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우울증 어떻게 해야 할까요?
Q:고2 남학생 학부모입니다.
고1 7월에 청소년우울증 진단을 받았고 현재 정신과병원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우울증 상태가 심했고, 식욕저하, 무기력 상태가 심한 상태였습니다.
현재는 항우울증 처방을 받아 치료 중입니다. 치료 전보다는 불안감, 우울증 척도를 좀 나아진것 같지만 현재도 사회성부족으로 교우관계가 힘들어 우울지수가 주기적으로 변동이 심하고 또래보다 지나치게 잠이 많습니다. 특히 무기력 상태가 심해서 혼자 스스로 무엇을 하는 것을 힘들어 합니다. 다행히 본인이 이 상태를 극복하고 싶어하고 인지하고 있습니다.
가족 모두가 도와주고 있는 상태라서 이 아이를 이해하고 있고 가족관계는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근본적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의 힘든 상황을 지켜 보고 있는 상태입니다. 우울증 극복, 무기력극복, 교우관계형성 등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데 ~ 어떻게 하면 될까요?
A:고 2면 학교 생활에서 학업으로 부담감이 클 때인데 우울증과 무력감으로 신체적, 심리(정신)적 건강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이 급선무 같습니다. 다행히 가족 분들이 이해를 해 주고 계셔서 학생이 안정감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본인에게 극복하고자 하는 생각과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 좋은 자원으로 여겨집니다.
우울한 자녀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 까요?
1.격려를 통한 집단상담을 권해 드려요
격려란 힘든 상황을 다루거나 잠재력을 실현시키기 위해 인내심, 용기, 자신감, 그리고 희망을 주기 위해 긍정적인 말을 해 주거나 그 의미를 전달해 주는 것을 말해요. 집단 상담에서 같이 소통하며 격려하며 응집력이 향상되면서 우울에서 벗어 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기 안에 내재하는 사회적 관심을 재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2.개인상담을 통해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 되돌아 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세요.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보며 자신의 생활에서 행동변화에서 변화를 가져 보는 것입니다. 개인상담을 통해 자신의 잘못된 지각을 교정하게 되고 동시에 새로운 삶의 목적을 갖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이러므로 자신의 부정적인 자기 평가 나 열등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생활에 활력으로 생활의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초등 고학년 사회성 증진 집단 프로그램 종결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참고문헌
이의빈외 (2021), 부모의 과잉간섭이 고등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71, 2021, pp.29-57. DOI : https://doi.org/10.17997/SWRY.71.1.2
김미헌외(2017),아들러의 격려 집단상담이 우울한 고등학생의 우울감소와 희망고취에 미치는 효과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Vol. 27, No. 3, pp.335-352,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3.201709.335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