설립(1899. 9. 4. )
⑦, 삼일학교, 삼일여학교(매향)
- 1903
⑧, 양정학교
- 이천 1910 미(북) 감리회 한국 여선교부 에서 설립.
2. 남감리회의 선교
* 미국에서의 감리교회는 날로 부흥됨.
그러므로 1819. 부터 해외선교사업도 적극적으로 활동을 전개함.
그러던중 1844. 5.에 뉴욕에서 열린 "미 감리회 총회"에서 흑노 해방문제를 가지고 한 달동안 격론을 벌려 6. 1. 과반수(110:68)로 "노예폐지안"이 통과됨.
* 여기에 반대하던 남부연회 대표들이 1845. 5. 미 남감리회를 별도로 조직 했고== 1846. 5. 에 제1회 총회 개최로 완전히 분리됨.
해외 선교사업도 별도 실시됨.
우리나라에는 미(북)감리회보다 10년 늦게 윤치호가 유학 후 돌아 옴으로 적극적인 활동으로 선교가 들어옴.
(1) 윤 치호의 선교기금
* 갑신정변의 어려움 있을때 (19세) - 김 옥균선생의 총애로 신변보호 위해외국으로 나가게 됨. (당시, 미국공사관의 통역)* 프우트공사의 소개로 - 상해 주재 스톨 총영사를 찿아가, 중서대학의 총장인 알렌 박사에게 소개되어 -- 그 대학에서 공부함.
* 기숙사에 숙소를 정하고 본넬교수의 지도 밑에 영어 신 지식 습득.
* 1887. 4. 3. 본넬 목사에게 세례받음. (한국 최초의 남 감리교회의 교인 됨)
* 1888. 10. 중서대학 졸업하고,11. 4. 도미 -- 밴더빌트 신학부 2년간 수학
* 1890. 에모리 대학으로 떠나기 앞서 == 상해에서 자신이 근검 절약하여 저축해 모은 돈 $200을 "캔들러" 총장에게 "한국의 기독교 학교설립"을 위해 맡김.
* 고국을 떠난지 10년 만에 (국내정세- 갑오동학 혁명으로 많이 변함) 1895.2. 13. 귀국함.
* 귀국하여 에모리 "캔들러" 총장과 "알렌"박사에게 서신을 발송하고 "한국에 들어와 속히 선교"하도록 요청함.
* "캔들러" 총장은 편지를 받고 한국 선교의 필요성을 기관지에 실림.
* 기관지를 보고 "포플러"부인이 $500의 공채증서를 선교부에 희사함.
* 선교 답사 위해 "헤릭스"감독이,중국에서 선교하던 리이드 박사를 대동하고 1895. 10. 상해 출발. -- 인천에 도착.
* 1896. 5. 28. 리이드 박사가 재차 래한하여 6주간 주택수리.
선교활동위한 만반의 준비 완료 후 -- 상해에 있는 가족 데려옴.
(2) 교육사업의 전개
* 1896. 8. 14. 서울에 도착한 리이드 박사는 남감리교에서 파송받은 최초의 선교사 임.
* 1897. 1. 27. 영국인으로 상해의 "성서공회"에서 일하던 콜려 목사가 남 감리회 여 선교사와 결혼하고 == 한국에 선교사로 래한 함.
* 1987. 2. 9. 윤 치호선생과 리이드 박사는 개성의 이 건혁댁(윤 치호의 이모부 댁)에 도착하여 유숙함. 이곳에서 물질적인 도움으로 "선교기지"를 개성으로 정함.
-- 학교, 병원 등 선교사업 시작 함.
* 1987. 10. 9. 중국에서 선교활동하던 "캠벨"부인이 남 감리회 해외 여선교부에서 최초의 여선교사로 한국에 파송 됨. (양녀, 중국여자 여도라양 데리고 부임함).
① 배화학당
* 캠벨부인에 의하여 1898. 10. 2. 개교.
* 당시, "캐로리나"학당이라고 불렀는데 -- 이는 미국 남 캐로리나의소년 노녀들이 약간의 보조금을 보내 준것이 인연이 되였기 때문임.
* 1909. 4. 27. "배화여고"로 개칭, 4년제 중등과, 초등과 병설 함.
② 누씨학당
* 1896. 부터 미 감리회 선교지역으로 개척 됐으나, 1901. 10. 20. 원산과 동해안 지역의 사업을 남 감리회로 넘겨 줌.
* 누씨학당은 여 선교사 캐롤양 과 놀스양이 원산에서 1903. 11. 19. 여 선교부 후원으로 산제동에 초가집 얻어 15명으로 시작 함.
* 미국 북 캐로라이나 여 선교회 회장이였던 누씨-컨잉김 부인이 한국에서 여 학교를 위한 건축비를 청구 했다는 소식을 듣고 건축비를 은행에서 차용하여 원산에 보냄. 산제동에 양옥석조 건물 4층 교사 신축.
* 1913. "사립 누씨 컨잉김 여학교"로 설립 인가 받음.
* 1921. 4년제 고등과 설치
* 1923. "사립 누씨 여학교"로 개칭.
③ 호수돈 여학교
* 개성은 남 감리회에서 가장 선교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한 곳이다.
* 호수돈 여학교는 1904. 12. 4. 여 선교사 갈월양, 왕래양이 한옥1동을 마련하여 12명의 여아를 데리고 송도에서 여성교육의 시초를 이룸.
