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E/나이스정보통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 발표 등에 강세
▷NICE,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23년~25년 연차배당, 자기주식 소각, 배당 절차 개선) 안내 공시. 보통주 378,823주(62.05억원)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3-11-30) 공시.
▷나이스정보통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정기 연차배당 상향, 배당절차 개선, 자기주식 취득) 안내 공시. 6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3-11-21~2024-11-20, 신한투자증권(Shinhan Securities Co., Ltd.)) 공시.
[종목]: NICE, 나이스정보통신
HDC현대산업개발 (294870) 저평가 해소 기대감 등에 상승
▷KB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불확실한 업황 전망 속에 단기 주가 급등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이제 겨우 12개월 선행 BVPS 기준 0.3배 수준에 도달했을 뿐이라고 밝힘. 이어 무관심에서 비롯된 회사 펀더멘탈에 대한 오해가 본격적으로 해소되기 시작한 가운데, 우발부채가 적고 광운대 역세권 등 조만간 착공이 예상되는 서울/수도권 자체 사업부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업종 내에서 가장 먼저 주택 업황의 바닥을 빠져나가는 기업 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최근 분양물량은 업계 추세와 다르게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공릉 역세권, 용산철도부지, 광운대 역세권 등의 착공이 예상되는 바 회사가 만들어낼 차별적인 사이클에 주목해야 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9,000원 -> 20,500원[상향]
SKC (011790) 내년 새로운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한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4년 새로운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3년 들어 대규모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진행해왔으며 이와 더불어 동박과 화학 업황 둔화 심화에 따른 실적 부진이 지속되었지만,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은 23년 대부분 마무리된 상황이며 4Q23 말레이 동박 설비 가동 개시에 따른 수익성 회복 또한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중국발 동박 공급과잉으로 인해 동박 성장성은 기존 대비 둔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적극적인 동박 신규 고객사 확보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글라스기판, 실리콘음극재, PBAT 등 신규 사업 진행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40,000원[유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020150) 4분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3분기 선방한 실적을 시현했다며, 매출액은 전방 수요 둔화 우려가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고객사향 EV 동박 출하량 증가 전 분기 대비 소폭 성장했고 수익성의 경우 중국발 공급과잉에 따른 가공 마진 압박이 지속되었으나 전반적인 설비 가동률 회복에 따른 제조원가 개선에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고 밝힘.
▷아울러 4분기 매출액은 2,387억원(+7.7%QoQ), 영업이익은 87억원(OPM 3.6%)로 주요 고객사향 전지박 출하량 증가 지속에 따른 실적 개선을 전망한다고 밝힘. 현재 유럽 전기차 수요 부진 및 주요 OIEM 출시 일정 지연 등으로 업황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주요 고객사인 삼성SDI의 판매량은 여전히 견조한 상황이며, 수익성의 경우에도 전력비 부담이 낮은 말레이시아 설비의 생산 비중 증가에 따른 개선이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다만, 중국발 전지박 공급과잉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 목표주가는 하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4,000원 -> 58,000원[하향]
YG PLUS (037270) 올해 호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3년 매출액은 2,230억원(+59.0% YOY), 영업이익은 188억원(+193.5% YOY)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힘. 음악서비스와 기타(음반 유통 및 라이선싱) 부문은 신인 아티스트의 음반 성장세와 음원의 흥행으로 2024년에도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
▷한편, 동사는 국내 음반 유통 MS 41%를 차지하고 있으며, 와이지엔터테인먼트와 하이브의 국내 음반 유통을 전담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음반 판매량이 현수준으로 유지된다고 가정했을 때 주가의 주요 트리거는 음원 부문의 성장과 콘서트 모객 수가 될 것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5,000원[신규]
세아제강지주 (003030) UAE서 20만t 규모 송유관·클래드 강관 공급 계약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랍에미리트(UAE) 최대 국영 석유회사 아드녹에서 대규모 송유관과 클래드 강관을 수주했다고 밝힘. 동사는 UAE 생산법인인 '세아스틸 UAE'와 이탈리아 특수관 생산법인 이녹스텍을 앞세워 이 같은 수주에 성공했으며, 앞으로 세아스틸 UAE는 아드녹이 진행하는 오일·가스 프로젝트에 5년간 약 20만t 규모의 송유관을 공급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해외 생산법인들이 중동 시장 내에서 연이은 대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에너지용 강관 시장에서 주요 공급자로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설명.
