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친론>
육친은 음양오행의 상생, 상극 관계를 바탕으로 구성되며, 사주팔자 내의 육친 분포를 통해서 사주 당사자의 인간관계와 사회성 등을 유추할 수 있다. 육친의 발달과 과다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성격과 직업 등을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육친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만나는 가족과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그 사람의 인격이나 사회성을 파악할 수 있다.
1. 육친의 이해
육친은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의 가족관계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六神이라고도 한다. 육친만 제대로 알면 직업, 적성, 사회성, 가족과의 관계 등 사주팔자를 폭넓게 해석할 수 있다.
육친에는 比肩, 劫財, 食神(壽福神. 壽星. 漏氣), 傷官(盜氣), 偏財, 正財, 偏官(七殺), 正官, 偏印(倒食.梟神)殺, 正印(印綬) 이 있다. 比劫=羊刃殺.陽刃殺(비견+겁재), 食傷(식상+상관), 財星(편재+정재), 官星또는 官殺(편관+정관), 印星(편인+정인)이라 한다.
종류의미
비견나(일간)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것
겁재〃 음양이 다른 것
식신내가(일간이)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것
상관〃 음양이 다른 것
편재내가(일간이)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재 〃 음양이 다른 것
편관나(일간)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관 〃 음양이 다른 것
편인 나(일간)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인 〃 음양이 다른 것
宋대에 서자평은 일간을 위주로 사주 내의 천간과 지지의 生剋制化 작용을 살펴서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였다.
여기에서 용신을 찾아내고 용신에 따라 직업을 정하는 이론을 버리고, 자신에게 나타나는 특성, 개성이 자신의 직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용신으로 정하는 오행은 사주 내에서 발달하거나 개수가 많은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지지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오행과 육친으로는 사주 당사자의 장점을 나타낼 수 없고 그것으로 직업이나 적성을 판단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육친 중에서 비견과 겁재, 식신과 상관, 편재와 정재, 편관과 정관, 편인과 정인은 똑 같은 성격이라고 할 수 없지만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비견이 발달하였는데 겁재가 한두 개 더 있어서 비견과 겁재를 합한 수가 과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발달로 보지 않고 과다로 보아야 한다. 즉 이때는 비견과 겁재를 통틀어서 비겁 과다라 한다.
또 다른 예로 편관도 발달하고 정관도 발달한 경우에는 편관 발달, 정관 발달로 보지 않고 정관 과다로 판단한 후 과다에 해당하는 성격과 직업 유형으로 분석한다. 비견과 겁재, 식신과 상관, 편재와 정재, 편관과 정관, 편인과 정인은 과다할 때 성격 유형이 똑 같다.
2. 육친의 종류
육친의 종류는 10가지다. 이러한 육친 10가지는 오행의 상생, 상극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나와 같은가, 내가 생하는가, 나를 생하는가, 내가 극하는가, 나를 극하는가 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나’는 일간을 말하며 이 일간을 위주로 하여 일간 오행과 일간 오행을 제외한 다른 오행들의 관계를 본다. 육친의 상생, 상극을 잘 알아두어야 사주를 해석할 수 있으므로 숙지하기 바란다.
책마다 다르지만 절대로 어떤 육친은 좋고 어떤 육친은 나쁘다고 구분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육친이든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니 다만 장점만 잘 살리면 성공하는 것이요, 단점으로 흘러가면 실패하는 것이다.
육친은 발달했는가 과다한가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다르게 나타난다. 발달일 경우 안정적인 면이 장점으로 많이 나타나고, 과다일 때는 적극적인 면이 장점으로 많이 나타난다.
[비견]
比(견줄 비) 肩(어깨 견)은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뜻이다. 나(일간)와 오행, 음양이 같은 경우다. 일간이 甲일 때 甲=寅, 일간이 乙일 때 乙=卯, 일간이 丙일 때 丙=巳, 일간이 丁일 때 丁=午, 일간이 戊일 때 戊=辰=戌, 일간이 己일 때 己=丑=未, 일간이 庚일 때 庚=申, 일간이 辛일 때 辛=酉, 일간이 壬일 때 壬=亥, 일간이 癸일 때 =에 해당한다.
