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질환 [소아질환(小兒疾患)]
★ 어린이 간질[癎疾 : 갑자기 온몸에 경련이나 의식 장애 따위의 발작이 되풀이되는 질병. ]
유전적인 경우도 있으나, 외상, 뇌종양 따위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찔레나무 버섯은 뿌리에 붙어 땅 속에서 자라므로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찔레나무 버섯은 달여서 복용하면 흙 냄새가 조금 날 뿐 별 맛이 없는데, 이를 복용하면 간질을 고칠 수가 있다.
찔레버섯 10~15g을 한 시간쯤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나누어 복용한다.
버섯은 2~3회까지 재탕하여 끊여 마셔도 된다.
★ 어린이 경기[驚氣 : 주로 어린이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 풍(風)으로 인해 갑자기 의식을 잃고 경련이 이는 병증]
급체나 설사, 회충, 발열 따위로 일어나며 급경증, 만경풍, 만비풍 등으로 나눈다.
♣ 어린이 경기
▶찔레나무 버섯은 뿌리에 붙어 땅 속에서 자라므로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찔레나무 버섯은 달여서 복용하면 흙 냄새가 조금 날 뿐 별 맛이 없는데, 이를 복용하면 간질을 고칠 수가 있다.
찔레버섯 10~15g을 한 시간쯤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나누어 복용한다.
버섯은 2~3회까지 재탕하여 끊여 마셔도 된다.
어린이 경기 예방
▶백후추, 살구씨, 복숭아씨, 치자를 각각 7알씩 섞어찧고 계란 흰자위와 함께 고약처럼 개서 발바닥에 붙인다.
남자는-왼쪽 여자는-오른쪽에 격일로 붙여 3회 계속하면 특효를 본다
★ 어린이 경련[痙攣 : 근육이 별다른 이유 없이 갑자기 수축하거나 떨림. 또는 그런 현상. ]
전신성 경련과 국부성 경련이 있으며 원인은 뇌종양, 전간 따위의 대뇌 장애와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 히스테리 등이다.
근육 수축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과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있다.
▶바위취 잎은 이질병, 독충 등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체적으로 어린이 경련, 귓병, 종기, 화상, 치질, 해열 등에 효과가 있다.
★ 어린이 기침[목이나기관지의 점막이 자극을 받아 갑작스럽게 거친 숨이 목구멍에서 터져 나옴. ]
또는 그것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병적인 현상. 마른기침과 젖은기침의 두 가지가 있다.침
▶찔레나무 버섯은 뿌리에 붙어 땅 속에서 자라므로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찔레나무 버섯은 달여서 복용하면 흙 냄새가 조금 날 뿐 별 맛이 없는데, 이를 복용하면 간질을 고칠 수가 있다.
찔레버섯 10~15g을 한 시간쯤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나누어 복용한다.
버섯은 2~3회까지 재탕하여 끊여 마셔도 된다.
★ 어린이 발육부진[發育不振]
▶아욱은 성장 발육에 좋은 칼슘이 많다.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칼슘이 부족하면 골격 형성이 안 되고 성격도 신경질적으로 변하기 쉽다.
아욱은 아이들의 성격을 차분하게 만들어줄 뿐 아니라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다
▶찔 레나무의 연한 순은 배고팠던 옛 시절 한창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맛좋은 간식거리였다.
찔레순에 겨자소스를 친 샐러드로 만들어 먹으면 겨우내 몸안에 쌓여있던 독소를 제거해주는 약효가 있다.
특히 어린이의 성장 발육에 큰 도움이 되고 오뉴월 감기 예방에도 다시 없이 좋은 약효를 나타낸다고 한다.
재료 ; 찔레순, 흑설탕(혹은 꿀)
찔레순을 흑설탕이나 꿀로 발효시켜 복용한다.
이렇게 복용하면 성장조절 호르몬이 많이 들어 있어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에 효과가 있다.
