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 (011810) 페루·브라질 리튬광산 개발·판매권 확보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6대 핵심광물인 리튬의 광산 개발 및 정광(리튬을 제련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 트레이딩을 위해 페루, 브라질 현지 파트너사와 지난주 3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인도네시아 니켈광산 지분을 취득한 이후 약 3개월 만으로 동사가 글로벌 원자재 디지털 플랫폼의 가동을 준비하며 전세계 주요 광물의 확보를 위해 노력해온 결과가 잇따라 성과를 거두고 있음.
▷이번 헙약으로 매장량 총 2,000만톤으로 추정되는 페루 리튬광산에 대한 지분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으며, 연간 총 30만톤 이상인 브라질 리튬 정광의 운송 및 판매 오프테이크(Off-take) 권한을 확보했음. 아울러 이번에 확보한 브라질 리튬 정광을 국내 이차전지 업체에 공급하는 계약을 추진 중이고, 정광 샘플의 성분 테스트 이후 국내 또는 제3국에서 1차 가공을 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대구백화점 (006370) 경영권 지분 매각 추진 소식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현재 동사는 대주주의 경영권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차바이오그룹이 실사를 마쳤다고 전해짐. 현재 논의되고 있는 매각가액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주당 3만원 수준으로, 이를 토대로 계산한 대주주 등의 지분 가격은 약 1,050억원이며 전체 시가총액의 87% 수준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지난 10일 장 마감 후 풍문 또는 보도(경영권 지분 매각)에 대한 해명으로 당사의 최대주주에 확인한 결과, 매각주간사에서 예비후보자들을 선정하여 지분 매각을 위한 실사를 개시하였으나,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되거나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한솔케미칼 (014680)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분석 등에 강세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3 매출액 1,883억원(-3% q-q, -13% y-y), 영업이익 356억원(+9% q-q, -22% y-y)으로 고객사의 기록적인 가동률 축소와 전방산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분석. 특히, 이익 기대감이 오랜 기간 하향되어 보수적인 추정치를 가진 반면 과산화수소와 배터리 바인더의 매출 비중 확대로 이익 믹스가 개선되었다고 설명.
▷아울러 국내 과산화수소는 반도체 중 디램과 파운드리의 비중이 85%에 이르고, P3 장비 반입에 따라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배터리 바인더 역시 정체되었던 출하가 정상 국면에 돌입하면서 y-y 증가 추세로 전환하였다고 밝힘. 다만, 24년 영업이 익은 1,824억원으로 추정하며, 목표 P/E 18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0,000원 -> 220,000원[하향]
더블유게임즈 (192080) 4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는 소셜카지노 게임 성수기이 며, 10월 주요게임 트래픽/매출 상승세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언급. 특히, 11월1일 슈퍼네이션 인수가 마무리되어 4분기부터 연결 편입되기 때문에 성장성 회복이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현재 동사 보유 순현금은 약 5,000억원으로 동사 시가총액 중 약 60%에 해당하며 기존게임 성장둔화로 2024년 ROE 16%, PER 5.2배 수준의 저평가 상황이라고 언급. 2024년 신규게임 출시에 따른 실적 개선 및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기대된다고 밝힘.
▷한편, 3분기 매출액은 1,396억원(YoY -13%), 영업이익은 541억원(YoY +13%), 지배순이익은 396억원으로 신작이 부재한 가운데 기존게임 매출 감소했으나, 마케팅비 감소(Y-Y -168억원)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76,000원[신규]
한올바이오파마 (009420) 류마티스관절염 시장 진출 가능성 확대 등에 상승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류마티스관절염 시장 진출 가능성이 확대됐다 고 언급. 이와 관련, 파트너사 이뮤노반트는 오는 11월 600mg 고용량 MAD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동사는 9월26일 공개된 SAD 및 300mg 저용량 MAD 데이터를 토대로 과거 바토클리맙의 IgG 저해 효능 데이터와 비교하였을 때 600mg 고용량 MAD의 효능은 이미 상당부분 입증되었다고 판단. MAD 결과에서는 이미 대부분 입증된 효능보다는 고용량 반복투여에도 알부민 감소 및 LDL 상승 부작용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밝힘.