※ 사주명리학 초보 탈출에서 지지의 인 사와 오, 수(水)인 해(亥)와子(자)는 서로 음양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사화(양화), 오화(음화), 해수(양수),자수(음수) 변하는 것을 꼭 기억
① 갑이 일간일 때 甲(갑)寅(인)
② 을이 일간일 때I 을묘
③ 병이 일간일 때 병사
④ 정이 일간일 때 정오
⑤ 무가 일간일 때 戊辰戌
⑦ 기가 일간일 때 기축미
⑧ 경이 일간일 때 경신
⑨ 신이 일간일 때 신유
⑩ 계가 일간일 때 계자
[겁재]
겁재는 나(일간)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것. 비겁+겁재=비겁
겁재는 육친의 하나로써 재물을 관장하는 재성을 극하기 때문에 ‘재물을 겁탈한다’라는 의미로 이는 좋은 육친, 나쁜 육친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육친마다 서로 다른 특징이 존재할 뿐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비견과 겁재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본다.
① 갑 일간일 때 을묘
② 을 일간일 때 갑인
③ 병 일간일 때 정오
④ 정 일간일 때 병사
⑤ 무 일간일 때 기축미
⑥ 기 일간일 때 무진술
⑦ 경 일간일 때 신유
⑧ 신 일간일 때 경신
⑨ 임 일간일 때 계자
⑩ 계 일간일 때 임해
[식신]
식신은 내가 생하면서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식신은 ‘밥 귀신’이란 의미이며 편관을 극한다고 해서 壽(수)星(성)이다. 일반 이론에서는 편관이 일간을 극한다고 해서 나를 죽이는 육친으로 보아 殺이라 부르고 육친 중에서 7번 째 해당한다고 하여 七을 붙여 七殺이라고 한다. 편관을 육친 중에서 가장 나쁘게 보는데 이 편관 즉 칠살을 극하는 것이 바로 식신이기 때문에 나(일간)의 목숨을 살려준다고 해서 목숨을 살려주는 별의 호칭인 壽星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이라고 본다.
① 갑 일간일 때 병사
② 을 일간일 때 정오
③ 병 일간일 때 무진술
④ 정 일간일 때 기축미
⑤ 무 일간일 때 경신
⑥ 기 일간일 때 신유
⑦ 경 일간일 때 임해
⑧ 신 일간일 때 계자
⑨ 임 일간일 때 갑인
⑩ 계 일간일 때 을묘
육친론2
[상관]
상관은 내(일간)가 생하고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상관이 정관을 극한다고 해서 흉한 육친으로 본다. 정관은 관직과 명예를 상징하는데 이러한 관직을 극하기 때문에 상관을 극도로 꺼린다. 이 또한 어떤 육친이든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신경 쓰지 말아야 한다.
관에 명예에 상처를 준다는 이유로 명친 자체가 상관이다. 이는 명칭 자체가 잘못 되었다. 관을 상하게 하는 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관을 도울 수 잇기 때문이다. 예로 관이 많아 대가 힘들 때 상관이 나를 못살게 구는 관을 극하기 때문에 오히려 상관이 나에게 큰 힙이 되는 것이다.
① 갑 일간일 때 정오
② 을 일간일 때 병사
③ 병 일간일 때 기축미
④ 정 일간일 때 무진술
⑤ 무 일간일 때 신유
⑥ 기 일간일 때 경신
⑦ 경 일간일 때 계자
⑧ 신 일간일 때 임해
⑨ 임 일간일 때 을묘
⑩ 계 일간일 때 갑인
[편재]
편재는 내(일간)가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① 갑 일간일 때 무진술
② 을 일간일 때 기축미
③ 병 일간일 때 경신
④ 정 일간일 때 신유
⑤ 무 일간일 때 임해
⑥ 기 일간일 때 계자
⑦ 경 일간일 때 갑인
⑧ 신 일간일 때 을묘
⑨ 임 일간일 때 병사
⑩ 계 일간일 때 정오
[정재]
정재는 내(일간)가 극하면서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① 갑 일간일 때 기축미
② 을 일간일 때 무진술
③ 병 일간일 때 신유
④ 정 일간일 때 경신
⑤ 무 일간일 때 계자
⑥ 기 일간일 때 임해
⑦ 경 일간일 때 을묘
⑧ 신 일간일 때 갑인
⑨ 임 일간일 때 정오
⑩ 계 일간일 때 병사
[편관]
편관은 나(일간)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편관은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의 순서대로 보면 7번째다 그래서 七殺이라 부른다. 칠살은 나쁜 육친으로 보지만 일간의 힘이 막강할 때는 나를 극하는 편관이나 정관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기에 육친을 단순히 좋다 나쁘다 쉬이 판단할 수 없다.