* 처음에는 "개성 여학교"라 했으나, 창설때부터 많은 경제적 도움을 준 "두을라"의 이름을 따서 "두을라 학당"이라고 부름.
* 1909. 4. 중학과 설치
* 1909. 6. 스텔리 박사가 그의 돌아가신 어머니를 기념하기 위하여 친구들의 물질적인 원조를 받아 거액을 희사하여 교사를 신축함. 교명을 스탤리 박사의 거주지 이름 "홀스톤"을 한자 역음으로 "호수돈"이라고 부름.
④ 한영서원 (송도고보)
* 1906. 여름 북부 예배당에서 야학으로 왕 영덕 목사에게 영어를 배우던 3학생이 캔들러 감독을 방문하여 (서울 연회 중) 학교설립을 간청 함.
* 1906. 10. 3. 한영서원이 윤 치호씨가 교장 되여 개교함. 윤 치호씨가 10년전 (1893년) $200을 위탁하고 "한국에 기독교 학교를 설립해 달라"고 한 요구가 이루어 지게 됨.
⑤ 미리흠 여학교
* 1906. 4. 기의남 박사의 부인이 한옥 1동을 구입하여 8명의 과부와 기혼여성을 모아 교육 시작 함.
* 처음 교명을 "송계학당" 또는 "영어학당" 이라 부름.
* 미국에 있는 해외선교부에서 "메리헴" 양의 기념사업으로 거액의 금액을 받아 == 학교를 경영한 까닭으로 "메리헴 학교"라 불렀다.
* 1911. 호수돈 여학교 근내로 옮김.
* 1912. 존스톤 양이 정식 파송을 받고 초대 교장 됨.
3. 교회의 설립과 조직
* 1884. 6. 25. 한국에 처음으로 맥클레이 박사가 고종 황제로 부터 선교사업의 윤허를 받은 것은 교육, 의료사업 뿐이였지, 전도사업은 허락되지 않았다.
근대식 학교와 병원이 설립된 후에 교회가 세워지게 됨.
# 아펜젤러 == 배재학당 옆에 == 정동 교회
# 스크랜톤 == 상동병원 " == 상동 교회
# " == 동대문 시약소 == 동대문교회
1) 미(북)감리교회
* 미 감리교회에세는 초기 선교사로 파송 받은 아펜젤러 일행 5명은 부임 도중 1885. 3. 31. 부로 == 한국 선교사 감 리 사 == 맥클레이
부 감리사 == 아펜젤러
회 계 == 스크랜톤 임명 됨.
* 갑신정변의 여파로 - 국내 정세 안정됨.
* 당시, 전도금지로 배재학당의 교육을 통해 학원전도에 힘씀.
* 1896. 미국 망명에서 서 재필 귀국으로 1896. 4. 7. 독립신문 발간.
1896. 7. 2. 독립협회 조직. == 출판의 자유 부르짖음.
신교의 선교활동 활발하게 추진됨.
< 구역회 지방회 조직 >
* 1897. -- 서울 구역회 조직
** 한국 선교지방 -- 감리사 : 시란돈 (스크랜톤)
1, 제물포, 강화, 연안구역 -- 구역장: 조 원 시
2, 평양, 삼화구역 --------- " : 노 보 을
3, 서울구역(정동,상동,동대문) " : 시 란 돈
4, 수원, 공주 구역 -------- " : 서 원 보
5, 원산 구역 ------------- " : 맥 길
* 1901. 교세 확장됨으로 3지방으로 분활.
** 1901. 11. 1. 인천 -- 한국 서 지방회--장로사:노보을
** 1901.12.1. 평양 -- " 북 " -- " :조원시
** 1902. 5.1. 서울 -- " 남 " -- " :시란돈
# 최초로 김 창식, 김 기범 목사안수 받음
* 1902. 5. 18. 최 병헌 목사안수
* 1903. 5. 3. 이 은승 "
* 1904. 5. 9. 서울 정동교회 노블감리사 사회로= 급변하는 사회개혁및 정세에 관하여 토의하고 결혼문제, 노예제도, 안식일준수, 도박과 오락도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것 절대금함.(125쪽 참고)
* 1908. 3. 선교연회가 완전히 독립 제1회 한국연회를 일본주재 해리스감독이 내한하여 -- 정동제1예배당에서 3. 11. 개최 함.
< 처음 세워진 교회 >
가) 정동 교회
* 아펜젤러가 1885.8. 배재학당 세워 신교육하며 학원선교 시작.
1886. 10. 11. 한옥에 4명이 모여 첫 예배드림.
( 벧엘 교회 라고 부름)
* 1896. 양력 사용
* 1896. 4. 독립신문 발간
* 1896. 7. 독립협회 탄생 == 서 재필, 윤 치호의 활약으로 신교의 자유를 얻어 교회신축케 됨.
* 1898. 10. 26. 정동교회 신축봉헌
나) 상동 교회
* 1885. 9. 10. 내한한 스크랜톤이 상동병원에서 기도회 시작.
* 교회 명칭을 달성교회(1900), 1901. 미국 스탠포오드에 있는 "미이드" 양이 자기 어머니를 기념하여 거액을 보내와 벽돌 예배당 봉헌
상동 미이드 기념교회라 부름.