▷부작용에서 자유로움을 입증할 경우 IMVT-1402는 진정한 best-in-class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여전히 Bio-Tech 기업 내 Top-pick을 유지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LS전선아시아 (229640) 내년부터 베트남 전력개발 투자확대 수혜 본격화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베트남 제 8차 국가전력개발계획(PDP8) 확정으로 전력 및 송배전망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내년부터 동사의 수혜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 특히, 2050년까지 전력원 개발과 송배전망 구축에 투입되는 투자 규모 가운데 약 3,644억~5112억달러는 전력원 개발에 투입되고 나머지는 신규 송배전망 구축과 개선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며, 이러한 신규 송배전망 구축과 개선사업 투자규모 확대 등으로 내년부터 동사의 수혜가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 무엇보다 베트남 제 8차 국가전력개발계획(PDP8)에 발맞춰서 베트남 도시화율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초고압 케이블, 통신선, 배전 수요 확대로 동사 수혜 가능해 지면서 매출 성장의 지속성 등을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분석.
▷아울러 지난 10월 베트남 국영 석유 가스 기업 페트로베트남의 자회사인 PTSC와 베트남을 비롯하여, 아세안 국가에서 해저케이블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으며, 해상풍력 수요가 확대되는 환경하에서 향후 베트남에서 해저케이블 신규 생산 라인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해저케이블 관련 성장성 등이 가시화 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000원 -> 12,600원[상향]
젠큐릭스 (229000) 동반진단 제품 '드롭플렉스(Droplex)' 6종 튀르키예 판매 허가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반진단 제품 드롭플렉스(Droplex) 6종이 튀르키예에서 판매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이번 허가를 받은 제품은 폐암(EGFR v2, cMET), 대장암(KRAS), 갑상선암(BRAF), 자궁내막암(POLE), 유방암(PIK3CA) 동반진단 제품으로 해당 제품들을 사용하면 암종에서 흔히 발견되는 돌연변이를 발견해 적절한 치료제를 빠르게 선정할 수 있으며, 동사의 제품은 디지털 PCR 기반으로 기존 사용되는 실시간-PCR 제품보다 민감도가 높아 돌연변이를 더 쉽게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독일에 이어 튀르키예에서도 허가를 완료했다"며, "두 국가를 교두보 삼아 다른 유럽 국가 진출도 속도를 내겠다"고 언급.
YTN (040300)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급등
▷지난 10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한전KDN㈜, 한국마사회가 유진이엔티㈜에 보유주식 13,000,000주를 3,199.3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 공시.
▷업계에 따르면, 유진그룹이 동사의 최대주주 지분인 30.95%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유진그룹의 동사 인수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만 남게 됐다고 전해짐. 유진그룹은 동사 지분 인수를 위해 안진회계법인과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자문을 받았고, 입찰에 참여하면서 방송법 소유제한 규제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법무법인 검토 의견서도 첨부해 방통위 심사를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알려짐.
FSN (214270) 3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등에 강세
▷분기보고서를 통해 23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46.69억원(전년동기대비 -3.62%), 영업이익 24.97억원(전년동기대비 +137.78%), 순이익 18.1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동사는 언론을 통해 강도높은 사업구조 개편을 진행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경영시스템을 구축한 결과, 3분기 마케팅, 커머스 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기록하며 단기간 내 흑자로 전환하게 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 서정교 대표이사는 "경기 불황과 신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더불어 여러 외부요인으로 인해 상반기 실적이 저조했으나 경영효율화를 위한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고, 각 사업구조도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편하면서 빠르게 턴어라운드를 이뤄낼 수 있었다"며, "실제로 하반기 들어 광고, 마케팅 부문의 광고 수주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간 적극적으로 투자를 진행한 신사업들 역시 본격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파두 (440110) 4분기 발주 재개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홈페이지에 '현황에 대해 드리는 말씀'이라는 자료를 통해 예상을 뛰어넘은 낸드 및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시장의 침체와 데이터센터들의 내부 상황이 맞물려 SSD 업체들 대부분이 큰 타격을 입었고 동사 역시 이를 피하지 못했지만, 기존 고객사들이 동사 제품을 타 제품으로 교체했다는 우려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힘. 또한, 4분기에는 기존 고객사들로부터의 발주가 이미 재개됐다고 설명.
