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 브랜드의 진입이 활발한 시장 -
- 홈데코 및 가정용품 전문점에서 보다 다양한 로봇 청소기 브랜드 판매-
- 지나친 고사양 보다 기본 성능에 충실한 적정 가격대의 제품이 중요 -
□ 상품명 및 HS Code
○ 로봇청소기(HS Code 8508.60): 기타 진공청소기
-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지능형 가전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로봇 청소기 관련 태국 내 수요 및 관심 증가
□ 시장 규모 및 동향
○ 태국 내 도시화 진전, 소득수준 향상, 선택의 폭 확대 등으로 진공청소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2017년 기준 태국의 진공청소기 판매는 전년 대비 8% 증가한 70만 6,200대를 기록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태국 내 로봇청소기의 수요가 진공청소기 종류 중에서 가장 급격한 성장을 나타내며, 판매 대수와 금액이 각각 30.6%, 30.0% 신장함.
- 2017년 9만 1700대가 판매된 로봇청소기는 2022년까지 18만 9700대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되며, 판매 금액 또한 2017년 10억 2210만 밧(3129만 8990달러)밧에서 2022년에는 20억 1590만 밧(6173만 1370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종류별 진공청소기 판매 추이(2014-2017년)
(단위: 백만 밧)

자료원: 유로모니터
태국 로봇 청소기 판매수량 및 판매금액
(단위: 천 개, 백만 밧)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f | 2022f |
판매량 | 30.9 | 47.3 | 70.2 | 91.7 | 114.7 | 189.7 |
판매금액 | 409.6 | 577.1 | 786.0 | 1,022.1 | 1,261.7 | 2,015.9 |
자료원: 유로모니터
□ 로봇 청소기 수입동향
○ 로봇청소기(HS 8508.60) 수입규모는 2015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래 2016년 수입이 27.4% 감소하였으나, 2017년부터 회복세를 나타냄.
- 2017년 로봇청소기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33.9% 증가한 218만 2600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18년 1월~10월 중에는 전년 동기대비 2.6% 상승한 168만 100달러를 기록함.
- 태국의 로봇 청소기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2017년 한 해 동안 72만 6000달러의 중국 제품이 수입되어 33.3%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냄.
- 이태리와 스페인산이 2위와 3위를 차지하였으며, 수입비중은 각각 19.4%와 8.4%를 기록하였음.
태국 로봇청소기 수입(HS Code 8508.60) 동향 및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수입액 | 비중 | 증감률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17/16 |
0 | 전체 | 2,245.2 | 1,629.6 | 2,182.6 | 100.0 | 100.0 | 100.0 | 33.9 |
1 | 중국 | 620.0 | 317.1 | 726.9 | 27.6 | 19.5 | 33.3 | 129.2 |
2 | 이태리 | 252.6 | 197.6 | 424.2 | 11.3 | 12.1 | 19.4 | 114.7 |
3 | 스페인 | - | 0.1 | 184.1 | 0.0 | 0.0 | 8.4 | - |
4 | 일본 | 231.1 | 197.5 | 182.4 | 10.3 | 12.1 | 8.4 | -7.6 |
5 | 미국 | 334.3 | 282.5 | 168.5 | 14.9 | 17.3 | 7.7 | -40.4 |
6 | 한국 | 70.6 | 153.7 | 114.0 | 3.1 | 9.4 | 5.2 | -25.8 |
7 | 독일 | 91.5 | 46.5 | 94.5 | 4.1 | 2.9 | 4.3 | 103.4 |
8 | 대만 | 51.4 | 215.7 | 46.9 | 2.3 | 13.2 | 2.2 | -78.3 |
9 | 네덜란드 | 1.8 | 33.5 | 45.2 | 0.1 | 2.1 | 2.1 | 34.9 |
10 | 싱가포르 | 282.4 | 21.6 | 38.7 | 12.6 | 1.3 | 1.8 | 78.9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한국산 로봇청소기는 태국의 로봇청소기 수입이 급감했던 2016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래 2017년 수입 규모가 25.8% 감소했으나, 2018년 첫 10개월간 수입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4대 수입국가에 해당
- 2018년 1월~10월 중 한국 로봇청소기는 17만 7500달러가 수입되어 수입 금액이 전년 동기대비 77.4% 상승하였음.
태국 로봇청소기 수입(HS Code 8508.60) 동향 및 주요 수입국 현황(1월~10월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17/18 |
0 | 전체 | 1,302.3 | 1,637.4 | 1,680.1 | 100.0 | 100.0 | 100.0 | 2.6 |
1 | 중국 | 250.0 | 599.9 | 762.8 | 19.2 | 36.6 | 45.4 | 27.2 |
2 | 이태리 | 169.0 | 198.3 | 248.7 | 13.0 | 12.1 | 14.8 | 25.5 |
3 | 일본 | 167.9 | 132.7 | 185.2 | 12.9 | 8.1 | 11.0 | 39.6 |
4 | 한국 | 133.2 | 100.0 | 177.5 | 10.2 | 6.1 | 10.6 | 77.4 |
5 | 미국 | 275.3 | 162.1 | 149.8 | 21.1 | 9.9 | 8.9 | -7.6 |
6 | 독일 | 45.8 | 40.9 | 47.5 | 3.5 | 2.5 | 2.8 | 16.2 |
7 | 대만 | 121.6 | 44.8 | 30.1 | 9.3 | 2.7 | 1.8 | -32.8 |
8 | 캐나다 | - | 12.5 | 16.1 | 0.0 | 0.8 | 1.0 | 29.1 |
9 | 말레이시아 | 21.7 | 37.5 | 15.5 | 1.7 | 2.3 | 0.9 | -58.6 |
10 | 태국 | 3.0 | 7.4 | 7.9 | 0.2 | 0.5 | 0.5 | 6.7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 태국 내 로봇청소기 시장은 상대적으로 신규시장에 해당하여 태국 청소기 시장 내 신규 로봇 청소기 브랜드의 진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시장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임.
○ 세계 로봇 청소기 판매 1위인 아이로봇(iRobot), 필립스, 삼성, 엘지, 일렉트로룩스 등 글로벌 브랜드의 로봇 청소기뿐만 아니라, 중국 판매 1위인 에코백스(Ecovacs)와 미스터 로봇(Mister Robot), 샤오미(Xiaomai)등 약 16개의 브랜드가 시중에 소개되고 있음.
- 태국산 브랜드로는 오토봇(Autobot)이 있으나 제조공장을 중국에 두고 있음.
○ 글로벌 브랜드의 로봇청소기의 경우 1만 2000밧(367달러) 대~3만 6000밧(1102달러) 대에 판매되고 있으며, 중소기업 제조 로봇청소기의 경우 약 7000밧 대(214달러) 선에서부터 구매가 가능하나 온라인 쇼핑몰의 할인 판매 시 최저 3000밧(92달러) 대에도 구매가능
○ 구매시 태국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가격 요건 이외에도 로봇청소기의 주요 성능인 청소, 센싱, 주행능력, 소음, 물걸레 탑재여부와 스케줄링, 자가충전, 리모컨 탑재여부, 스마트폰 연동 등 고려사항이 다양하여 소비자들은 제품 후기 및 판매원들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태국 내 시판중인 로봇청소기 현황
판매 기업명 | 브랜드 | 모델 및 판매가 |
THrobotics Co.,Ltd. | iRobot 
미국 브랜드로 글로벌 로봇청소기 1위 | IROBOT R-SKU240 (12,900밧) 
|
IROBOT R-SKU380 (16,900밧)  | IROBOT R-SKU960 (36,900밧) 
|
Philips Electronics (Thailand) Co., Ltd. | Philips 
|
PHILIPS FC8792/01 (12,990밧) 
|
PHILIPS FC8776/01 (19,990밧) 
|
PHILIPS FC8822/01 (21,990밧) 
|
Thai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amsung  |
SAMSUNG VR10M7020UW/ST (15,990밧) 
|
SAMSUNG VR10M7030WG (18,990밧) 
|
SAMSUNG VR20M7070WS (26,990밧) 
|
Mentagram Co., Ltd. | Ecovacs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점유율 1위 업체 |
ECOVACS DEEBOT SLIM 2 (7,900밧) 
|
ECOVACS M88/ECO-DM88 (14,500밧) 
|
ECOVACS OZMO 600/ECO-DD3G (15,500밧) 
|
M.M. Global Trade Co., Ltd. | Mister Robot |
HYBRID (9,900밧) 
|
MISTER ROBOT DUP WIFI PLUS (13,900밧) 
|
HYBRID CAMERA MAPPING (14,900밧) 
|
자료원: 홈프로(Homepro) 홈페이지
□ 유통구조 및 유통 채널
○ 로봇청소기의 유통은 해외 제조업체에서 제조된 제품을 해당 업체 태국 법인에서 직접 수입하여 유통하거나 수입업체에서 수입하여 직접유통 또는 유통업체를 통해 도/소매상으로 유통이 되는 구조임.
로봇 청소기 유통 구조

