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시 술집 ‘방우’ 일도 해봤다…탄광·사시, 내 방황의 긴 목록
이문열, 시대를 쓰다
관심
10회. 방황과 독서 편력
중편 세 편으로 구성된 1981년 장편소설 『젊은날의 초상』을 나는 ‘자연산’이라고 부른다. 절반을 넘지는 않겠지만, 내 직접 체험이 가장 많이 녹아 있는 작품 중 하나여서다.
이 소설의 3부 ‘그해 겨울’에서 작중 화자는 10년 전 경상북도 어느 산촌의 술집에 ‘방우’로 있던 시절을 회상한다. 방우는 당시 불목하니, 즉 땔나무를 베고 물을 긷는 허드레 일꾼을 뜻하는 보통명사였다.
소설가 이문열씨의 밀양국민학교 6학년 시절. 뒷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작가다. 사진 왼쪽 윗편에 '희망이 크다 우리는'이라는 문구가 보인다. 사진 이재유
나는 실제로 방우 노릇을 한 적이 있다. 시기나 처한 상황도 소설과 비슷했다. 소설의 ‘나’는 도시와 학교를 떠나 강원도로 향한다. 광부가 될 작정이었다. 하지만 개인 탄광의 갱에 들어간 첫날 막장이 내려앉아 두 사람이 묻히는 장면을 목격하고 광부 노릇을 단념한다. 그다음 찾아간 동해안의 작은 어촌에서 고기잡이배를 타려 하지만 해적 같은 외모의 선주가 화자의 흰 얼굴과 매끈한 손을 살피더니 귀한 집 도련님은 돌아가 책이나 보라며 박대한다. 그래서 이르게 된 곳이 산촌, 그곳에서 방우로 일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색시 나오는 술집에서 ‘방우’ 노릇
실제의 나는 방우 노릇을 산촌이 아니라 고향 석보(경북 영양군 석보면)의 장터에서 했다. 당시 큰 형님이 여인숙 겸 술집을 차렸다. 소설에서처럼 색시가 있었다. 나는 술병 하나, 석유병 하나씩 꿰차고 아홉 개 방을 돌며 군불을 때곤 했다.
86년 교통사고로 숨진 큰 형님은 수완가였다. 실전에서 태권도보다 세다는 당수(唐手) 2단이었고, 깡패들과 어울렸다. 게다가 여론조사소 조사원증까지 갖고 있었다.
당시 여론조사소들은 업체들로부터 돈을 뜯거나 조사원증을 팔다 적발돼 신문의 사회면을 장식하곤 했다. 사이비 사회단체로 지목돼 지탄받으며 70년대 초반까지 극성을 부렸을 것이다. 깡패 기질에 여론조사원증까지 갖췄으니 형님이 뜨면 시골 경찰서 지서 정도는 벌벌 떨었다. 경찰서 지서에 들어서면 순경이 일어나 경례를 올려붙였다.
탄광 이야기 역시 있었던 일이다. 영화에서처럼 다이너마이트에 불붙이고 급하게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폭파하는 일을 하면 신뻬이(초짜)에게도 돈을 많이 준다고 해서 친척이 있는 강원도의 탄광을 찾아갔는데 이미 전기를 이용한 뇌관 기폭으로 바뀐 지 오래라고 했다.
공교롭게 내가 찾아간 날 막장이 무너져 매몰된 광부의 아내가 우는 장면은 목격했지만 다행히도 그 광부가 죽지는 않았다.
나는 고기잡이배 일자리도 알아봤다. 뱃멀미 안 하느냐고 묻길래 심하다고 했더니 “치아라~” 해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