다) 동대문 교회
* 1892. 12. 25. 성탄일에 동대문 옆 "볼드윈 기념예배당"이 시작.
# 볼드윈 박사는 뉴욕에 사는 분인데 - 그는 볼드윈 시약소와 학교를 세워 많은 후원을 함.
1900. 까지 - "볼드윈 예배당"
1906. 까지 - "볼드윈 동대문 예배당"
1908. 이후 - "동대문 교회"
* 1910. 5. 15. 동대문 신축교회 봉헌
라) 제물포(인천) 웨슬리 교회
* 아펜젤러 내한 1년 후 1886. 4. 25. 인천에서 예배 드림.
* 1891. 8. "제물포 웨슬리 기념 예배당"이 신축됨.
마) 평양 교회
* 1893. 4. 1. 평양시 서문통에 큰 목조건물을 허을 목사가 구입하여 예배 시작.
2) 남 감리교회
* 1895. 10. 8. 명성왕후가 시해당한뒤 국내 정세가 어지러울때 헨드릭스 감독은 -- 중국에서 선교하던 이덕 박사를 대동하고 10. 13. 래한 함.
## 이때-- 윤 치호의 역활과 공이 컷음.
* 이미 활동하고 있는 스크랜톤 박사의 도움으로 현재 한국은행 본점이 있는중심지에 선교기지 정하고 1894. 8. 14. 중국(상해)에서 가족을 데려옴.
* 그후 - 2주간 후 -- 헨드릭스 감독으로 부터 "중국 선교연회 한국지방 장로사"로 임명 받음.
* 스크랜톤이 상동교회의 진실한 교우 김 주현과 김 흥순을 이덕 박사에게 추천 하여 조력하게함. 서울 근교 "고양읍 교회"를 짖게 됨. (현재, 광희문 교회)
< 지방회 및 구역회 조직 >
* 1897. 9. 10. "제1회 한국 선교 지방회"가 서울에서 개최.
# 2개 구역 - 서울 -- 구역장 : 이 덕 박사
_ 개성 -- " : 고 영복 목사
* 1898. 1. 16. - "서울 구역 제1회 구역회" -- 고양읍에서
- "개성구역 " " " -- 문산에서
# 김 흥순의 전도결실로 문산과 개성 남부교회가 설립됨.
* 1900. 4. 15. 부활주일, 배화학교 기도실에서 주일예배 시작한 것이 발전하여 "종교 교회"됨.
* 1900. 윌슨감독은 3개 구역으로 함.
# 1. 서울 구역장 : 무야곱
2. 개성 " : 고영복
3. 원산 " : 하리영
* 1904. "한국선교지방회"에서 김 흥순(44세)에게 전도인 허가장을 수여함.
( 남 감리교회의 최초의 성직자임).
* 1906. 9. 18. 지방회 때 정 춘수(32세), 주 한명이 전도사 직첩받음.
# 이때 부터 미 감리회와 남 감리회가 모두 교회이름을 감리교회로 통칭하게됨.
* 1911. 10. 1. "제 15회 선교회" 개회중에 서울 종교교회에서 머리 감독으로부터 김 흥순, 정 춘수, 주 한명이 목사안수(집사) 받음.
# 남 감리교회에서 베푼 최초의 한국인 목사 임.
* 1922. 9. 8. "제 16 회 선교회" -- 개성 북부 예배당에서 홍 종숙(35세)이 화춘(42세)에게 머리 감독이 목사안수 함.
* 1914. 8. 23. 오 화영, 김 영학, 김 태곤 -- 목사(집사)안수 함.
* 1915. 10. 3. 유 시국, 한 인수, 박 학면, 신 공숙, 정 재덕목사(집사)안수# 김 홍순, 정 춘수, 양 주삼에게 장로목사 안수 함.
4. 만주와 시베리아 선교
* 만주는 지리적, 역사적으로 서로 떠날 수 없는 한민족의 연원지 임.
#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학정에 희생된 우리민족의 피난처
# 조국의 광복과 항일투쟁의 발상지이며, 애국지사의 망명처 임.
기독교는 학교를 설립하여 -- 교육과 선교로서 애국심과 신앙심을 배양 함.
(재만동포 1945. 6. = 260만명, 당시 한국인구 2, 600만명 )
< 한 민족의 이민 동기>
* 빈곤과 생활난
* 한일합방 후 일본 관원의 박해로 인한 사상의 자유와 독립을 위하여
< 한국인이 경영하는 신학교> -- 1939년 현재 --
* 길림 신학교 -------- 조선 기독교회 설립
* 용정 성경학원 ------ 조선 기독교 장로회 설립
* 용정 여자성경학원 -- 남 감리회 선교부 설립
* 사평가 신학교 ------ 감리교회 설립
III . 의료사업과 민족교회로서의 활동
1. 의료사업과 인재양성
* 맥클레이 박사가 미 감리교 해외 선교부에 보고하여 첫번째 의료선교사로 피택되여 임명받은 사람이 " 스크랜톤" 박사 임. ( 1885. 6. 20. 본인, 부인, 어머니 래한 함. )
* 그러나 최초의 의료 선교사는 알렌 박사 임. (미북 장로회 의료선교사)
-- 1884. 9. 20. 래한 함.