자료원: KOTRA 방콕무역관 작성
○ 태국 내 진공청소기 유통은 소비자들이 직접 제품을 테스트하고 눈으로 확인하고 구매를 하는 관계로 매장형 유통망을 통한 판매가 절대적인 비중(99.9%)을 차지
- 매장형 유통망 중에서도 Power Buy, Power Mall 등의 가전제품 전문 매장에서의 구매가 전체 구매의 59.2%를 차지하여 가장 활발한 편이며, 이어서 백화점(21.1%), 홈프로(Homepro), 분타원(Boonthavorn) 등 홈데코 및 가정용품 전문점(11.8%) 등의 순으로 나타남.
로봇 청소기 유통 채널

자료원: 유로모니터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 HS 코드(HS Code 8508.60) 품목의 일반세율은 0%이므로 별도로 원산지 증명서(AK Form)를 갖출 필요가 없으며, 부가가치세(VAT) 7%만 부과 대상이 됨.
○ 태국에서 로봇청소기를 유통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아 일반 절차에 따라 수입 가능
- 그러나 특허 기술 등 제품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제출 가능
□ 시사점
○ 로봇청소기 유통채널과 관련하여 중소기업 제품의 경우 백화점 입점보다 홈데코 및 가정용품 판매 전문점과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판매를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 태국 최대 백화점 그룹 센트럴에서 운영하는 전자제품 전문점인 파워바이(Power Buy)에서는 10개 이하의 브랜드를, 2대 백화점그룹인 더 몰 그룹에서 운영하는 파워몰(Power Mall)에서는 글로벌 기업 4개사의 로봇청소기를 취급함.
- 반면 태국 최대 홈데코 및 가정용품 판매 전문점인 홈프로(Home Pro)에서는 15개 이상의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파워몰 로봇 청소기 판매자에 따르면 태국 소비자들의 연령층은 다양한 편이며 판매되는 로봇청소기의 보증기간은 통상 2년이나 보증기간을 10년까지 제공하는 브랜드도 있어 가격과 성능 이외에 장기간의 보증기간도 소비자의 구매선호를 높이는 유인으로 작용한다고 전함.
○ 태국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고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편으로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초기 프로모션 진행, 매장 입구판매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보다 빨리 알릴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유로모니터,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홈프로·파워바이·파워몰 홈페이지, 관계자 인터뷰 및 KOTRA 방콕무역관 자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