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당선시 단평에 들어가면서
사견이지만, 대저 육체적 고픔과 정신적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머리와 가슴을 두드려 주기 위해 질문을 그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인간위무(人間慰撫), 즉 인간을 위해 인간을 보듬어 주는 문학적 진실을 담아내는 시를 좋은 시라 칭하겠다. 여기에 존재(存在)와 실존(實存)에 대한 성찰과 탐구가 곁들여져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그러한 시의 발견은 평론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복권당첨 같은 행운이 아닐 수 없다. 현재 시문단계에서 ‘대단한 시“라는 공감대와 함께 미래지향적인 시의 나아갈 지향점이라는 점에서 생기로운 관심을 끌고 있는 조이경 시인의 「숲을 켜다」가 그 주인공이다. 2023년도 전라매일 신춘문예 당선작( 심사위원장 김동수 시인)이다.
그러므로 이 명편은 비평의 측면에서보면 ’결을 따라 읽을‘수 밖에 없다. 그러니까 마치 작품의 초대에 응하듯이 작품이 안내하고 의도하는 대로 해석을 전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비평가들의 관행대로 ' 결을거슬러 읽기'가 불가한 시라는 애기다. 초대자인 조이경 시인의 암묵적인 사전 준비물이 초대장 뒷표지에 빼곡하게 적혀 있다. 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상관물들에 대한 관념적 의미는 물론이려니와 시적 의미<붉은 글씨로 표기>까지 더듬어보고 오시라는 애기다. 따라서 초대의 테이블에 앉기 전에 준비물을 챙겨야 할 것 같다. 아래에 자료를 사냥하여 초대자의 의도에 맞게 재료들을 정리 해본다. 특히 '야명조'는 체험고백으로서의 시인 자신이자 화자이며 '녹명'은 시인이 풀어 놓은 문학적 진실로서의 깊은 울림을 주는 피날레로서의 '극적 아포리즘'임을 선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재료들을 꼼꼼히 읽어 낼 필요가 있겠다. '야명조'의 시적인 의미를 사전에 알아야 작시(作詩)의 의도를 알수 있으며 그 울림을 짚어 낼 수 있다고 그녀가 귀뜸해주고 있다는..... < 悳泉>
< 먼저 원작을 감상 해 보자>
숲을 켜다/23 전라매일 신춘문예 당선작
조이경 ( 경북대국문학과 졸/중앙대 문예창작전문과정 수료)
가위바위보를 할 때도 주먹을 내야겠어요 오늘이 새나가지 않도록
블랙 미러 속 환삼덩굴이 투명한 손을 뻗어오네요 엄지와 검지의 잔뿌리를 싹둑 자르고 포레스트 어플*을 켭니다
여기는 역설의 숲, 숲지기는 가위로 가위를 잘라야 해요
비탈진 모래 언덕에 곰발바닥 선인장을 심어볼까요 보송보송한 솜털에는 지문이 닳지 않겠죠
천천히 흘러내리는 모래시계를 샀지요 시간의 나무는 백색소음을 먹고 자란대요
건조한 수요일이 명상을 클릭합니다 함께 심기에 당신을 초대할게요 다달이 선물로 주던 데이터, 이젠 꽃과 나무로 주세요 코인이 쌓이면 낙타의 무릎에도 종려나무를 심어요. 우리
눈을 감고 날숨을 길게 내쉽니다 마른 흙이 빗방울에 놀라 소스라치네요 불모의 한때가 비늘처럼 떨어져 내립니다 코끝을 스치는 흙내음
내일은 집을 지을 거야수목 한계선 밖에서 울고 있던 야명조夜鳴鳥 한 마리,
가문비나무숲으로 날아듭니다 가문비나무에선 사철 물소리가 들려요 극지의 바람에는 비의 씨앗이 들어 있나 봐요
바람의 숨결에 집중하며 주먹을 풀지 않는 나무 고요히 겨울을 완성한 가문비나무는 악기의 맑은 공명共鳴이 되죠
새에게서 저녁을 삭제하자 발톱이 새로 돋아났어요 여문 실핏줄을 뽑아 시간의 나이테를 그려요 파랗게 녹명鹿鳴을 풀어놓아요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 계획한 일에 몰두한 시간만큼 숲에 나무가 자람.
1. 환삼덩굴 : 생태교란/ 삭막한 생존경쟁자/인산성 상실의 시대
삼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율초(葎草)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생태계교란 야생생물이다.잎 과 줄기에 가시가 있어 긁히면 아프고 농사에 방해를 주는 환삼덩굴이란 한해살이 잡초
2. 종려나무 : 존경,기쁨,승리,번영 / 희망의 꿈
성서 시대 상인과 순례자가 사막을 여행할 때 멀리 종려나무가 보이면 깊이 안도하고 기뻐했다. 종려나무 숲 인근에 오아시스 즉, 샘물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뜨거운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발견할 때의 기쁨은 비할 데 없이 컸을 것이다. 성경에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를 지날 때 오아시스 옆에 있는 종려나무 아래 머물렀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들이 엘림에 이르니 거기에 물 샘 열둘과 종려나무 일흔 그루가 있는지라 거기서 그들이 그 물 곁에 장막을 치니라.”(출 15:27) 이런 이유로 유대인들은 초막절에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40년 동안의 광야 생활을 기념한다.
