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중국 정부 15일 기점 한국 금지령 2017년3월15일을 기점으로 중국은 한국행 여행상품의 전면 판매 금지를 공식화했다. 한국으로 가는 단체는 물론 인센티브 관광과 크루즈 여행 상품 모두에 금지령을 내렸다. 온라인 여행사도 포함됐다. 한국 방문객의 6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싼커(散客·개별관광객) 방문 감소 또한 불가피해졌다.
특히 부산이나 제주를 기항 하는 크루즈 여행상품까지 전면 불허될 전망이다. 그간 중국인 관광객 5명 중 1명이 크루즈를 통해 입국했다는 점에서 그 파장 또한 예사롭지 않다. 특히 제주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막대한데다 외국인 관광객 중 중국인 관광객 비중이 85%에 달하고 있어 그 후폭풍의 규모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사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자 매우 거대하고 복잡하며 내부적으로 매우 까다로운 나라다.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우리만치 그 정도가 매우 심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제주도정은 1억명이 넘는 중산층 관광소비자를 보유한 거대시장으로서 항상 친구이자 우군(友軍)일 것으로 착각해 왔다. 그래서 중국인 관광객을 제주관광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상수(常數)로 삼는데 전혀 주저하지 않았다.
중국경제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한 제주관광산업의 특수 또한 비례하여 지속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특히 제주도 당국은 중국인 관광객이 해마다 늘어나는 누계치에 고무된 나머지, 앞으로 이들의 제주방문은 항상 계속될 것이라고 장담해 왔다.
그러면서 이들을 위한 위락시설사업에 투자할 중화권 자본 및 국내 대자본을 마구 끌어 들였다. 제주지역의 여건과 환경에 비추어 과도 하리 만치 많은 크고 작은 관광위락시설들을 만들어 내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이들의 입도(入島)와 출도(出島)를 원활하게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섣불리, 그리고 무리하게 제2공항과 신항만 건설과 개항을 서둘러야 한다며 너스레마저 떨어댔다.
최근 제주도정은 이번 사태에 즈음하여 호기롭게 제일성으로 관광시장을 다변화하고 홍콩·대만 등 동남아국가의 관광객을 더 끌어 오는 것을 위기 탈출을 위한 대책으로 제시했다. 물론 말하긴 좋지만, 경험에 비추어 관련 정책을 정갈하게 수립하여 필요예산을 확보하고 공조직이 합심하여 실천에 옮기기란 여간 쉽지 않은 일이다. 게다가 그간 제주당국의 정책기조에 순응해 오다 풍전등화와 같은 위기 국면을 맞아 당장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관련 업체와 구성원들에게는 뜬구름 잡는 얘기나 매 한가지로 비쳐질 수 있다. 게다가 최근 제주를 찾았던 홍콩·대만 등 동남아 국가의 여행객 규모에 비추어 이들이 제주의 관광자원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는 예측을 불허한다.
어떻든 이번 사태는 도민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첫째, 각자 관점에 따라 달리 말할 수 있겠지만, 예측이 어렵고 매우 극단적인 상황으로도 치달을 수 있는 중국과 한국간의 관계, 즉 정치적·경제적 상황을 감안할 경우 그간 제주도가 관광산업 진흥을 통한 제주발전과 부자 도(道)의 꿈을 이루기 위한 차원에서 추진했던 일련의 관광시책들이 얼마나 알맹이가 부족했고 허무맹랑했는지를 되돌아보게 했다.
둘째, 이번 사태가 관광산업의 지속불가능성을 부각시켰을 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이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산업 또한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줬다. 산업구조정책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 그동안 중국에 치우쳤던 관광시책이나 관련 개발 구상들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의심케 했다. 재검토 필요성과 당위성을 부각시켜줬다. 넷째, 지역경제와 관광 분야에서의 허황된 중국 의존도가 가져올 예측 가능한 폐해가 전혀 예사롭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환기시켜줬다.
이번 사태는 앞으로 대(對)중국 관계에서 정치적 타협 등에 따라서는 진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호기롭게’ 없던 일로 치부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민 모두가 위의 시사점들을 되돌아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봤으면 한다. 왜냐하면 ‘왕 서방’은 언제까지나 중국인 왕 서방이기 때문이다. [제주매일 백승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