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 사진=한국관광공사 이복현 누구나 마음속에 하나쯤 간직한 '시간이 멈춘 마을'에 대한 로망이 있다.
현대의 속도를 벗어나 조용한 풍경 속으로 걸어 들어가고 싶은 날,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의 무섬마을이 그 대답이 되어줄 수 있다.
삼면을 내성천이 감싸 안고, 마치 섬처럼 고립된 듯 자리한 이 마을은 마주하는 순간부터 특별하다. 그리고 그 중심엔, 지금도 건널 수 있는 외나무다리가 있다.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전경 / 사진=한국관광공사 앙지뉴 필름 무섬마을을 말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연 외나무다리다. 단순히 나무로 만든 다리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폭 30cm, 길이 150m의 좁고 긴 이 다리는 오직 장대 하나에 의지해 건너야 하는 구조로, 그 자체로 옛사람들의 삶과 지혜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과거엔 매년 장마철이면 다리가 떠내려갔고, 그때마다 주민들은 다시 장대를 엮어 새로 놓았다.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걷기 / 사진=한국관광공사 이범수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서, 마을과 세상을 잇는 유일한 통로를 되살리는 일이었다.
현재 우리가 만나는 외나무다리는 출향민들과 마을 주민들이 함께 복원한 것으로, 그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며 전통을 잇고 있다. 이 다리를 걷는 순간, 우리는 자연스레 한 편의 옛소설 속 주인공이 된다.
영주 무섬마을 / 사진=한국관광공사 이범수 무섬마을이 특별한 또 하나의 이유는 '사람이 살아가는 전통마을'이라는 점이다. 약 40여 채의 전통가옥 중 30여 채가 조선 후기 사대부가의 가옥이며, 100년을 넘긴 고택도 16채에 달한다.
기와 아래 쌓인 시간의 켜, 마루 끝에서 바라보는 내성천의 잔잔한 물결은 그저 아름다움을 넘어, 삶의 흔적이 스며 있는 풍경이다. 보존을 위한 박제가 아닌, 일상의 공간으로 유지되는 이 마을은 관광객에게도 조용한 감동을 전한다. 영주 무섬마을 풍경 / 사진=한국관광공사 이범수 무섬마을의 진짜 매력은 가을에 절정을 이룬다. 매년 열리는 '무섬외나무다리축제'는 단순한 볼거리 이상의 체험형 축제로, 마을 전체가 생동감 있게 살아난다.
가장 큰 하이라이트는 외나무다리를 직접 건너보는 체험이다. 장대를 손에 들고 한 걸음씩 내디디며 다리를 건너는 과정은 마치 시간의 틈새를 걷는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이 체험은 그저 흥미를 넘어서, 옛사람들이 살아온 방식을 몸으로 이해하는 기회가 된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