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otage & navigation를 우연히 읽었다. 1도는 60분이고 1분은 1해리(6080피트)다. 1해리는 10케이블이고 1케이블은 100팬텀(6피트, 한길)가 된다. 지도에 주로 사용되는 메카르트 도법은 지구가 구형이기에 평면으로 표현하면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위해 극점에 가까워질수록 위도간격이 늘어난다. 이는 경도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직선으로 표시하기위한 방법이다. 4 두 관측선의 교점이 내위치인데 확실하게 하려면 하나를 추가한다. 이런 경우 한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삼각형을 이루는데 위험물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나의 위치로 간주하면 된다. 14
등대 등 지형지물이 하나일 때 사용하는 러닝픽스는 일정한 속도와 항로를 유지하면서 우선 등대 등의 상대각을 재고 이 각도가 30도이상 차이가 나는 시점에서 위치확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90도의 항로와 12노트의 속도로 진행하는 경우 10:00에 등대가 우현 30도에 관측되었다면 우선 해도에 등대에서 30도방향으로 선을 긋고 그 각도가 60도가 되었을 때의 시간이 10:30이었다면 등대에서 60도의 선을 추가한 후, 12노트가 30분간 진행한 거리는 6해리이므로 그길이의 90도방향의 선이 두 선의 양끝에 있는 경우 두번째선과 진행선이 만나는 지점이 10:30의 위치가 된다.
이를 간략하게 한 것이 이등변삼각형의 원리를 활용하여 방위각이 두배가 되었을 때를 이용하는 것이다. 방위각이 두배라면 첫 관측지점과 현 지점, 그리고 등대는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기에 속도와 시간을 통해 거리를 계산하면 그 거리가 현지점과 등대와의 거리와 같기에 현재 위치를 확정할 수있다. 23 시계가 나쁜 경우는 사운딩을 통해 수심과 해도를 비교하여 추가 안전을 도모한다. 사실 추가가 아니고 연안의 경우 육지가 보이지않기에 이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