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바울의 사상 세계를 형성한 영향 무엇이었을까?
바울은 당대의 위대한 철학자들과 얼마나 친숙했으며, 그들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
바울이 그리스-로마 자료를 인용했을 때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학술지와 여러 논문에서 바울 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던 주제들이 이제 〈바울과 철학의 거장들〉을 통해 교회와 일반 대중에게 소개된다! 각각의 장에서는 신앙의 성숙, 선물과 조건, 노예제도, 내세 등등, 총 14개의 주제를 다루면서 바울과 그리스-로마 철학을 비교하고, 이로써 바울만의 독특한 통찰들을 발견해 낸다. 그리스-로마 문헌들은 바울의 사상 세계를 형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까?
또한 각 장에는 그룹에서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이 포함되어 있어 독자들이 이 책의 통찰을 더욱 실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만약 당신이 나와 같은 사람이라면, 비교적인 관점에서 바울을 보지 않았다면 결코 떠올리지 못했을, 바울에 대한 많은 새로운 통찰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나 스스로도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한 번도 이렇게 생각해 본 적이 없다' 혹은 '나는 이전에는 그런 식으로 본 적이 결코 없었다'는 생각을 여러 차례 했다. 놀라움과 흥미를 느낄 준비를 하라. 그리고 그러한 반응을 통해 나는 당신이 수 세기에 걸쳐 자신의 도발적인 논의에 반응하도록 계속해서 우리를 초대하는 바울을, 즉 쉴 새 없이 대화하는 대화 상대자인 바울을 더 명료하고, 더 깊게, 더 탁월하게 이해하게 되기를 바란다." -- 존 M. G. 바클레이의 "추천 서문" 중
저자 소개
조셉 R. 닷슨(Joseph R. Dodson)
조셉 (조이) 닷슨 박사는 덴버신학교의 크레이그 L. 블롬버그 신약학 석좌교수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애버딘대학교와 독일의 튀빙엔대학교에서 공부했고, Harvard Theological Review, Novum Testamentum, Journal for Jewish Studie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기고했다. 저작으로는 본서 『바울과 철학의 거장들』 외에 The Things I Want to Do: Romans 7 Revisited(근간), E. 랜돌프 리처즈와 공동 저작한 A Little Book for New Bible Scholars(2017) 및 데이비드 E. 브리오네스와 공동 편집한 Paul and Seneca in Dialogue(2017)가 있다. 그리고 현재는 Brill Exegetical Commentary에서 로마서 주석을, Christian Standard Commentary에서 골로새서-빌레몬서 주석을 집필하고 있다.
데이비드 E. 브리오네스(David E. Briones)
데이비드 E. 브리오네스 박사는 라이프퍼시픽대학교에서 성서학 학사(BA)를, 바이올라대학교 탈봇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를 취득했다. 그 후 영국의 더럼대학교에서 신학과 종교 석사(MA) 및 바클레이의 지도 아래 신약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여러 기관에서 그리스어, 신약성서, 성서 배경, 성서신학 등을 가르쳤으며, 최근에는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신약학 부교수로 재직했고(2019-23), 그전에는 리포메이션바이블칼리지에서 가르쳤다(2014-19). 본서 『바울과 철학의 거장들』 외에 저서로는 Paul’s Financial Policy: A Socio-Theological Approach(2014)과 조셉 R. 닷슨과 공동 편집한 Paul and Seneca in Dialogue(2017)가 있고, Dictionary of Paul and His Letters(2023)에도 글을 실었으며, New Testament Studies,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Catholic Biblical Quarterly 같은 저널에도 논문을 기고했다.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entary에서 빌레몬서 주석을 썼으며, 빌립보서 주석(Crossway)과 고린도후서 주석(Lexham) 등을 집필하고 있다.
목차
추천 서문(존 M. G. 바클레이) / 11
편집자 서문(조셉 R. 닷슨) / 15
약어표 / 19
서론(데이비드 E. 브리오네스) / 21
제1장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고통에 대한 바울과 에픽테토스의 입장(도로테아 H. 베르치만) / 33
제2장 테라피 세션: 약한 자의 돌봄에 관한 바울과 필로데모스의 관점(저스틴 레이드 앨리슨) / 55
제3장 왜 우리는 친구가 될 수 없는가?: 친구 관계에 관한 바울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데이비드 E. 브리오네스) / 79
제4장 문화에 따른 노예?: 노예 제도에 관한 바울과 세네카의 태도(티모시 A. 브루킨스) / 105
제5장 모두는 한 사람을 위해 그리고 한 사람은 모두를 위해: 개인과 공동체에 관한 바울과 에픽테토스의 관점(벤 C. 둔슨) / 123
제6장 믿음을 잃지 말라: 믿음에 관한 바울과 플루타르코스의 관점(지네트 하겐 파이퍼) / 143
제7장 편지는 언제 편지가 아니게 되는가?: 편지 작성자로서 바울, 키케로, 세네카(E. 랜돌프 리처즈) / 165
제8장 선한 싸움을 싸우다: 바울과 철학의 거장들의 선한 삶(니제이 K. 굽타) / 181
제9장 조건부: 순수한 선물의 근대적 신화에 대한 바울과 세네카의 관점(데이비드 E. 브리오네스) / 201
제10장 다른 어떤 신도 할 수 없는 일: 바울과 철학자들의 삶과 내세(제임스 P. 웨어) / 231
제11장 무지개 너머 어딘가: 플라톤, 키케로, 바울의 천국에 대한 환상(조셉 R. 닷슨) / 251
제12장 고된 인생: 고통에 대한 바울과 세네카의 관점(브라이언 J. 탭) / 271
제13장 바울에게 놀라다: 철학자와 시인 가운데 있는 사도(R. 딘 앤더슨) / 289
제14장 우주에서 우주로: 바울과 거장들을 비교하는 도전(크리스토퍼 L. 레드먼) / 305
역주 / 321
기고자들 / 325
성구 색인 / 327
저자 색인 / 333
인명 색인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