▷이와 관련, 일부 일부 초도 물량에 대한 납품이 4분기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2023년 초부터 다양한 고객 들과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컨트롤러 사업 고객 1개사와 SSD 사업 고객 2개사를 추가적으로 확보했다고 언급. 특히, 컨트롤러 사업의 신규 고객은 글로벌 대형 메모리 업체로서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공동 진행하기 위한 계약이 체결됐다고 설명.
덴티스 (261200) 3분기 양호한 실적 속 상승
▷지난 10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7.25억원(전년동기대비 +9.07%), 영업이익 1.34억원(전년동기대비 -93.89%), 순이익 12.34억원(전년동기대비 -66.52%)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했으며, 직전 분기 대비해서도 11% 성장했다고 밝힘. 전년동기대비 감소폭을 보인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29억2,500만원 상당의 전환사채(CB)에 대한 매도청구권(콜옵션)을 행사하며 임직원 주식보상비용(영업비용)으로 회계 처리한 데 따른 일시적인 영향"이라고 설명. 이에 일회성으로 발생한 임직원 주식보상비용을 반영하지 않은 금액은 30억6,0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4% 증가한 수치이며, 실제 영업활동으로 인한 수익은 꾸준히 증가세에 있다고 설명.
마음AI (377480) 플랫폼화를 통한 서비스 효율화와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적극적인 R&D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IR협의회는 동사에 대해 인공지능 기술을 클라우드 기반 종합 플랫폼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SI(System Integration)서비스 제공 시 고객이 원하는 AI기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밝힘. 이는 동사의 수익성 측면에서도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동사는 마음오케스트라(maum_ Orchestra)와 End-to-End서비스 등의 기술적 경쟁력을 활용해 초개인화 맞춤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차별화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동사는 적극적인 R&D로 빠르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 중이라고 밝힘. 특히, 최근에는 로봇 및 자율주행 시장에 진입을 위해 개발 중인 ‘워브(World model for Robotics and Vehicle control)’를 언론을 통해 소개했다고 밝힘.
코닉오토메이션 (391710) 자동화 설비 공급계약 체결 등에 소폭 상승
▷지난 10일 장 마감 후 공급계약(자동화 설비) 체결(계약기간:2023-11-10~2025-01-31) 공시. 영업비밀 보호요청으로 계약 상대방에 대한 정보는 공시유보한다고 밝힘.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개발한 품질 검사 자동화 솔루션에 국내외 이차전지 소재 기업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해짐. 동사는 '실험실 검사 자동화 솔루션(K-LAS)'을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 포스코퓨처엠, LG화학, 엘앤에프 등 주요 양극재 업체에 공급했으며, 최근 에코프로 헝가리법인에도 공급해 글로벌로 영역을 확장했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김혁 대표는 “현재 5개사, 8개 생산거점에 대해 수주를 완료했으며 국내외 양극재 생산능력 증설이 예상되고 있어 수주 전망이 밝다”면서 “이차전지 양·음극재 기업으로부터 공급 문의가 밀려오면서 향후 3년치 수주가 예정된 상황”이라고 밝힘.
로보티즈 (108490) 내년 해외시장 매출 확대 전망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10일 동사에 대해 2024년 예상 매출액은 333억원으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한 15%의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 특히, 실내 자율주행 로봇은 국내를 비롯하여 일본, 북미 지역 주요 호텔에 공급 확대가 예상되며, 신제품 액츄에이터의 판매라인 확대로 해당 부문에서만 약 15%의 성장이 예상.
