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회향의 효능
회향은 유럽이 원산지인 두해살이풀이다.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들어와 지금은 간혹 심기도 하고 저절로 자라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 톡 쏘는 듯한 독특한 향기가 있다. 잎은 가는 실처럼 생겼고 여름철에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가지 끝에 우산처럼 모여서 피고 열매는 가을철에 익는다.
봄에 심으면 그 이듬해에 키가 1미터 넘게 자라서 열매가 달리며 우리 나라에서는 두해살이풀이지만 따뜻한 지방에서는 7∼10년쯤 자라며 열매를 맺는다.
유럽에서는 회향을 딜(Dill)이라고 하고 중국에서는 시라(蒔蘿)라고 부른다. 그러나 딜과 시라는 회향과 매우 닮았지만 조금 다른 풀이다. 회향은 그 열매를 향신료로 널리 쓴다. 열매는 길이 3∼5밀리미터쯤 되는 타원 꼴인데 가볍고 달고 향기로운 냄새가 난다.
회향 열매에는 2∼6퍼센트의 정유가 들어 있는데 정유에는 아비톨이 50∼60퍼센트, 펜콘 10∼20퍼센트, 아니스알데히드, 에스트라골 등이 들어 있다. 씨앗에는 이 밖에 기름 12∼18퍼센트, 단백질이 20퍼센트쯤 들어 있다. 또 비타민 A와 아스코르빈산도 많이 들어 있다.
회향의 단맛은 아네톨이라는 성분이다. 아네톨은 23℃에서는 녹지만 20∼21℃에서는 결정성 덩어리가 되고 달며 향기가 있다. 회향은 수천 년 전부터 인류가 가장 귀하게 여긴 약초이자 향신료의 하나이다.
5천 년 전의 고대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된 파피루스에서 회향을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고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십일조의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회향은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 단맛이 있고 향기가 좋아서 맛과 향을 좋게 하기 위해서 음식이나 약에 넣기도 한다. 빵이나 과자 같은 데에 몇 개씩 넣으면 맛과 향이 훨씬 좋아진다.
본디 회향이라는 이름은 썩은 간장이나 물고기에 이것을 넣으면 본래의 냄새대로 되돌아간다고 하여 붙인 것이다. 그래서 식품의 향료와 냄새를 없애는 데 흔히 쓴다.
고대 유럽에서는 회향의 향기가 마녀의 주력(呪力)을 내쫓는 신통력이 있다고 믿었다. 회향을 태워서 연기를 쏘이거나 말려서 문 위에 걸어 두면 마녀의 주술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여겼다. 반대로 마녀도 주문을 외워서 마법을 걸 때 회향을 썼다고 한다. 회향의 정유 성분에는 진정작용 및 최면작용이 있다. 한밤중에 일어나 우는 아이에게 회향 씨를 달여서 먹이면 신통하게 울음을 그치고 잠을 자게 된다.
회향은 중추신경을 처음에는 약간 흥분시키다가 차츰 진정시킨다. 또 점막을 자극하여 위, 창자, 기관지 등 분비선에서 분비물이 많이 나오도록 돕는다. 가래를 없애는 약으로도 쓰고 젖을 잘 나오게 하는 데도 쓴다.
회향은 성질이 따뜻하고 기를 잘 통하게 하므로 찬 것을 내보내고 아픈 것을 멎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입 냄새를 없애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잠을 잘 자게 한다. 신장과 방광을 따뜻하게 하므로 신장염이나 신부전증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 민간에서 만성신부전증을 회향으로 고친 사례가 있다.
회향의 약성에 대해 [동의학 사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방광경, 신경, 위경, 심경, 소장경에 작용한다. 신과 위를 덥혀 주고 입맛을 돋우며 기를 잘 통하게 하고 한사를 없애며 아픔을 멈춘다. 열매에는 아네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기름이 있는데 이것이 적은 양에서는 중추신경을 흥분시키고 많은 양서는 억제한다. 또한 열매는 위, 창자, 기관지의 내분비선의 선 분비를 항진시키고 젖선의 분비도 세게 한다.
그밖에 진경 작용, 게움멎이 작용을 나타낸다. 한산으로 고환이 붓고 아픈 데, 비위가 허하여 배가 아프고 불러오며 메스껍거나 게우고 입맛이 없는 데 주로 쓴다. 또한 허리가 시리고 아픈 데, 달거리 아픔, 음부가 찬 데도 쓰며 상기도 질병, 장경련,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데도 쓴다. 그대로 또는 볶아서 하루 3~9그램을 달인 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열중에는 쓰지 않는다."
회향에는 소회향과 대회향이 있다. 대회향은 목련과에 딸린 식물의 열매로 열대 아시아지방에서 자란다. 열매에 0.5퍼센트의 정유가 들어 있는데 이 정유를 뽑아 내어 치약이나 식료품의 향료로 쓴고 약으로는 그다지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통 회향이라면 소회향을 가리킨다. 소회향에도 단맛이 나는 것, 매운 맛이 나는 것 등 여러 품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