한올바이오파마 (009420) IMVT-1402 임상1상 결과 발표 기대감 및 향후 anti-FcRn계열 약물 부문 실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1월 IMVT-1402의 임상1상에 대한 성공적인 결과 발표 및 내년 기술수출한 중국 바토클리맙의 신약승인 기대감이 크다고 언급. 아울러 anti-FcRn계열 약물의 실적 전망치 약 20% 상향 조정에 대한 시장전망 자료 및 Immunovant의 M&A 기대감, 바토클리맙의 일본 시장 가치, 그레이브질환 파이프라인가치 등으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7,000원 -> 39,000원[상향]
DI동일 (001530) 주주 친화정책 확대 등에 따른 저평가 해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주주 친화정책 확대에 따라 지금까지 주요 문제로 꼽혔던 Peer 대비 과한 주가 디스카운트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 동사의 근본적인 저평가 원인은 지배구조의 불투명성, 시장 소통부재, 지분승계 이슈 등 주주 친화적이지 못한 경영 방침에 기인한다고 분석. 다만, 향후 유의미한 기업가치 제고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이유는 3Q23 35억원 규모의 자사주 장내 매수, 4Q23 약 400억원(발행주식수의 5%) 규모의 자사주 소각, IR 활동 강화 등 동사는 2H23부터 다양한 주주 친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어 강남구 삼성동 본사 빌딩, 인천/구로디지털단지역 유휴부지 등 다수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데 3Q23 장부가액 기준 보유 토지 가치는 약 3,800억원 수준이지만, 해당 토지 가치는 10년 전인 13년에 마지막으로 평가된 가치로 현재 시점에서 자산 재평가가 이뤄진다면 보유 토지 가치는 최소 1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아울러 주력 자회사인 2차전지용 양극박 업체 동일알루미늄이 주요 Peer 회사 대비 생산캐파, 매출규모, 수익성 측면에서 모두 우위를 차지 중으로 이에 따른 수혜도 기대된다고 밝힘.
한솔케미칼 (014680) 내년 호실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4년 매출액은 8,439억원(+9%, 이하 yoy), 영업이익은 1,652억원(+23%)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힘. 업황의 개선 속도를 감안할 때 가동률 및 실적의 가파른 턴어라운드는 2Q24부터 본격화될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2차전지 센티 악화 영향 등으로 여타 소재사들 대비 낙폭이 큰 상황인 가운데, 추가적인 주가 하방 요인이 제한적인 현 상황에서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는 시점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30,000원[신규]
나노 (187790) 자회사를 통한 中 2차전지 소재 제조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2차전지 소재 제조를 본격화한다며, 자회사인 나노케미칼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는 황산철을 중국의 배터리 소재 제조사 윈난위넝에 공급한다고 밝힘. 중국 윈난성에 있는 나노케미칼은 연간 1만2,000t 규모의 촉매용 이산화티타늄(TiO2) 원료를 생산하고 있다며, 연간 생산량은 약 3만t이라고 설명. 이어 나노케미칼은 중국 전기차 제조사 CATL 및 BYD의 주요 LFP 배터리 소재 공급사인 후난위넝의 자회사 윈난위넝에 인산철 제조용 황산철 공급을 시작했다며, 올해 약 1만8,000t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신동우 회장은 “현재는 황산철 상태로 공급 중이며, 인산철로 가공할 수 있는 설비 투자 여부는 시장 상황을 지켜보며 판단할 것”이라고 밝힘.
삼천당제약 (000250) 황반변성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유럽 5개국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 체결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황반변성치료제(아일리아/주성분 : Aflibercept) 바이오시밀러 SCD411(Vial&PFS)의 유럽 5개국(독일, 스페인, 이태리,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 체결 공시. 아울러 나머지 유럽 10개국은 추후 계약이 되는대로 변경 공시를 통해 밝히겠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금번 체결한 5개 국가는 유럽 전체 시장의 30% 정도를 점유하고 있는 국가들"이라며, "유럽은 국가별로 약가 제도 및 시장 성격이 달라 각각 협상을 하다 보니 먼저 협의가 완료된 5개 국가에 대해 계약을 체결했고, 공시에 언급된 것처럼 나머지 10개 국가도 약가 및 예상 매출이 확인되는 대로 나머지 국가들도 계약을 완료 할 예정"이라고 밝힘.
