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등학생 아이입니다.
성적이 어중간하여 실업계가서 기술을 배웠으면 하는마음에
중학교때부터 약간 의견이 엇갈렸었죠...
하고싶은 일이 있다기에 꼭 대학을 가야 한다기에 인문계가는걸 허락했습니다.
문제는 이성친구가 일찌감치 생겼다는거죠..
첨엔 조용하더니 점점 이성친구에게 빠지는것 같아요 성적도 많이 떨어졌구요..
여름방학이 되니 학교공부가 끝나면 놀생각만 합니다.
하고싶은 일이 있다고 인문계를 결정한건데 정작 공부를안하고 있으니...
시간이 지날수록 더 어려워지니까 마음을 다시 잡으라고 하는데 정작 본인은 못하는것 같아요.
그전에도 집중력이 떨어져서 책상에 앉아있는것처럼 성적이 나오질 않아서 문제였는데 이젠 이성친구까지 생겼으니 더 걱정입니다.
A.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어머님께서 적어 주신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이성친구가 생겨 학업에 열중하지 않는 자녀 분 때문에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우선, 이성친구와 헤어지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오히려 학생에게 반발심을 키워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모님께서 한창 사춘기이고 이성에게 관심이 많을 학생의 마음을 헤아려주시고, 공감과 이해를 통해 자녀 분과 대화를 자주 시도해보시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학생이 지금 현 위치와 상황에서 우선 순위를 잘 정할 수 있게 도와주시고, 저학년부터 자신의 비전을 어설프게 그려보는 것 보다 확실히 지망하고 자하는 학과와 비전을 명확히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성에 관심을 가지는 자녀 분의 행동이 일시적일 수 있으니 여유를 가지고 지켜봐주세요.
부족하지만, 어머님께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좋겠네요.더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저희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로 문의해주세요.
You can do it!
1. 상담자로서의 역할
진로 상담의 주체, 즉 아이의 진로 계획과 실천을 돕고 자기주도적으로 진로개발역량을 다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은, 보호자에게도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진로에 대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해, 보호자로서 도울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주세요.
가능한 이야기 주제
어떤 삶을 사는 사람이 되고 싶어?
네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하니?
내가 어떤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어?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해/직업을 갖기 위해 방해되는 것들이 있어?
2. 지지자로서의 역할
자아정체감 확립은 진로 계획에 필수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밑바탕이 됩니다.
아이가 자기 가치를 증진시키고 의미 상실, 좌절 등의 발달적 위기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말아주세요. 보호자와 만들었던 추억을 바탕으로, 아이의 존재 가치를 확언해주고,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존재라는 것을 끊임없이 말해주세요.
3. 조력자로서의 역할
아이와 함께 아이의 흥미와 적성을 탐색하고, 직업 정보를 수집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올바른 직업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진로 관련 책을 읽으면서, 아이 스스로의 동기와 목표에 대해 직관적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보냈던 시간들을 바탕으로, 아이의 흥미와 적성을 함께 찾아가 보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에서는…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정서적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기인 동시에 자아 정체감의 형성, 진로탐색, 학습 등 다양한 삶의 발달과업들을 이뤄가야 하는 시기입니다. 성장과 함께 자연스럽게 극복되는 문제들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구분해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잘 하는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는 것 같아요”
“저는 되고 싶은게 너무 많은데 결정하기가 어려워요”
“저는 계속 꿈이 바뀌어서 고민이에요”
“저에게 맞는 직업을 선택하고 싶어요”
“진로상담은 스스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진로준비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의 진로를 주도적으로 탐색해나갈 수 있게 되는 과정입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사춘기 자녀의 외모콤플렉스 극복법
[상담 후기] >> 사회성 집단(중고등) 0위준 상담후기-자신감이 부족하고 친구에게 다가가기 어려운 아이, 친구들의 중심이 되기까지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참고문헌
강란혜(Kang Ranhye),and 이미정(Lee Mijeong).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2011): 941-953.
김미례. "교류분석(TA) 이론에 의한 청소년기 진로상담 접근 방안에 대한 모색." 교류분석상담연구 6.2 (2016): 41-65.
권점란,and 박응임. "의미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목적수준, 스트레스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9.1 (2021): 67-86.
최선영(Sun Young Choi),and 홍지영(Ji Young Hong). "독서활동을 활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 문화포럼 -.33 (2013): 62-87.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정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