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어
아랍어(العربية al-ʿarabiyyah)는 표준 아랍어를 비롯하여 이집트 아랍어, 리비아 아랍어, 수단 아랍어 등 각 지역의 구어 아랍어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표준 아랍어는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명이 모어로 사용하는 언어이며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넓은 지역에 걸쳐 사용된다1).
아랍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언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헤브리어와 아랍어는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으면서 각각 세계의 중요한 종교의 언어로 기능하고 있다2).
아랍어는 7세기 이슬람교의 등장과 함께 당시 아라비아반도 내 지배계급의 언어를 바탕으로 다른 여러 방언들이 혼합되어 만들어졌다. 현재 표준어로 규정된 표준 아랍어는 코란의 언어인 고전 아랍어(classical Arabic)를 기준으로 만든 아랍어 문어로서, 실제 구어로 사용되는 아랍어와는 사뭇 다르다.

아랍어 사용 지역. 구어 아랍어의 차이를 색으로 나타냄
아랍어는 현재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22개국의 공식 언어이다. 표준 아랍어, 즉 아랍어 문어는 교육, 행정, 미디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어 아랍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부는 서로 이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3). 중세 시대에는 아랍어 사용자들이 스페인과 시칠리아까지 정복하였으며 현재에 몰타 공화국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몰타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언어 중 유일하게 유럽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아랍어의 한 방언에서 유래한 것이다. 아랍어는 다른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모음이 변화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랍어 동사는 이러한 모음변화에 의해 시간의 의미를 드러낸다.
“쓰다”의 의미를 가지는 아랍어 동사 “ktb”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ti-ktib (그녀가) 쓴다 현재
katab-it (그녀가) 썼다 과거
kaatib 쓰는 현재분사
ma-ktuub 쓴 과거분사
이 예에서 “ti-“와 ”-it”은 주어인 “그녀”에 해당하는 접사이다. 접사를 빼고 생각하면 ktib, katab, kaatib, ktuub의 짝에서 볼 수 있듯이 ktb 자음으로 이루어진 단어에서 모음이 변화하여 시간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사 뿐만 아니라 명사 “kitaab”은 책이라는 뜻이며 “kutub”은 책의 복수형이다4).
아랍문자

아랍 문자는 아랍어, 우르두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슬람교의 경전인 코란이 아랍어로 쓰여있기 때문에 이슬람교가 전파된 여러 지역에서 아랍 문자로 자신들의 언어를 기록하기도 하였다5).
1) Ethnologue:
Standard Arabic |
2) Bernard Comrie, Stephen Matthews, and
Maria Polinsky (2003), The Atlas of Languages, Facts on File, Inc, p.
78. |
3) Wikipedia:Arabic language |
4) Bernard Comrie, Stephen Matthews, and
Maria Polinsky (2003), The Atlas of Languages, Facts on File, Inc, p.
78-79. |
5) Wikipedia: Arabic
alphab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