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복사지(皇福寺址) 삼층석탑 / 국보
- 경북 경주시 구황동
효소왕이 신문왕과 신문왕 왕비인 신목태후 명복을 빌기 위해 탑을 세웠다.
규모에 있어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국보)이나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국립경주박물관)보다 작다.
1942년 복원공사 때 명문이 조각된 금동사리함과 함께 금제 불상 2구를 비롯하여 많은 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사리함의 명문에 따르면 이 탑은 692년(효소왕 1)부터 706년(성덕왕 5) 사이에 건립하였다.
신라 때 황복사는 의상대사가 출가한 절이다. 국보인 문화재가 있는 주위를 더 넓게 단장하였으면 좋겠다.
나원리(羅原里) 오층석탑 / 국보
-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나원리
높이 9.7m.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백색에 가까워 <나원백탑>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경주엔 삼기팔괴(三奇八怪) 있다.
삼기는 세가지 기이한 물건으로 박혁거세 금척(金尺), 신문왕 만파식적(萬波息笛), 선덕여왕 화주(火珠)를 말한다.
삼기는 전해지지 않아 기록으로 만 알 수 있다.
팔괴는 남산부석(南山浮石), 문천도사(蚊川倒沙), 계림황엽(鷄林黃葉), 금장낙안(金丈落雁), 백율송순(栢栗松筍),
압지부평(鴨池浮萍), 불국영지(佛國影池), 나원백탑(羅原白塔)로 경치가 빼어난 곳이다.
옛날엔 절이 있었지만 그 절 이름을 알 수 있는 기록이나 명문기와 등 유물이 없어 마을이름을 붙여 나원리 삼층석탑이라 함.
오층석탑은 흔히 볼 수 있는 탑이 아니다. 균형미가 아름다운 오층석탑을 봤다.
서악동 미애 여래삼존입상 / 보물
- 경북 경주시 서악동
높이 7m, 가운데 아미타여래입상이 새겨져 있고 좌우협시보살상은 다른 돌이다.
바위질이 불상을 새기기엔 그렇게 좋은 것은 아니다. 좌우협시보살은 따로 조각하여 세웠는데 선도상 정상까지
이렇게 큰 돌을 어떻게 운반하였을까, 대단한 공력이다.
내비게이션 안내를 따라 주행, 충효동 선원사 못 미쳐 약수터 앞에서 멈춘다. 약수터엔 2대 정도 차를 댈 수 있다.
나는 선원사 앞에 주차하였다. 약수터에서 800m이지만 길이 가파르다. 30분은 걸린다.
선도산, 이곳도 극립공원이며 지나는 지역민은 서악동에서 오르는 게 길이 편하다고 알려준다.
(나중에 도봉서당/서악동 삼층석탑을 보면서 알 수 있었다. 이곳에선 1.5km 걸어야 한다. 이정표에 따르면)
마애불 앞에는 성모사란 사당이 있다. 성모는 삼국유사에 나온다. 선도는 도교 이미지다.
경주에선 선도산은 서악, 토함산은 동악이다.
밑에 보이는 마을이 서악동이며 왕릉이 산재하여 있다. 삼층석탑과 도봉서당도 있다.
경주 남산이 시원하게 보인다.
경주 시내, 대릉원과 황룡사지 등이 보인다.
성모사 유허비
경주 시내 전경
충효동
효현동 삼층석탑 / 보물
- 경북 경주시 효현동
율동 마애 여래삼존입상 / 보물
- 경북 경주시 율동
아미타여래, 관음보살(보병), 대세지보살. 두 보살은 보관을 쓰지 않고 상투를 올렸다.
이 마애불을 보기 위해 등산을 하지 않아도 된다. 주차하고 5분 정도 오르면 마애불을 볼 수 있다.
마애불 위로 홈이 파진 것으로 보아 보개가 있었을 것이다.
불상에서 미소를 볼 수 없고 대세지보살은 자세가 낯설다. 목이 몸통과 붙어서 그런가 뭔가 어색한 느낌이다.
마애불 앞에 사람이 편히 앉을 수 있는 바위가 있다. 피곤이 몰려온다. 오늘 일정은 여기서 끝이란 생각이 드니 졸음이 온다.
30분 가량을 눈을 감고 앉았다. 1초에 한 가지 생각이 더오르는다고 하지만 나는 무념 상태에 빠졌다.
충효동에 있는 사우나로 가는 길에 서악동 삼층석탑 이정표를 보고 마음을 바꾸었다.
도봉서당 뒤에 서악동 삼층석탑이 있으며 이 주위에 능이 여러 기가 있다.
도봉서당 / 경북 문화재자료
- 경북 경주시 서악동
서악동 삼층석탑 / 보물
벽돌탑을 모방한 석탑. 지붕돌(옥개석)은 위와 아래 계단 모양이며 처마는 평행한 직선이다.
이런 탑도 흔한 탑은 아니다.
2024년 4월 11일 목요일
오전은 분황사, 황룡사지 등/ 오후는 사진 올린 순대로 다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