3. 야명조 : 나약한 의지/ 실의에 빠진 자폐적 인식
히말라야 설산에는 ‘야명조(夜鳴鳥)’라는 새가 있습니다. 새 이름이 참 재미있는데요.
‘밤에만 집을 짓겠다고 우는 새’라는 뜻에서 붙여진 별명입니다. 이 새는 밤이 되면 혹독한 추위를 이기지 못해 내일은 꼭 집을 지어야겠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다가 날이 밝아 햇살이 비치면 밤새 얼었던 몸을 녹이며 어제 저녁의 일을 까맣게 잊고 다시 하루 종일 놀게 됩니다. 또 다시 밤이 오면 낮의 일을 후회하며, 내일은 꼭 집을 짓겠다고 다짐하면서 다시 운다고 합니다.이 '야명조'는 이같은 결심과 후회를 반복하면서 오늘도 집 없이 추위에 떨며 울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곤경에 처할때면 이 상황만 극복된다면 열심히 살겠다고 다짐하지만 그 일이 해결되고 나면 이내 어려웠던 상황을 잊어버리고 어리석음을 반복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현재의 일을 다음으로 미루는 누적지수를 환산해 보면 우리 인생의 절반이 되고도 남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 삶에서 똑 같은 고통을 2번, 3번 반복해 겪는 것은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는 나약한 의지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들이 ‘다음부터 잘해야지’하면서 현재의 일을 내일로 미루는 행동은 설산의 '야명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야명조'처럼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에 취해, 길고 긴 추위가 몰아 닥칠 겨울밤을 잊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한번 생각해 봅니다.
4. 가문비 나무 : 가뭄을 해소, 생명의 안식처,..악기제작 용 나무로 쓰임 / 희망에 대한 의지, 이상향
가문비나무(학명: Picea jezoensis)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500~2,300m에 자생하는 상록교목이자 방향성 식물이다. 한반도에서는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금강산, 백두산 등 고산 지대에 주로 자라며, 그 외에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비눌가문비나무, 접비나무, 비늘가문비, 풍산가문비, 풍산가문비나무, 풍산종비, 털종비, 털종비나무, 종비, 삼송, 사송, 홍피운삼, 홍피취, 지모홍피운삼, 호미송, 조선운삼 이라고도 부른다.
가문비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들의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워 이상적인 목재가 되며, 제지산업에서 펄프를 만들 때 널리 쓰인다. 또 배의 돛대나 상자, 건축자재로도 이용하며 껍질에서 나뭇진, 타닌, 테레빈유를 얻기도 한다. 관상용, 공업용, 약용으로 쓰여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수로 심기도 하며 건재, 판자, 기재, 제지, 향료 등의 원료로도 쓴다. 한방이나 민간에서는 잎을 발모, 악창, 통경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잎에도 향이 있어 향료, 양조 등에 쓰인다. 기타 등의 악기 제작에도 쓰인다.
시경(詩經)에 나오는 녹명, 먹이를 발견한 사슴이 배고픈 친구 사슴들을 부르기 위해 내는 울음소리를 말합니다. 수많은 동물 중에서 사슴만이 먹이를 발견하면 함께 먹자고 동료를 부르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울음소리가 바로 녹명이라 합니다. 여느 동물들은 먹이를 발견하면 혼자 먹으려고 남는 것은 숨기기에 급급한데~~ 혼자만 잘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잘살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있는 배려입니다.
呦呦鹿鳴(유유록명) 食野之蒿(식야지호)
기쁜 소리로 사슴이 소리를 내며 들판의 다북쑥을 먹는다
산저갈분식(山猪葛分食) 우마초분식(牛馬草分食)
산속의 멧돼지도 칡을 나눠 먹고, 들판의 소와 말도 풀을 나눠 먹는다, 라고 했다.
5. 녹명(鹿鳴) : 함께 나누는 삶, 공생(共生)
시경(詩經)에 나오는 녹명, 먹이를 발견한 사슴이 배고픈 친구 사슴들을 부르기 위해 내는 울음소리를 말합니다. 수많은 동물 중에서 사슴만이 먹이를 발견하면 함께 먹자고 동료를 부르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울음소리가 바로 녹명이라 합니다. 여느 동물들은 먹이를 발견하면 혼자 먹으려고 남는 것은 숨기기에 급급한데~~ 혼자만 잘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잘살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있는 배려입니다.
呦呦鹿鳴(유유록명) 食野之蒿(식야지호)
기쁜 소리로 사슴이 소리를 내며 들판의 다북쑥을 먹는다
산저갈분식(山猪葛分食) 우마초분식(牛馬草分食)
산속의 멧돼지도 칡을 나눠 먹고, 들판의 소와 말도 풀을 나눠 먹는다, 라고 했다.
첫댓글 내용이 충실하게 잘 소개를 하였군요.
이 원고를 씨글이나 미당문학에 계재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습작 비평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