## 최초 선교사로 왔으나 -- 비밀리에 외국 공사관의 공의로써만 일 하다가, 1884. 12. 4. 갑신정변으로 정부 고관인 민 영익의 중상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서양 의학의 우수성을 과시케 됨. 국왕의 전의가 됐고 -- 광혜원(1885. 4. 10. ) 설립으로 선교사업의 길이 열리게 됨.
(1) 세브란스 병원
* 광혜원은 개원 13일 후에 == "제중원"이라고 개칭 함.
* 개원 다음 달인 5. 3. -- 미 감리회 의료선교사 "스크랜톤"박사가 서울에 도착 함. -- 알렌의 요청으로 제중원에서 조력 함.
* 1893. 8. 서울에 도착한 에비슨이 뉴욕에서 개최된 만국선교사 대회에 참석하여 "한국의 근대식 병원 설립의 필요성과 의학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함에 == 회의에 참석한 실업가인 " 루이스-세브란스"가 $15, 000를 희사 했고, 선교부 보조받아 1904. 9. 3. "세브란스 병원"을 준공케 됨.
* 1917. -- 한국에 있는 6교파 선교부가 합동으로 경영 함.
* 1940. -- 한국에 있던 선교사들이 물러가게 되자 == 순전히 한국인이 운영함.
(2) 정동 제일 병원
* 1885. 5. 3. 래한한 스크랜톤 박사는 잠시 제중원에서 알렌 박사와 함께의료사업하다가, 6. 20. 어머니와 부인이 도착하자 정동에 선교부 주택을 구입하여, 9. 10. 부터 단독으로 정동주택에서 의료사업을 시작 함.
(3) 동대문 부인 병원
* 선교 초기 남녀의 구별이 너무나 엄격하여 스크랜톤박사는 미국 선교부에 요청하여 어린이와 부녀자들을 위한 병원을 구상하여 여의사 파송을 요구 함.
1887. 10. 20. 여자 의료선교사로 "메타 하워드"가 도착 함.
- 처음에는 정동, 이화학당 구내에서 한국 최초 부인 병원을 시작 함.
- 민비가 가상히 여겨 부인병원의 이름을 "보구여관"으로 지어 줌.
* 1930. 부터 동대문 부인 병원으로 널리 알려 짐.
(4) 평양 기홀 병원
* 1892. 의료 선교사로 파송받은 허을박사에 의해 시작됨.
* 1923. 평양 장로회 병원과 합동하기로 결정하고, "평양연합 기독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어 부름.
(5) 해주 구세군 병원
* 해주는 1900. 이후 선교활동 시작됨.
1910. 발로우 여 선교사가 크게 활약 함.
1910. 부터 의료선교가 활발하게 전개 됨.
- 미 감리회 선교부의 보조와 놀튼박사가 그의 어머니 기념하여 거액을 희사하여 새로운 건물을 신축함.
1913. 10. 10. (그의 어머니 생일) 봉헌식 = "놀튼 기념 병원"( 한국 사람들은 이 병원이 세상사람들을 다 구원하는 구실을 한다고 "구세병원"이라 부름. )
* 허울박사의 아들 하락박사가 캐나다에서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부인과 함께 1928. "해주 구세 요양원"을 설립함.
(6) 원주 서미감 병원
* 원주는 1900. 모류의 부인이 전도를 시작하여, 1912. 스웨덴 기념병원이 설립됨. (우리 말로 서미감 병원이라 부름).
(7) 원산 구세 병원
* 원산은 1898. 5. 15. 하리영 목사가 의료사업을 시작함.
(8) 개성 남성병원
* 1901. 경 부터 로쓰 의사가 개성에서 병원을 설립하려고 협의하기 위하여 서울을 왕래 하면서 환자 치료를 시작함.
* 이덕 박사가 모금할때 - 아이베임(린취벅 교회 평신도)씨가 $5, 000을 내기로약속하고 1907. 가을에 건축비를 부담함.
1907. 9. 이위만 박사가 선교사로 파송받아 개성에 "아이베이 기념병원"을 창설 함.
2. 여성 사회 사업
* 미(북) 감리교회에서는 1969. 보스톤에서 - 독실한 여신도 8명이 중심이 되어 "미 감리교회 해외 여선교부" 를 조직 함.
* 남 감리회는 1878. 에 "남 감리회 해외 여선교부"를 조직 함.
미(북) 감리회 해외 여선교부 - 처음 파송 전도사 = 1885. 6. 20. 스크랜톤 박사의 모친 (메리-스크랜톤여사) 1886. 5. 31. 이화학당을 설립 함.
미(남) 감리회 해외 여선교부 - 처음 파송 선교사 = 오랫 동안 중국에서 선교사업하던 캠벨 부인이 1897. 10. 9. 내한하여 1898. 10. 2. 배화학당 설립.
(1) 원산 보혜 여자관
* 1906. 노을스 여선교사가 원산 - 상리교회에서 사업을 결심하고, 남촌 예배당 밑에 있는 초가집을 구입하여 "반렬방(The Class Room)" 이라 이름지어 부인들을 모아 성경과 한글을 가르침.
(2) 서울 태화 여자관
* 1920. 9. 20. 미국 남 감리회 선교부에서 이 완용의 소유지를 매입하여 "태화여자관" - 초대 관장에 마의시가 취임하여 1921. 4. 5. 개관 함.
