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전국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성향 후보들이 17개 시·도 중 13곳을 차지하며 대약진했다.
진보 교육감은 선거 직전 5명에서 13명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났다. 지난 2010년 선거에서는 진보 후보가 6명 당선됐지만 2012년 곽노현 전 서울교육감이 중도하차했다.
이로써 경쟁과 수월성 확보를 근간으로 하는 박근혜 정부의 교육정책은 집권 이후 최대 역풍을 맞게 됐다. 5일 전국 교육감 선거 최종개표 결과를 보면 조희연(서울), 김석준(부산), 이청연(인천), 장휘국(광주), 최교진(세종), 이재정(경기), 민병희(강원), 김병우(충북), 김지철(충남), 김승환(전북), 장만채(전남), 박종훈(경남), 이석문(제주) 등 13개 시·도에서 진보 성향 후보가 당선됐다.
보수 성향 후보는 우동기(대구), 설동호(대전), 김복만(울산), 이영우(경북) 4명만이 승리했다. 진보 후보들은 단일화를 이룬 13개 시·도 가운데 대구와 울산을 제외한 11곳에서 난립한 보수 후보들을 꺾었다. 전문가들은 보수 진영이 대부분 지역에서 단일화에 실패한데다 세월호 참사로 '앵그리 맘'들의 표심이 경쟁보다는 인간적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진보 압승을 가져온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핵심 간부 출신이 8명이나 교육감에 당선됐지만,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 출신은 4명 중 1명만 당선돼 대조를 이뤘다. 전교조에서 시·도 지부장 등을 역임하고 교육감에 당선된 지역은 인천(이청연), 광주(장휘국), 강원(민병희), 충북(김병우), 충남(김지철), 경남(박종훈), 제주(이석문), 세종(최교진) 등 8곳에 달했다.
이같은 선거결과에 대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서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전교조는 5일 논평을 내고 "혁신교육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라며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나타낸 반면 교총은 "교육감 직선제 폐지 촉구운동과 함께 헌법소원을 추진하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전교조는 "혁신교육과 교육복지, 평등교육을 표방한 진보 교육감에 대한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며 "입시, 특권교육을 키워온 박근혜 정권과 달리 혁신학교와 무상교육 확대, 자사고 폐지 등 반경쟁 교육복지를 표방한 교육감들의 공약에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세월호 참사로 교육에 대한 국민적인 성찰도 교육감 선거에 반영됐다"며 "이번 선거를 계기로 정부는 학교 현장과 소통구조를 복원하고 살인적인 입시교육에서 벗어나 교육의 기본 가치를 되살릴 수 있도록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보교육감들에 대해서는 ▲고교평준화 확대 및 자율형사립고 폐지 ▲학생안전 규제 강화 ▲친환경 무상급식 확대 ▲교원승진제도 개선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의 공통공약을 이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