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24절기(二十四節氣)
중국(中國)에서 우리나라에 전래된 1년의 24절기(節氣)는 음력(太陰曆)에 기초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은 양력(太陽曆)에 의한 구분이다. 1년을 봄(春), 여름(夏), 가을(秋), 겨울(冬) 4계절로 크게 나누고 또 각 계절마다 6개의 절기(節氣)로 구분하니 각 절기는 15~6일의 간격인데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 각 절기마다 5일씩 묶어 초후(初候), 중후(中侯), 말후(末候)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봄(春) : 입춘(立春)-우수(雨水)-경칩(驚蟄)-춘분(春分)-청명(淸明)-곡우(穀雨)
여름(夏): 입하(立夏)-소만(小滿)-망종(芒種)-하지(夏至)-소서(小暑)-대서(大暑)
가을(秋): 입추(立秋)-처서(處暑)-백로(白露)-추분(秋分)-한로(寒露)-상강(霜降)
겨울(冬): 입동(立冬)-소설(小雪)-대설(大雪)-동지(冬至)-소한(小寒)-대한(大寒)
<봄(春)>
입춘(立春/2월 4~5일): ‘봄이 시작되다’(24절기 중 첫 번째 날. 집안의 복을 기원하는 날)
-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등 입춘첩(立春帖)을 써서 대문에 붙였다.
우수(雨水/2월 19~20일): ‘눈 대신 비(雨)가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水)이 되다’
-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나뭇가지에 싹이 돋고 풀이 자라기 시작한다.
경칩(驚蟄/3월 3~6일): ‘봄철이 되어 겨울잠을 자던(蟄) 동물들이 천둥소리에 놀라(驚) 깨어나 움직이다’
- 옛 속담(俗談)에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라는 말도 있다.
춘분(春分/3월 21~22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나이떡<송편/松䭏> 먹는 날)
- 옛 풍습으로 이날이 되면 ‘나이떡(松䭏:송편)’을 만들어 각자 자기의 나이 숫자만큼 떡을 먹었다.
청명(淸明/4월 5~6일): ‘봄(春이) 짙어지며 하늘이 맑아지는(明) 시절’
- 이날 날씨가 좋으면 어업(漁業)이나 농업(農業)에 도움이 되고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여겼다.
곡우(穀雨/4월 20~21일): ‘비가 내려 백곡(百穀)을 기름지게 하다.’
- 옛 속담(俗談)에 ‘곡우에 모든 작물이 잠을 깬다.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곡우에는 고로쇠나무(骨利樹)에서 물(樹液)을 받아 마시면 뼈(骨)에 이롭다하여 많이 받아 마셨다.
<여름(夏)>
입하(立夏/5월 5~6일): ‘여름(夏)에 들어서다’
- 봄빛이 완전히 물러나고 산과 들에는 나뭇잎이 무성해지며, 농사 일이 바빠지고 개구리와 지렁이가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소만(小滿/5월 20~21일)): ‘만물이 자라서 세상을 가득 채운다.’ 보리의 수확기(收穫期)가 시작
- 씀바귀가 줄기를 키우고, 봄나물인 냉이는 말라 죽으며, 보리가 익는 계절이다.
망종(芒種/6월 6~7일): ‘논보리나 벼 등 씨앗에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 ※芒-까끄라기 망<씨앗 끝에 수염이 달린>
- 보리와 밀의 수확기이고, 논에 모내기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하지(夏至/6월 21~22일): ‘여름(夏)의 절정(至)’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이다.
- 일사량(日射量)과 일사시간(日射時間)이 가장 긴 날.
햇감자가 나오고 이 시기에 비가 오지 않으면 마을마다 기우제(祈雨祭)를 올렸다
소서(小暑/7월 7~8일): ‘작은(小) 더위(暑)의 시작’
- 장마철의 시작으로 기온도 높고 태풍도 오며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대서(大暑/7월 22~23일): ‘큰(大) 더위(暑)’ 폭염(暴炎)이 기승을 부리는 시기이다.