* 손, 머리, 마음을 단련하는 운동을 함.
(3) 개성 고려 여자관
* 1922. 5
(4) 춘천 여자관
* 춘천은 남 감리회의 선교지역으로 1908. 무스 목사가 처음 주둔함.
* 마의시 양의 주선으로 2만원 건축기금으로 벽돌 양옥집 건축하여 "춘천여자관"시작.
IV. 기독교와 독립운동
1. 한말의 비운과 독립운동
(1) 나라잃고 신앙부흥
* 한국은 문호를 개방하면서 - 열강의 각축장으로 많은 시련을 겪다가 - 마침내일본의 침략에 말려들어 "망국의 비운"을 체험한다.
* 그러나 뜻있는 지도자들은 새로운 희망과 빛으로 인도하여 그들의 구령운동에 힘쓰게되여 많은 겨레가 생명의 길로 들어서는 신앙운동을 전개토록 함. 교인수가 날이 갈수록 증가 됨.
* 감리교 선교사들은 = 믿음있고, 유능한 지도자를 택하고, 유급의 전도인과 매서인들을 채용하여 단기간의 훈련시켜 - 전도 전선에 파송함으로 교회확장이 됨.
# 인천(제물포)지방 = 조원시 선교사 1896년(94명) 1906년(2, 625명) 증
# 평양지방 = 노브을 선교사 1895. - 1908. 2 교회 설립
# 진남포, 삼화, 증산구역 = 1903 문요한 선교사) - 크게 부흥.
# 원산 = 하리영(하디)선교사, 부흥의 불길을 일으킴.
선교 5년 동안 - 7, 601명 결신.
* 1906. 8. 평양 선교사 모임에서 하디 목사 "요한1서"성경공부인도 부흥운동 시작 됨.
* 1907. 2. 평양 대학생 - 불타는 신앙운동 시작.
* 1909. 7. 송도(개성)에서 시작된 성령의 불이 붙기 시작하여 교회와 많은 한국 신도들이 참가함으로 그 지방에서 5만명 결신.
(2) 학교교육의 민족각성
* 감리교 선교부에서 초창기에 세운학교
= 서울 -- 배재(1885년), 이화(1886년), 배화(1898년)
= 평양 -- 광성(1894년), 맹아학교(1898년), 정의(1899년)
= 영변 -- 숭덕
= 원산 -- 루씨(1903년)
= 인천 -- 영화(1892년)
= 수원 -- 삼일(1902년), 매향
= 개성 -- 송도, 호수돈 미리흠
= 공주 -- 영명(1905년)
1. 배재 학당에서의 애국정신
* 서 재필 박사가 배재학당에서 유럽정치사와 교회사를 가르치면서 자유와 독립정신을 강조 함.
2. 평양 학당 학도들의 애국정신
3. 이화학당에서의 한국적 교육
* 애국애족의 긍지와 자부심을 그리스도정신에 입각하여 = 올바른 교육을 실시함.
4. 선교사들의 애국정신 고취
* 헐버트 == 한미 외교관계 수립후 1886. 7. 정부초청으로 "육영공원"의 교사로 부임. 폐교된후 감리회 선교사로 남아 활동.
# 1905. 을사조약이 체결됭을 보고 한국의 자주독립을 주장
# 고종의 친서를 가지고 와싱턴으로 미 국무장관을 방문키로 함.
# "한국사"를 체험대로 집필.
# 꿈에도 그리던 한국의 해방과 독립의 기쁨을 같이 나누기 위해1949. 8. 83세 노구를 이끌고 내한 했으나 여독으로 서울 청량리 위생병원에서 별세함.
# 그의 소원대로 한국땅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장사 됨.
* 노보을 선교사 == 한국 민족을 충심으로 사랑한 공헌자 임.
* 전 덕기 목사(상동교회) == 청년 학원세워 뜻있는 청년을 육성, 민족운동을 지도하는 "신민회"중심으로 독립사상을 고취함.
2. 선교를 통한 사회적 공헌
* 한국은 불교, 유교, 사상의 지배로- 보수적인 사회 구조 속에서 개성. 자유. 독립 등의 기본적인 권리가 무시 되여 왔음.
* 위치로도 - 강대국에 둘러 쌓여 사대주의적 사상에 사로 잡힘.
이때 - 선교사를 통해 민족적인 서구사상이 들어 왔으나, 천도교로 동학혁명이 일어나 -- 민중에 구심점 -- 사대사상을 물리침. -- 탐관오리 배격 함.
* 박 영효는 일본에 있는 스크랜톤에게 "우리의 재래 종교는 지금 기운이 진했읍니다. 이 백성이 기독교로 돌아 올수 있게 하는 길이 지금 환히 열려 있읍니다"고함
초기 선교사는 도착 즉시 근대식 학교를 세우고, 병원을 세우고, 사회관을 세워 서민층과 접촉하면서 전도사업 힘씀.
* 선교활동은 민족각성을 일으켜 - 이 민족을 긴 잠에서 깨워 주었고, 굶주렸던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과학지식과 자주 독립정신을 고취 시킴.
3. 기독교와 독립운동
* 3. 1운동은 1919. 3. 1 고종황제의 일산일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총궐기한 우리민족의 국권 회복을 위해 독립을 절규한 운동이다.
