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따 나가봐야 되서 최대한 간략하게 글 남길게요. (마음이 조급해지네요 ㅋ)
추천드리는 기준은
저 컴퓨터가 망가질 때까지 완전 '순정 상태'로 쓴다기 보다는
'처음에는 순정 상태로 쓰다가 게임 프레임 향상을 위해
향후에는 CPU 오버클럭, 램 오버클럭을 조금은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기준으로 추천드릴게요.
** 9700K에 Z390 메인보드 하시면 장담컨데,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몇 년 뒤에라도 오버클럭에 대한 호기심/욕구가 생기실 거에요. ㅎㅎ
1. CPU : 인텔 9세대 I7-9700K
요즘 거의 다 AMD 라이젠 3세대인 젠2로 넘어가는 분위기입니다만,
용도가 100% 게이밍이라고 하셨으니 인텔 9700K도 좋은 선택입니다.
세간의 평은 "아직까지 게임의 킹은 9700K, 9900K이다"라는 겁니다.
가성비까지 따지면 실질적인 게임의 왕은 9700K라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다만 9700K 인터넷 최저가는 47.7만원 수준인데
컴퓨존 조립에서는 53.5만원....약간 비싸네요.
하지만 직접 조립이 가능한 상황이 아닌 듯 하니
가격은 패스하기로~
(제가 이래서 직접 조립합니다...컴퓨존/다나와로
조립 신청하면 각 부품에서 너무 떼어 먹어요...-_-^)
2. CPU : 기가바이트 Z390 어로스 엘리트
Z390 메인보드 미들라인업(20만원대)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은 아래 3개입니다.
** ASUS PRIME Z390-A
** MSI MPG Z390 GAMING EDGE AC
** ASROCK Z390 EXTREME4
기가바이트 어로스 시리즈가 전원부 구성은 제일 좋은데
그 고질적인 난해한 바이오스 문제로 인기가 없는 편입니다.
특히나,,,,게이밍 성능 끌어 올리려면 램오버가 필수인데
기가바이트 Z보드들이...램오버가
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 안 들어갑니다.
ASUS 프라임이 가장 무난하고 (STCOM 제품으로 구매!!!)
제가 MSI 게이밍 엣지를 사용 중인데 이것도 정말 좋습니다.
램오버가 진짜 끝장나게 먹어줍니다....
(다만 MSI는 AS 담당업체가 평이 안 좋아서...택배 AS 하면
안 됩니다. 만약 문제생길 경우에는 직접 방문 AS 권장합니다.)
애즈락은 개인적으로 별로 안 좋아하기 때문에
Z390 보드는
ASUS 프라임 또는 MSI 게이밍 엣지 추천드립니다.
3. 램 : 삼성 16기가 x 1개 ?
일단 올려주신 견적표에는 삼성램 16기가 1개로 되어
있는 것 같은데...맞나요?
메모리는 16기가 1장 장착하면 효율이 떨어지고
8기가 짜리 2장으로 듀얼채널 구성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나중에 16기가 하나 더 추가하실 계획이라면
그냥 한 방에 16기가 2장으로 가시는 것이....
(메모리 가격이 워낙 변동이 심해서요)
저같은 경우에는 작업용으로 필요해서
삼성 시금치램 16기가 2장, 총 32기가 꼽아놓고
램오버는 4000 가까이 땡겨놨습니다.
(메인보드는 MSI 게이밍 엣지로...)
4. SSD : 삼성 860 EVO 500GB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사람들이 요즘 다 NVME M.2 SSD에 꽂혀서
SATA3 방식의 M.2 SSD는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제가 둘 다 쓰고 있는 입장에서...
그 놈이 그 놈....
일반적인 사람이 체감하기 힘듭니다. ㅋㅋㅋ
(NVME는 발열이 너무너무 심합니다)
5. 케이스
선택하신 쿨러마스터 케이스는 인기가 시들시들해진
제품이에요....
저는 저 제품 좋은 지도 잘 모르겠고요...ㅎㅎㅎ
요즘 가장 핫한 인기 케이스는
브라보텍 트레저 X8 850M 타이탄 글래스....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A39355D8EBBD52F)
6. 조립비 : 패스
7. 그래픽카드
RTX로 넘어오면서 그래픽카드가 사망하는 문제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AS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고
갤럭시 / 이엠텍 / ZOTAC 이 3개사가
가장 AS가 좋다는 평입니다.
시간이 촉박하니 ㅎㅎㅎ
아래 유튜브 영상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유튜버 체험판이라고 그쪽 업계에서 꽤 유명한 사람입니다.
(유튜브 체험판) 개인적인 RTX 2070 SUPER 아무거나 사지 말자.
8. 파워서플라이
선택하신 에너맥스도 좋은 것 같은데....
이 분야의 킹은 시소닉이에요...
성능도 안정적으로 좋고 AS도 무려 10년입니다.
750W + 골드 급에서는 아래 제품이
거의 답정너 수준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A6E335D8EBD732D)
9. CPU 쿨러
인텔 8~9세대는 '발열'에 있어서만큼은 애물단지입니다.
일단 9700K를 CPU 오버클럭하시려면
거의 반강제적으로 일체형 수랭 제품을 가셔야 되요.
그러니 나중에 CPU 오버클럭에 관심이 생기시면
그 때 가서 일체형 수랭을 고려해보시는 게 좋겠고.
당분간은 '순정'으로 쓴다고 가정하면
일반 공랭식 쿨러러도 커버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선택하신 쿨러는.....
하드웨어 커뮤니티나 유저들 사이에서
그렇게 많이 거론되는 쿨러가 아니에요...
공랭쿨러 마니아로써!! ㅋㅋㅋ
개인적 욕심으로는 한 방에~ 공랭 대장급으로
가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 Noctua NH-D15 (일명 농협, 공랭쿨러 끝판왕)
* DEEPCOOL Gamer Storm Assassin 3 (요즘 나온 쿨러인데, 농협과 비등비등한 성능)
* Thermalright Le Grand Macho RT (일명 마초라는 놈인데...제가 쓰고 있어요. 위 두 놈에 비하면 떨어집니다)
* Noctua NH-U12A (녹투아 최신제품인데, 작지만 성능 작살나게 좋음)
그런데 위의 쿨러들은 비싸죠...9~13만원선
하지만 트리니티, 갬맥스, 무겐5, 닌자5, 아틱 프리저 같은
어중간한 공랭쿨러 쓰느니....
다른 데에서 예산 줄이더라도 저라면 공랭쿨러만큼은
한 방에 좋은 쿨러로 가겠습니다.
이건 의견이 분분할 거에요...
9700K 노오버이면 그냥 보급형 공랭쿨러로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을 수 있지만...
제 개인적 생각은 '불안하다'입니다.
9700K 노오버라도 로드 걸리면 발열 신경 쓰일 겁니다.
농협, 어쌔신3, 마초 같은 쿨러 달아놓으면 발열 잘 잡습니다.
그 아래 유명한 중급형 쿨러들은 다 고만고만합니다.
트리니티, 갬맥스, 무겐5, 아틱 프리저 등등
(단, 무겐5나 닌자5는 일제이므로 패스~~)
========================================================
만약 메인보드 ASUS나 MSI 제품으로 가신다면...
램오버는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배워 보시고
램오버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게임 최저 프레임 향상에 도움을 줄 겁니다.
첫댓글 와우 너무너무 감사드려요!! 적극 반영해보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암드 추천드립니다
성장형 프로세서인 암드.....가 나을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