- ‘대서(大暑)에는 염소 뿔도 녹는다.’는 속담도 있다.
<가을(秋)>
입추(立秋/8월 7~8일): ‘가을(秋)이 들어선다(立)’
- 더위의 막바지로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쓰르라미가 울기 시작한다.
처서(處暑/8월 23~24일): ‘더위(暑)를 처분(處)하고 가을의 길목에 접어들다.’
- ‘어정칠월 건들팔월-어정거리면서 칠월을 보내고 건들거리면서 팔월을 보낸다.’는 말이 있다.
가을은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 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는 말도 있고 또 농사일이 끝났다는 의미로 ‘호미씻이 철’이라고도 했다.
백로(白露/9월 9~10일): ‘농작물에 흰(白) 이슬(露)이 맺힌다.’
-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白露)의 시작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그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 (末候)에는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하였다.
경남지방에서는 ‘백로(白露)에 비가 오면 십리(十里)마다 천석(千石)을 늘인다.’는 말도 있었다.
추분(秋分/9월 22~23일): ‘가을(秋)의 분기점(分)’
- 초후(初候)에는 우레(雷聲) 소리가 그치고, 중후(中候)에는 동면(冬眠)할 벌레가 흙으로 입구를 막으며, 말후(末候)에는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는 말이 전해온다.
한로(寒露/10월 8~9일): ‘일 년 중 찬(寒) 이슬(露)이 내리기 시작한다.’
- 한로(寒露)가 지나면 밤의 길이가 낮보다 점차 길어지니 가을이 깊어져 농촌에서는 추수를 서둘러 마치는 시기이다.
상강(霜降/10월 23~24일): ‘서리(霜)가 내리다(降)’
- 추수가 거의 끝나고, 동물들은 일찌감치 겨울잠(冬眠)에 들어갈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겨울(冬)>
입동(立冬/11월 7~8일): ‘겨울(冬)이 들어서다(立)’
- 초후(初候)에는 물이 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땅이 얼어붙으며, 말후(末候)에는 꿩이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 치계미(雉鷄米)라는 경로잔치도 있었는데 꿩이나 닭, 쌀을 추렴하여 벌이는 동네잔치
소설(小雪/11월 22~23일): ‘눈(雪)이 적게(小) 온다.’
-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하여 점차 겨울 기분이 든다.
억울하게 죽은 손돌(孫乭)노인의 원혼 때문에 ‘손돌추위’가 온다고 하며 강화에서는 뱃길을 금한다.
대설(大雪/12월 7~8일): ‘눈(雪)이 많이(大) 내린다.’
- 초후(初候)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범이 교미하여 새끼치며, 말후(末候)에는 여지 (荔枝<여주>: 박과에 속하는 식물)가 돋아난다고 하였다. 한편, 이날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을 난다는 믿음이 전해진다.
동지(冬至/12월 21~22일): ‘겨울(冬)에 이르다(至)’
-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동짓날을 민간에서는 ‘아세(亞歲)’라 했는데 ‘작은 설’이라는 의미이다.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있다.
이날은 악귀를 쫓기 위하여 붉은 색이 나는 팥죽을 쑤어 대문 앞에 뿌리고 먹었다.
새 달력을 만들어 걸었으며, 뱀 사(蛇)자가 씌어진 부적을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여 놓기도 했다.
소한(小寒/1월 5~6일): ‘작은(小) 추위(寒)’
- ‘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 말이 있을 만큼 매우 추위가 심한 시기
대한(大寒/1월 20~21일): ‘큰(大) 추위(寒)’
- 이날 밤에 콩을 땅이나 마루에 뿌려서 악귀를 쫓아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다.
초후(初候)에는 닭이 알을 낳고, 중후(中候)에는 새가 높고 빠르게 날며, 말후(末候)에는 연못의 물이 단단하게 언다. 농가에서는 찰밥을 짓고 시래깃국을 끓이며, 동치미와 녹두전 등 시절 음식으로 즐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