* 3. 1운동은 기독교를 비롯하여 천도교, 불교 등 3종교가 합동하여 - 일본의 탄압 밑에서 맨 주먹으로 평화적이고, 인도주의적 입장에서 - 종교인이 앞장선 독립운동이다.
(1) 3. 1 운동과 교회의 수난
* 기독교계 지도자들의 국제정세에 따라 민족자결의 원칙에 입각하여 적당한 시기임을 자각하고 -- 서로 협력하여 배달 민족의 자주독립운동을 전개 시킴.
* 국내에서 3. 1 운동을 비밀리에 계획한 곳은 = 서울, 평양, 선천
= 서울 - 손병희, 최 린(천도교), 함태영, 박희도, 이갑성
= 선천 - 이승훈, 양전백, 유여대(장로교회목사), 이명룡(장로)
= 평양 - 신흥식(감리교), 길선주(장로교)
* 3. 1 운동의 근본정신은 기독교 정신에서 표현된 자유, 평등, 독립 사상임.
┌/// 기독교 16명 -- 감리교 10 명, 장로교 6 명
33 인 ///┼/// 천도교 15명
└/// 불 교 2명
* 1919. 3. 1 오후 2시 서울시내 파고다 고원에서 폭발된 시위운동은 순식간에 전국에 퍼짐.
* 3. 1 운동 추진은 국내외에 주동적 역활을 대부분 기독교인이 함.
* 3. 1 운동이 일어난 뒤 6개월간은 모든 집회가 금지(주일 낮만 허락)
- 많은 목사, 전도사, 장로 - 감금 됨.
(2) 3. 1 운동 뒤의 기독교
* 일본정부는 한 정부의 자주독립 운동을 무력으로 탄압하여, 공포속에 몰아넣고.
* 그 해 8월에 하세가와 총독을 소환하고
* 후임에 사이또오를 총독으로 임명 -- 1919. 9. 2.
* 사이또오 총독이 서울역에 도착하여, 일본군에 삼엄한 엄호 밑에 마차를갈아 타려할때 강 우규(당시65세) 의사가 폭탄을 던졌으나 위기 모면 함.
# 강 우규 의사 == 평남 덕천 출신
29세, 함흥 홍원으로 이주하여 장로교 신자 됨.
* 사이또오 총독 부임 소감을 통해 알수 있는 것은 == 합방(1910)이후 얼마나 총칼을 휘둘러 민족을 학대 했는가를 알수 있고, 만주로 강제 추방하여 이민케 됨을 자백함.
또 -- 문화정책 미명아래 -- 차원 높은 정신적 지배를 위해 ‘포섭동화’에 힘씀.
# 헌병제도 철폐
# 훈도(교사)들이 찼던 칼을 떼고
# 사회유지와 인사를 포섭
# 조선, 동아 신문의 발행허가# 기독교의 감시와 조사 위해 학무국장 밑에 종교과를 신설하여"나가이" 가 맡음.
* 신설된 종교과 직원중 2명은 기독교인 채용, 영어에 능통한 기독교 신자를촉탁으로 등용, 외국인과의 연락기관으로서 외국인 선교사의 설득공작에 힘씀.
* 3. 1 운동을 계기로 주한 신교 6선교부 연합회에서 일제의 야만적 정책에 항거하여 사이또오 총독에게 "선교사 대회 진정서"를 직접작성하여 제출함.
* 시바다 학무국장은 변명하고, 시정하지 않음.
(3) 3. 1 운동과 여성 애국운동
* 유 관순
* 1919. 3. 25 만주지방에서 혼춘 애국부인회가 조직되여 독립운동을 도모함.
* 혈성 애국부인회를 조직하여 의연금을 모금해 수감중인 지사의 음식을 제공, 상해 임시 정부에도 원조
* 대한 애국부인회 = 1919. 6 평양감리교회 중심으로 상해정부 원조목적으로활동.
* 평양 장대현교회 중심 = "애국 부인회"* 장. 감 두 부인회가 연합하여 "대한 애국 부인회"라함.
V. 청년운동과 연합사업
1. 기독청년 운동
* 한국 젊은이들이 아직 어둠 속에서 깊이 잠들고 있을때에 일찍부터 그들의 잠을 깨워 희망과 자주적 생활태도를 길러준 역활을 한것이 기독 청년운동임.
(1) 기독 청년회 (Y. M. C. A. )
* 기독 청년회는 1844. 6. 6. 영국 런던에서 죠지 윌리암즈에 의해 시작 됨.
* 이 운동은 그리스도의 신앙에 기인하여 회원 사이에 인격향상과 봉사의정신을 발휘하여 기독교의 이상적 사회건설을 목적하는 세계적인 청년운동 임.
* 미국(1852)
* 한국의 기독청년 운동의 싹은 선교사들이 들어와서 15년이 경과된 후로부터 -- 청소년들의 특수 전도기관으로 창설을 신청한데서 부터 시작됨.
1900. 6. 29. 라이온 박사가 내한하여 - 청년회 조직의 가능성과 사업방향을 조사 함.
* 1903. 8. 질레트가 국제 위원회의 파송을 받아 래한 함.
* 1903. 10. 28. "황성 기독교 청년회" 창설.
= 임시 사무소를 인사동(현 중앙 감리교회)에 정하고 종교, 교육,체육, 사교 등을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이상재, 윤치호를 지도자로 추대하고 새로운 사업계획을 세워 청소년들에게 큰 희망과 용기를 불러 일으킴.
