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경기에서 처럼 5:0으로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곤잘레스의 부상으로 중간계투진이 던젔을경우
이성열선수가 승리투수가 되었던데 승리투수 조건이 궁금하네요..
중간계투진중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한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 건가요?
팬덤랭킹 등 랭킹 보러가기
응원 횟수 0
첫댓글 선발이 5이닝을 던져주지 못하고 강판되면, 승리투수조건 자체가 없어지고요.기록원이 보았을때그날 등판했던 투수들 중에서(불펜투수들이 대부분이겠죠) 가장 승리에 공헌했다고 판단되는 투수에게 승리를 부여한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5회를 넘기는 투수가 승리투수가 될거에요 아마
중간계투가 승리투수가 되는 경우는 팀이 이기고 있을때 5회 넘긴 투수가 승리투수가 됩니다. 팀이 역전했을 경우 그 역전한 회에 던진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 거예요. 공헌보다는 시기가 중요합니다.
선발투수는 무조건 5회까지 마무리져야 승리투수 조건이 됩니다! 4회 2아웃 잡아놓고 강판당하면 승리투수 조건이 안되고 다음 투수가 승리투수 조건이 되는거죠^^
저도 선발투수가 5이닝이상 던져야 승리투수되는 정도는 알고있습니다...다만 이기는 상황에서 선발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 못했을때 중간계투진중 누가 승리투수가 되는건가하는 물음이였는데....20일 경기에서 곤잘레스 내려가고 오상민선수 올라왔잖아요...저는 오상민선수가 승리투수인줄 알았는데 이성열선수가 승리투수가 되었더라고요...전에 설향님이 말씀하신것 같은 내용을 들어보긴 했는데 그럼 기록원 마음인가요?
20일 경기에서 보면 오상민 선수는 5회를 넘기지 않고 내려가셨고 5회때 이상열 선수가 던지셨어요. 그래서 이상열 선수가 승리투수가 되신 거예요.
엘지팬들이신데 이성열과 이상열 선수 정도는 구분해야 하심이 ㅋㅋ
선발이 5회마치기 전에 물러났을 경우 중간계투 중 승리가 돌아가는 원칙은,우선 팀이 역전하는 시점에 던지고있던 투수(무조건),5회 이전에 이미 이기고 있었고 동점을 허용하지 않은채 이기는 경우는,가장 효과적으로 던진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며, 이는 전적으로 기록원의 판단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첫댓글 선발이 5이닝을 던져주지 못하고 강판되면, 승리투수조건 자체가 없어지고요.
기록원이 보았을때
그날 등판했던 투수들 중에서(불펜투수들이 대부분이겠죠) 가장 승리에 공헌했다고 판단되는 투수에게 승리를 부여한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5회를 넘기는 투수가 승리투수가 될거에요 아마
중간계투가 승리투수가 되는 경우는 팀이 이기고 있을때 5회 넘긴 투수가 승리투수가 됩니다. 팀이 역전했을 경우 그 역전한 회에 던진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 거예요. 공헌보다는 시기가 중요합니다.
선발투수는 무조건 5회까지 마무리져야 승리투수 조건이 됩니다! 4회 2아웃 잡아놓고 강판당하면 승리투수 조건이 안되고 다음 투수가 승리투수 조건이 되는거죠^^
저도 선발투수가 5이닝이상 던져야 승리투수되는 정도는 알고있습니다...다만 이기는 상황에서 선발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 못했을때 중간계투진중 누가 승리투수가 되는건가하는 물음이였는데....20일 경기에서 곤잘레스 내려가고 오상민선수 올라왔잖아요...저는 오상민선수가 승리투수인줄 알았는데 이성열선수가 승리투수가 되었더라고요...전에 설향님이 말씀하신것 같은 내용을 들어보긴 했는데 그럼 기록원 마음인가요?
20일 경기에서 보면 오상민 선수는 5회를 넘기지 않고 내려가셨고 5회때 이상열 선수가 던지셨어요. 그래서 이상열 선수가 승리투수가 되신 거예요.
엘지팬들이신데 이성열과 이상열 선수 정도는 구분해야 하심이 ㅋㅋ
선발이 5회마치기 전에 물러났을 경우 중간계투 중 승리가 돌아가는 원칙은,
우선 팀이 역전하는 시점에 던지고있던 투수(무조건),
5회 이전에 이미 이기고 있었고 동점을 허용하지 않은채 이기는 경우는,
가장 효과적으로 던진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며, 이는 전적으로 기록원의 판단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