① 갑 일간일 때 경신
② 을 일간일 때 신유
③ 병 일간일 때 임해
④ 정 일간일 때 계자
⑤ 무 일간일 때 갑인
⑥ 기 일간일 때 을묘
⑦ 경 일간일 때 병사
⑧ 신 일간일 때 정오
⑨ 임 일간일 때 무진술
⑩ 계 일간일 때 기축미
[정관]
정관은 나(일간)를 극하면서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① 갑 일간일 때 신유
② 을 일간일 때 경신
③ 병 일간일 때 계자
④ 정 일간일 때 임해
⑤ 무 일간일 때 을묘
⑥ 기 일간일 때 갑인
⑦ 경 일간일 때 정오
⑧ 신 일간일 때 병사
⑨ 임 일간일 때 기축미
⑩ 계 일간일 때 무진술
[편인]
편인은 나(일간)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편인이 식신을 극한다고 엎어질 倒食(도식)으로 보아 四凶神으로 보지만 단순한 논리로 좋고 나쁨을 논할 수는 없다.
① 갑 일간일 때 임해
② 을 일간일 때 계자
③ 병 일간일 때 갑인
④ 정 일간일 때 을묘
⑤ 무 일간일 때 병사
⑥ 기 일간일 때 정오
⑦ 경 일간일 때 무진술
⑧ 신 일간일 때 기축미
⑨ 임 인간일 때 경신
⑩ 계 일간일 때 신유
[정인]
정인은 나(일간)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① 갑 일간일 때 계자
② 을 일간일 때 임해
③ 병 일간일 때 을묘
④ 정 일간일 때 갑인
⑤ 무 일간일 때 정오
⑥ 기 일간일 때 병사
⑦ 경 일간일 때 기축미
⑧ 신 일간일 때 무진술
⑨ 임 일간일 때 신유
⑩ 계 일간일 때 경신
<천간별 육친 조견표 : 천간>
일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편재 정재 식신 상관
乙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상관 식신
丙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편재 정재
丁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정관 편관 정재 편재
戊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己 정배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장관 편관
庚 편관 정관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辛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癸 정인 편인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지지별 육친 조견표 : 지지>
일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子 정인 편인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丑 정재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정관 편관
寅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편재 정재 식신 상관
卯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상관 식신
辰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巳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편재 정재
午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정관 편관 정재 편재
未 정배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정관 편관
申 편관 정관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酉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상관 식신 겁재 비견 정인 편인
戌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편인 정인 편관 정관
亥 편인 정인 편관 정관 편재 정재 식신 상관 비견 겁재
<육친별 간지 조견표 : 일간>
육친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甲 갑인 을묘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임해 계자
乙 을묘 갑인 정오 병사 기축미 무진술 신유 경신 계자 임해
丙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임해 계자 갑인 을묘
丁 정오 병사 기축미 무진술 신유 경신 계자 임해 을묘 갑인
戊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임해 계자 갑인 을묘 병사 정오
己 기축미 무진술 신유 경신 계자 임해 을묘 갑인 정오 병사
庚 경신 신유 임해 계자 갑인 을묘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辛 신유 경신 계자 임해 을묘 갑인 정오 병사 기축미 무진술
壬 임해 계자 갑인 을묘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癸 계자 임해 을묘 갑인 정오 병사 기축미 무진술 신유 경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