(2) 여자 기독 청년회 (Y. W. C. A. )
* 1922. 6. 12. 전국적 여자 하령회가 서울 협성여자 신학교에서 모였을때 기성회를 조직하고 회장간부를 선출하여 전국을 순회하면서 여자 기독청년회의 취지와 목적을 널리 선전함.
* 1923. 8. 18. 창립총회 "조선 여자 기독청년회" 조직.
(3) 엡윗 청년회 (Epworth Leaque)
* 엡윗은 요한 웨슬레의 출생지 이름.
* 1897. 5. 5. 정동 제일 교회에서 조직.
* 1905. 11. 17.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회원들이 총궐기하여 일본의 침략정책에 항거함.
* 1906. 6. 13. 해체됨.
* 엡윗 청년회는 썩어가는 신앙심을 일깨워줌.
2. 문서 연합사업
(1) 성서 번역사업
* 개신교 선교사들이 들어오기 전에 - 이미 한글로 번역된 복음서가 일본에서 한국인의 손으로 간행됨.
# 1883. 4. 이수정이 일본에서 세례받고 - 2달만에 한자 성경에 토를단 "현토한한 신약성경"을 완수함.
# 계속하여 마가복음을 번역 출판 1885. 4. 아펜젤러는 이 책을 가지고 래한 함.
# 만주에서는 1887. 로스목사가 만주에 출입하던 한국인(서상륜)의 도움을 받아 신약성경 "예수 성교 전서"를 번역 출판 함.
# 1887. 주한 선교사들이 "성경 위원회"를 조직하고, 신약성서 번역에 착수 함.
( 번역위원 : 아펜젤러, 원더우드, 스크랜톤, 헤론)
# 1890. 헤론이 별세하여, 후계자 게일 목사가 보선 됨.
( 이때 - 신약성경 전부가 선교사들의 분담으로 번역 됨)
# 1897. 성서 공인 번역 위원회를 조직하고
-- 미 감리회 --- 아펜젤러, 스크랜톤
-- 북 장로회 --- 언더우드, 게일
-- 남 장로회 --- 리놀즈
== 해마다 두차례씩 모여 공동 작업결과 - 1900. 로마서 까지 교정을 끝냄.
이 때 아펜젤러가 목포로 가는중 1902. 6. 11. 밤 배의 파손으로 희생 됨.
# 그 후 후계자 - 죤슨 목사가 참가 신약전서 번역 완성 (1906).
# 1911. 구약이 발행됨.
# 1925. 최 병헌 목사의 한자를 옆에 붙인 창세기 간행.
# 1926. 정 용태에 의해 "관주신약"이 간행.
# 1937. 성경전서 개역이 완성.
(2) 찬송가 편찬
* 찬송가는 개신교가 들어 오면서 처음에 "찬양가", "찬송시", "찬미가"라고 부름.
(성결교는 "복음가", "부흥성가" 라함. )
* 1894. 장로교회 언더우드 목사 -- "찬양가"
* 1895. 감리회 여선교부에서 죤스 부인과 로드웨일러를 위원으로 "찬송가" 편찬.
* 1896. 감리회의 아펜젤러와 죤스 목사가 "찬미가"를 발간 함.
* 1905 - 1908. 장감연합 공의회 - "합동 찬송가"편찬 발행.
* 1924. 찬송가 개정위원이 장감연합 공의회에서 선출되여
* 1928. 새로 "신정 찬송가"를 공동 사용하기로 하고 출판.
== 그러나 감리교회에서만 사용하고, 장로교는 "신편 찬송가"를 단독으로 출판하여 사용 함.
(3) 연합 공의회 ( 기독교 연합회)
* 1905. 9. 11. 서울 감리교 선교사 버킹 목사댁에서 감리교 2 선교부, 장로교4 선교부 모여 "신교 선교사 공의회"를 조직.
# 이때 -- 가장 큰 소원은 "대 단일교회 형성"을 이루자 였음. 그런데 장로교가 "독립노회"를 구성함. 그러나 감리교 2 교파는 1905. 부터 교육, 의료, 문서사업을 공동으로 운영함.
교파 연합운동이 연합사업운동으로 전향해 연합공의회를 조직 함 (1919).
(4) 예수교 서회 ( 기독교 서회)
* 기독교의 경전인 성서는 성서공회에서 취급하고, 다음으로 신앙의 체험을 고백하는 신령한 노래 곧, 찬송가를 편찬함.
*1889. 10. 초기 선교사들이 찬송가 출판을 계기로 - 사전에 준비 회합을 거쳐
* 1890. 6. 25. 헌장을 통과 시켜 "한국 성교서회"가 탄생됨.
VI.합동으로 지향하는 감리교회
1. 교역자 양성기관
(1) 신학반 시대 (1900 - 1906)
* 초기 선교사의 교육과 의료활동으로 교인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회가 세워졌고 10년이 지나 남 감리교회의 선교사도 합세하여 더욱 확장됨. --> 교역자 양성의 필요성을 느끼게 됨.
* 1889. 12. 7. 서울 제일 감리교회 (정동교회)를 조직하였고.
* 1890. 1. 25. 서울에서 첫번 구역회가 개회됨.