우듬지팜 (403490) 스마트팜 전문 시공 자 회사 '우듬지 E&C' 설립,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스마트팜 전문 시공 자회사 '우듬지 E&C'를 설립하고 450조원에 달하는 전세계 스마트팜 시장을 겨냥, 본격 수출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에 설립되는 우듬지E&C는 동사의 반밀폐형 유리온실 설계·시공 기술력을 이식받아 네옴시티로 주목받고 있는 사우디 현지에 첨단 국내 애그테크 기술을 전수할 예정이며, UAE 등 중동과 미국, 네덜란드 등 글로벌 스마트팜 영역을 확대시켜나갈 계획.
▷아울러 충남 서산에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는 등 정부 및 지자체로부터 오는 2025년까지 국내에서 1만평 규모의 스마트팜 20개 조성도 주도적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
인트론바이오 (048530) 보톡스 대체 신규소재 iN-SIS5, 항산화 효능 확인 소식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신약파트가 보톡스 대체 신규소재인 iN-SIS5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에 더해 항산화 효능도 확인한 것으로 전해짐. 보톡스 대체재로 개발하고 있는 iN-SIS5는 근본적으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신규소재로써 그 효능을 이미 확인한 바 있으며, 코스메틱 분야에 적용시킬 수 있는 특성들을 조사하기 위해 주요 효력평가시험을 진행하며 iN-SIS5가 항산화(Anti-oxidant) 효능까지 나타내는 소재임을 확인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윤경원 동사 대표는 “iN-SIS5는 기본적인 보톡스가 제공할 수 있는 효능은 물론, 다수 추가 효능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단계적으로 추가 검증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사업화에 중요한 대량 생산체제를 구축해 나가고 있고, 이후 본격적인 양산과 제품화 및 마케팅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씨씨에스 (066790) 상온 초전도체 신사업 진출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임시주주총회에서 신규 경영진 선임을 완료하고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상온 초전도체 등 신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새로운 경영진에 상온 초전도체 개발과 관련된 권영완 교수와 김지훈 연구원 등이 합류했다”며 “신규 경영진과 교수, 연구진들이 새로 발표할 상온 초전도체 관련 시연회, 특허 진행 사항 등 신사업 추진 일정을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
▷한편, 지난 16일 동사는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권영완 고려대학교 교수와 김지훈 퀀텀에너지 전 리서치디렉터 등을 신규 이사로 선임했으며, 이어 이사회를 열고 정평영 그린BTS 공동대표와 김영우 컨텐츠하우스210 이사를 공동대표이사로 변경한 바 있음.
씨앤씨인터내셔널 (352480) 4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일 동사가 300억원 규모의 무기명사모전환사채 발행 결정을 알린 것은 글로벌 도약을 위한 포석이라고 밝힘. 동사는 보유 현금/차입 여력이 존재함에도, 금번 투자를 수락한 목적으로 어센트EP와의 ‘관계 강화’(미국과 중국 시장의 신규 고객사를 확보함)를 꼽았다며, 어센트EP의 글로벌 파트너사인 미국 록펠러 캐피탈 매니지먼트와 중국 CICC(중국국제금융공사)와의 지속될 협업을 위하여 발행을 추진했다고 언급. 이번 계약을 통해 이들의 핵심 파트너사로 제품 기획/개발/생산 등의 역할을 수행, 대규모 물량 공급을 목표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4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626억원(YoY+63%), 영업이익 114억원(YoY+146%, 영업이익률 18%)으로 창사 이래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이익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설비 확충에 따라 지난 9월 생산 능력이 월 800만개에서 1,000만개로 상승했으며, 이에 따라 4분기부터 납기에 속도가 붙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특히, 북미 수출액 증가 및 국내 호조세로 분기 최대 실적 기록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0,000원[유지]
옵트론텍 (082210) 내년 매출액 증가 기대감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매출(2,467억원)은 13.8%(yoy)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특히 폴디드줌 관련한 프리즘, 전장향 관련한 렌즈 및 모듈 매출 증가 예상, 종전의 휴대폰향 IR 필터 중심에서 고부가 영역인 폴디드줌 카메라, 그리고 성장이 높은 전장향으로 포트폴리오 변화는 밸류에이션 확대가 기대된다고 설명. 비주력 부문의 투자자산 매각과 부채 상환으로 점진적인 재무구조 개선(부채비율 하락)도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언급.
