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手搏 무예
예로부터 수박手搏이라고 하면 각희脚戲 상박相撲 등 모든 맨 손 무예가 다 해당하는 말입니다. 오늘날로 치면 입식立式으로 하는 유술(유도 합기도) 태권도 스모 등이 전부 수박에 해당할 것입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원래 수박과 택견은 그 구분이 모호模糊하였습니다. 지금도 지역에 따라 택견을 까기(각희) 또는 수밝기(수박희)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택견과 수박 각희가 섞여서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박희 택견희 등 경기화競技化로 가면 서로 간에 규칙이 명료해집니다.
수박과 택견을 구분하면, 말 그대로 택견(태껸)은 발차기 위주爲主에 손 기술이 더해져서 상대를 넘어뜨리는 것이고, 수박은 손 기술 위주에 발차기도 할 수 있는 무술입니다.
조선에서 택견은 대중화 되었으나 수박이 대중화되지 못했던 것은 조선에서 의복이 귀했기에 옷을 붙잡기도 하는 수박이 행하지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됩니다.
택견에도 위대(우대, 윗대, 필운동 선비마을) 택견에서는 자유로운 손 기술 무예를 강조하지만, 손기술 위주의 무예는 현재의 택견에서는 벗어난 영역인 듯하고, 수박으로 분류 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중국에서 행해지는 수박을 보니 우리나라 수박手搏도 무예도보통지에서 우리식 규칙을 찾아 생활 체육으로 하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
- 꼬모 -
고구려 수박도. 안악安岳 3호 고분
무용총 수박도
---------------------
[펌] 수박手搏
손을 쓰되 상대를 잡거나 안아 쓰러뜨려서는 안 되고 반드시 떨어진 상태에서 기술을 펴야 한다. 따라서 수박을 잘 하려면 손동작과 몸놀림이 재빨라야 한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수박을 무술 훈련의 기본기로 삼았고 특히 조선시대에 군인을 뽑는 시험 과목으로 정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수박 장면이 고구려의 세칸무덤, 춤무덤, 동수무덤(황해도 안악 3호분)에 그려진 것을 보면 고구려 사람들이 이를 씨름 못지않게 즐겼음을 알 수 있다.
수박의 인기는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매우 높았으며 두경승杜景升(?∼1197)과 이의민李義敏(?~1196)은 명인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의민이 "아무개가 힘자랑을 하기에 내가 쳐 넘어뜨리기를 이같이 하였다"고 하며 주먹으로 기둥을 치자 서까래가 움직였고, 두경승도 이에 질세라 "내가 빈 주먹으로 떨쳐치니 뭇사람이 달아나 흩어졌다"면서 벽을 치자, 손이 벽을 뚫고 나갔다는 내용이 《고려사》 〈열전〉에 보인다.
조선 왕조에 들어와 수박은 활쏘기·창쓰기·격구와 함께 무사의 자격을 따지는 종목으로 꼽혔다. 태종 때에는 병조와 의흥부義興府에서 방패군防牌軍을 보충할 때 수박으로 세 사람을 이긴 자를 뽑았고, 세종은 수박 잘 하는 사람에게 특별상을 내렸다. 무사를 뽑는 데 시험 과목으로 채택된 수박겨루기 방법은 《경제육전》에 법률로 정해져서 "네 사람을 이기면 상등, 세 사람은 중등"으로 매겼다. 1445년의 갑사 정원이 6,000명이고 방패 정원은 4,500명이었으며, 1460년에는 갑사가 2만 명으로 불어났다. 따라서 그 무렵에는 적어도 수만 명 이상이 군사에 뽑히기 위해 수박을 익힌 셈이다.
이렇듯 인기를 모았던 수박은 15세기 이후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다만 정조正祖의 명에 따라 이덕무와 박제가 등이 1790년에 펴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만 올라 있다.
- 두산백과 -
//////////////////////////////////////////////////
택견배틀 2017 8배틀 안암비각★ vs 유쾌육회
https://www.youtube.com/watch?v=9NXmmGYLdwc&t=4s
-------------------------------------------------
송도松島 수박手搏
제8회 국민생활체육 서울시전통무예대회 수박 시연경기 네이버 카페
https://www.youtube.com/watch?v=HIiDxN-a6i8
-------------------------------------------
중국의 솔교- 수박
摔跤-手搏 Shou Bo - Paris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1sYRcTO4Auc
///////////////////////////////////////////////////////
첫댓글 재밌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