이때 -- 학교형식, 기두 제도를 갖추지 못해 "신학반" 이라는 이름으로 서울, 평양, 인천 지역에서 이동식 수업을 함.
(2) 신학부 시대 (1906 - 1908)
* 1906. 11. 부터 남북 감리교회가 합동하여 "신학부"로 승격시켜 수강시간을 늘이고 과목과 강사진도 대폭적으로 강화 함. 두번 개강하는데 한번은 서울, 다음은 평양에서 실시함.
(3) 신학교 시대 (1908 이후)
* 1905. 6. 21. 미(북) 감리회 선교회가 한국 선교연회로 기구를 확대 하면서 교역자 양성문제가 연회로 상정되어,스크랜톤 박사는 이동식 신학반 보다,영구적인 일반 신학교가 중앙에 설립돼야 한다고 역설하자 "신학교 설립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통과 됨.
╔═══════ 신학교 설립 특별 위원회 ════════════════════╗
║ ║
║ 한국 선 교 관리자 : 시 란돈 ║
║ 한국 북지방 감리사 : 모 리시 ║
║ " 서 " : 기 이부 ║
║ " 남 " : 서 원부 ║
╚═══════════════════════════════════════════════════════╝
* 1907. 6. 18. 미(북) 감리회 제3회 한국 선교연회 때 "협성신학"구성통과.
* 1907. 6. 20. 한국 선교회 (제11회) 때 한국인 교역자를 양성하기 위해 북감리회와 연합하여 "신학당" 설립하기로 가결됨. 협성신학교를 설립 함.
* 1907. 조 원식 박사가 교장.
* 1910. 서울 냉동에 대지를 $6, 000 구입.
* 1911. 12. 20. 협성 신학교 제1회 졸업생 45명 배출.
* 1915. 붉은 벽돌 3층 본관, 기숙사.
== 초기 신학교 설립에 스크랜톤 박사의 공이 크다.
2. 감리교회의 합동 운동
(1) 갈려 들어온 감리교
* 두 감리교회의 합동운동은 이미 교역자 양성 기관인 신학교육에서 찾을 수 있음.
* 한국에 미(북) 감리교회가 들어 오기 전, 미국에서는 노예해방을 둘러싸고 정치계나 사회 여론보다 앞서 찬성과 반대의견이 교화 안에서 거론되어 격론을 거듭하다가 - 드디어 미국 감리교회가 갈라져 나가 남부에 있는 교회가 분리되여 조직한것이 "남감리교회"이다.(1846.5.1.)
* 미(북) 감리교회 - 1885. 4. == 아펜젤러, 스크랜톤.
* 남 감리교회 ---- 1895. 10 == 리이드.
# 양주삼목사는 "감리교의 합동운동"을 위해 추진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한국에서 먼저 합동운동을 전개함.
* 분립은 어느 민족에게나 국가에 해독을 가져올 뿐임으로 한국에 감리교회가 들어 올때에는 각기 때와 배경은 달리했으나 선교 초기부터
# 서로 우호적이였고, 사업에도 협동적임.
# 1915. 2. 15. 합동 "그리스도 회보" 창간.
# 1905. 4. 합동으로 신학교 세움. (협성 신학교).
# 이화 여자 전문학교를 합동으로 세움.
* 이처럼 시도된 것이 - 1924. 3. 5-6. 筀 서울에서 남북 두 감리교회 진흥방침 연구회가 연합으로 모임.
전도사업, 교육사업, 출판사업 -- 결의.
교회 의식용 예문, 교회직분의 명칭.
# 여러 위원까지 선출함.
* 그러자 - 1924. "남북 감리교회 통합방침" == 합의
1925. 미국에서 부결.
1926. 한국에서 단독으로라도 통합하겠다는 결의와 각오로
# 6월의 모임 "미 감리교회 한국연회"와
# 9월의 모임 "남 감리교회 한국 매 연회"에서 통합방침을 연구할 위원 5명씩 택하게 된것이 남북 감리교회 통합운동이다.
위임 받은 위원이 1927. 3. 부터 6차례 모여 협의한 결과를 미 양연회에 서 수정하여 통과를 봄.
== 승인 1928. 5. 미 감리교회
1930. 남 감리교회
3. 조선 감리교회의 탄생
(1) 조선 감리교회의 합동 성명서
* 미국의 두 모교회와 두 연회의 훈시에 따라, 전권위원들과 특선위원들이 - 1930. 11. 18. (화) 처음으로 서울에서 신임장을 제출하고, 회를 조직하고- 위임 받은 의무를 이행함.
합동성명서 작성하고 서명함.
(2) 창립 총회 소집
* 한국에 두 감리교회가 들어와 하나가 되는 합동 성명에 뒤이어,역사적인 기독교 조선 감리회 제1회 소집됨.
* 1930. 12. 2. 오전 10 시 서울 냉천 협성신학교 강당에서 임시회장 웰취감독의 사회로 시작 됨.
(3) 조선 감리교회 교리적 선언
(4) 총리원 기구 조직
* 두 감리교회의 합동으로 한국내의 모든 감리교회를 다스리고 운영하여나가는데 행정적인 중앙기관으로 탄생한 것이 기독교조선감리회총리원 임.
* 1930. 제1회 때 행정기구인 총리원의 원장으로 총리사,교육국 총무,협동 총무를 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