▷한편, 2023년 3Q 매출은 589억원으로 41.9%(yoy), 12.4%(qoq) 증가, 영업이익은 84억원으로 흑자전환(yoy), 213%(qoq)를 시현했다고 언급. 상대적으로 비영업부문(투자)의 매출 증가가 높았으나 전년대비 비교하면 경쟁심화된 IR 필터 매출은 감소했다고 언급. 반면 폴디드 줌 및 전장향 카메라향 렌즈모듈 매출(3Q 누적으로 618억원, 75.7% yoy) 증가는 향후 장기 성장 관점에서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Marketperfor -> BUY[상향], 목표주가 : 3,700원 -> 4,500원[상향]
알테오젠 (196170) 파이프라인의 상업화 및 후속 개발 위한 인재 영입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임상 개발이 진행되는 파이프라인의 상업화와 후속 개발을 위해 경험 및 역량이 풍부한 3명의 과학자를 영입했다고 밝힘. 파이프라인이 각각 다른 분야를 다루고 있고, 연구·개발도 다양한 단계에 걸쳐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경험과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한 전문성 등을 세심하게 고려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박순재 동사 대표이사는 "회사가 당면한 과제 해결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할 후속 파이프라인인 ADC SC제형, 피하제형용 희귀의약품 개발을 위하여 연구·개발 각 단계에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가진 인재를 초빙했다"며 "이러한 핵심 인재 유치는 지속적인 기술수출과 자체 제품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글로벌 파마로 동사가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힘.
라온텍 (418420) AR글래스 사업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CTT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AR글래스에 최적화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데다 글로벌 빅테크들의 XR 경쟁 등이 호재로 작용해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Avegnat, Qunata Computer 등 다수의 기업들이 AR 글래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2024년엔 AR글래스 시장이 열릴 것이라며, 펜데믹 시즌 메타버스와 함께 흥행 기대가 고조되었던 VR은 가상공간이라는 공간적 제약으로 확장성에 한계가 명확한 반면, AR은 착용한 상태에서 실생활이 가능하기에 확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설명.
▷이어 Avegant가 동사의 LCoS를 탑재한 Compact Light Engine을 개발해 광학 렌즈에 AR을 구현한 진짜 AR글래스 제품을 2024년 선보일 예정인데, Avegant의 제품 출시가 AR글래스 시장 개화 트리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동사는 AR글래스에 최적화된 LCoS,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해 주목할 만 하다고 밝힘.
웨이버스 (336060) 네이버시스템 GIS 사업부문 인수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네이버시스템의 지리정보시스템(GIS) 사업 부문을 인수한다고 밝힘. 인수 대상은 GIS 사업 부문 관련 자산과 특허권, 상표권, 영업권, 면허 등이며 인수 기준일은 내달 31일임.
▷동사는 그간 공간정보 시스템 구축 분야에서 독보적으로 공간정보 데이터 가공과 유통, 서비스 사업을 운영해 왔으며, 이번 인수를 통해 공간정보 데이터생산 분야를 내재화하면서 공간정보산업의 전 공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음. 또한, 이번 인수를 기반으로 디지털트윈·메타버스·자율주행 등 신산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공간정보가 필요한 다수 기업과 협업 및 솔루션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
▷김학성 대표이사는 "이번 인수계약은 회사의 미래 사업에 있어 꼭 필요한 공간정보 데이터 생산 부문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진행됐다"며 "이는 당사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인 '지온DT' 솔루션과 융합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향후 항공 및 정밀도로 지도 구축 사업 분야로도 더 쉽게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