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헌집(遊軒集) 장석룡(張錫龍)생년1823년(순조 23)몰년1908년(순종 2)자진백(震伯)호유헌(遊軒), 운전(雲田)본관인동(仁同)초명용규(龍逵)시호문헌(文憲)
遊軒先生文集卷之八 / 記 / 道淵齋記
夫道有淵源之相傳。而明其道。在乎學之講。玉山之溪亭書塾。陶山之吾山書堂。皆其所也。惟昔文忠公佔畢金先生。挺生文明之世。服習家庭之訓。上承洙泗濂洛之統。圃冶衣鉢之傳。早擅師道。一時賢士大夫。登門執經。薰陶成就。菀然於世。道學文章。寔爲百世之所宗。而笙鏞黼黻之文。樓臺形勝之題。載在國乘。指不勝僂。凝川之禮林院。金陵之景濂祠。國家之推尙極矣。士林之尊奉至矣。噫。自戊甲以來。孤孑門戶。靡所託依。辛卯始奠居于佳谷里。已至六世。而只有不祧之廟宇。尙闕講學之所。非但子孫之遺恨。實爲多士之興嘆者也。何幸文淵齋儒會之席。公議峻發。鳩財築室。旣落。扁之以道淵。前所稱道之有淵源之義也。求文於余。余亦尊慕先生之遺風餘韻雅矣。不可以昏耄辭。略記顚末而歸之。
..................
고령(高靈)
도암서원(道巖書院) 병오년에 세웠다. : 김면(金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義兵將)이다. ㆍ이기춘(李起春) 호는 옥산(玉山)이며 처사(處士)이다.
문연서원(文淵書院) 병자년에 세웠다. : 박윤(朴潤) 호는 죽연(竹淵)이다. ㆍ박택(朴澤) 호는 요락당(樂樂堂), 처사이다. ㆍ윤규(尹奎) 호는 월오(月塢), 처사이다. ㆍ박정번(朴廷璠) 호는 학암(鶴巖), 승지를 증직하였다. ㆍ최여설(崔汝契) 호는 매헌(梅軒)이며, 처사이다.
운천서원(雲川書院) 신묘년에 세웠다. :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
영연사(靈淵祠) 신묘년에 세웠다. : 신덕린(申德麟) 호는 순은(醇隱), 대제학을 지냈다. ㆍ박은(朴誾) 갑자화적(甲子禍籍)에 들어 있다. ㆍ정사현(鄭師賢) 호는 월담(月潭), 처사(處士)이다.
매림사(梅林祠) 정해년에 세웠다. : 정수강(鄭壽崗) 생원(生員) ㆍ오선기(吳善基) 호는 한계(寒溪), 처사이다.
...................
강공 운(姜公橒)이 …… 듣고 : 강운(姜橒, 1772~1834)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하(擎廈), 호는 송서(松西)이다. 1807년(순조7)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역임하였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후학 양성에 힘썼다.
도연(道淵)은 도연서원(道淵書院)을 말하는데,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현 경상남도 고령군(高靈郡) 쌍림면(雙林面) 합가리(合伽里)에 있다.[
.................
20.9.8.2.20p
도연(道淵)은 도연서원(道淵書院)을 말하는데,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현 경상남도 고령군(高靈郡) 쌍림면(雙林面) 합가리(合伽里)에 있다.->도연(道淵)은 도연서원(道淵書院)을 말하는데,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현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에 있었다.
*수북(水北) 김람(1601~1677)의 아들로, 후진양성과 고결한 학행으로 사림으로부터 추앙을 받은 관물헌(觀勿軒) 김진우(金震遇·1628~1707)가 1683년(숙종9)에 춘양면 동탑평(洞塔坪)에 도연서원(道淵書院)을 창건해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배향했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4권 / 사전전고(祀典典故) / 서원(書院) / 경상도(慶尙道) / 안동(安東)
도연서원(道淵書院) 계유년에 세웠다. : 정구(鄭逑)
강운(姜橒) 1773년(영조 49)~1834년(순조 34)
松西先生文集卷之十 / [附錄] / 行狀[李晩燾]
癸未。七月。會霞翁於淸凉。仍入覺華寺。移設道淵接會。于時金葛川煕周,朴逸圃時源,李養拙用正。皆如約而至。相與作累日之樂。已而又就道淵三溪。迭次講心經,近思錄。指示奧妙。新學後進多有觀感之效。
*현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도연서원, 봉화읍 삼계리 삼계서원에서 강학한 것은 근접한 거리에 있는 것으로 봉화군과 고령군의 현격한 거리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