▷한편, 2023년 예상 매출액은 29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영업이익은 자율주행로봇 등 R&D 투자비용 증가로 인해 적자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
에스티큐브 (052020) 글로벌 빅팜과 BTN1A1, ADC 병용요법 협업 논의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3) 참가 이후 글로벌 빅팜을 포함, 중견 제약?바이오 회사들과 항체약물접합체(ADC) 병용요법에 대한 협업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힘. '4세대 항암제'로 불리는 ADC는 암세포만 골라서 파괴하도록 고안된 항암제로, 현재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라고 언급. 동사는 BTN1A1은 거의 모든 암종에서 발현되어 ADC와 병용 시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부작용이 거의 없는 넬마스토바트의 임상 1상 결과에 근거해 화학항암제 뿐만 아니라 ADC 병용요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졌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임상 1상 단계부터 논의를 지속해왔던 회사들을 포함해 미국, 유럽 등 다양한 빅팜과 추가적인 파트너십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ADC와 병용 논의 및 이에 대한 항체 제공 요청이 증가해 관련 미팅이 예정돼 있다"고 밝힘.
한성크린텍 (066980) 과기부 주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고 밝힘. 특히, 환경분야에는 유일하게 초순수 국산화 기술(연구책임자 길대수 기술연구소 박사)이 선정됐으며, 이번 우수성과 100선으로 최종 선정된 성과는 과기부 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현판이 수여되고 관계 규정에 따라 과제선정과 기관평가 등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초순수 국산화 국책과제 수행(2021년 6월~2025년 12월)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지난 5월부터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시공을 완료한 국산화 1단계 설비로 반도체 원재료(Wafer) 공장에 초순수를 성공적으로 공급했음. 아울러 국책과제 2단계 실증플랜트를 통한 기자재 국산화 설비 준비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초순수기술자립화에 속도를 내고 있음. 이를 통해 일본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초순수 제조 공정 국산화와 함께 핵심 소부장(소재·부품·장비)까지도 국산화에 나설 예정.
에브리봇 (270660) 내년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10일 동사에 대해 유통채널 Mix 개선으로 온라인 비중은 49.3%까지 증가, 실적 하방 경직은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예상 매출액은 362억원(+11.4% YoY), 영업이익은 38억원(+52.0% YoY)을 기록할 전망. 특히, 마진율이 높은 온라인 판매 비중은 꾸준히 증가, 2022년 38.9%에서 2023년 상반기 49.3%까지 매출이 확대됐으며, 2024년 신제품 출시 효과에 따른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분석.
▷한편, 자율주행 센싱 및 제어기술과 공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차세대 LiDAR센서와 맵핑 솔루션 기술을 국책과제 수행을 통해 내재화를 완료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빙 로봇, 상업용 청소로봇 및 홈서비스 로봇 등 다수의 신제품이 출시될 예정이고, 자체 R&D 센터를 통해 AI 기술 고도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힘.
엔피 (291230) 양호한 3분기 실적 분석 및 XR 콘텐츠 사업 성장 가능성 등에 소폭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연결 영업수익은 107.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7% 줄었지만 외주제작비, 인건비 등 영업비용 감소로 영업이익은 1,030.4% 증가한 6.1억원을 기록했다고 언급. 온라인 BE 부문은 저조했지만 디지털 마케팅사업 매출이 56억원(+20.8% YoY)으로 성과가 커졌고 오프라인 BE도 48억원(-18.5% YoY)으로 역성장하긴 했지만 안정적인 매출을 이어갔다고 설명. XR콘텐츠 부문 매출은 3.6억원(-19.5% YoY)에 그쳤으며 연결 대상 자회사 중 엔피씨앤씨와 리얼피치은 적자에 머물렀지만 손실 규모가 축소됐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는 온라인·오프라인 브랜드 익스피리언스 사업 확대에 더해 XR 생태계에 맞는 콘텐츠 개발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 작년 10월 ‘XR 메타 커머스 솔루션’을 선보인 바 있는데 메타버스형 쇼핑 솔루션으로 ‘XR 기술’과 ‘라이브 커머스’를 결합시킨 것으로 소비자들에게 실감형, 몰입형의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고 언급. XR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콘텐츠의 중요성도 대두되고 있는 만큼 XR 콘텐츠 사업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