특히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변비나 부종, 어혈 등을 없애주는 약효도 기대할 수 있다
▶홍화씨는 뼈 관절 계통의 질환 및 혈액 순환 계통의 질환에 효험이 있습니다
★ 어린이 설사[泄瀉 : 변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많아져서 묽은 똥을 눔. 또는 그러한 증세. ]
소화 불량이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장에서 물과 염분 따위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때나,
소장이나 대장으로부터의 분비액이 늘어나거나 장관의 연동 운동이 활발해졌을 때 일어난다.
▶환삼덩굴에 물을 넣고 달여서 진한 탕액을 만들어 하루 두 번 조금씩 먹는다. 2~3일 안에 설사가 멎는다
♣ 어린이의 심한 열이 내려가지 않을 때
▶미나리 찧은 즙을 수시로 마시면 열이 서서히 내린다. [식품비방]
★ 소아 두창[痘瘡 :천연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급성 법정 전염병. ]
열이 몹시 나고 오슬오슬 떨리며 온몸에 발진(發疹)이 난다.
발진으로 생긴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긁으면 얽게 된다.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사망률도 높았으나, 최근에는 예방 주사의 발달로 인해 거의 사라졌다고 보고되었다.
▶오매를 태워 재를 만들어 바르면 된다.
머리에 있으면 재를 그대로 바르고 진물이 없으면 참기름에 개어 바르면 된다.<식품비방>
★ 소아마비[小兒麻痺 : 팔과 다리에 마비가 오는 질환].
어린아이에게 많이 나타나고, 뇌성(腦性)과 척수성(脊髓性)으로 분류된다.
▶음양곽, 상기생(桑寄生: 뽕나무겨우살이) 같은 양으로 2ml당 각각 1g의 생약을 함유하는 주사약을 만든다.
급성기에는 근육 주사를 위주로 하고 혈위 주사를 병행한다. 근육 주사는 1회 2ml씩 매일 2회, 20일간 계속한다.
회복기 및 후유증기에는 혈위 주사를 위주로 하고 근육 주사를 병행한다.
혈관 주사는 사용 방법에 따라 경혈을 찾아 하나의 혈관에 1~2ml를 하루 건너 1회, 20일간 연속 주사하고
반 개월 중지한 다음 다시 치료를 계속한다.
▶상사화는 유독성 식물이므로 함부로 먹지 말아야 한다.
땅속에 있는 작은 양파 모양의 비늘 줄기를 약으로 쓰는데 껍질은 검은 갈색을 띤다.
한방과 민간에서 소아마비,진통,거담·구토·창종·적리(이질의 한 종류)·급만성기관지염·폐결핵·백일해·각혈·해열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 소아 단독[丹毒 : 피부나 점막 따위의 헌데나 다친 곳으로 연쇄상 구균과 같은 세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급성 전염병.]
딱딱한 붉은 반점이 점점 확대되면서 높은 열이 나고 얼굴이 붉어지며 쑤시고 아픈 통증이 나타난다.
♣ 소아의 온몸에 난 빨간 단독
▶상백피 600그램과 물 1.8리터를 붓고 삶아 절반 줄이고 그물을 자주 마시면 된다.
★ 소아의 대복비만[大腹 : 가슴 아래와 배꼽 위쪽의 배. ]
▶가막사리 6-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가루를 만들거나 짓찧어 낸 생즙을 복용한다
★ 소아 발열[發熱 : 체온이높아짐. 또는 그런 증상. ]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이 있을 때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 신선한 뽕잎이나 열매 및 상백피 600~1,200그램(마른잎도 가능)을 다량의 물로 삶아 이 물을 자주 마시면 잘 듣는다
★ 소아야맹증[夜盲症]
눈이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빨리 적응하지 못하여, 희미한 불빛 아래서나 밤에 시력이 떨어지는 현상.
망막에 있는 간상세포(桿狀細胞)의 능력을 떨어뜨리는 질병이나 간상세포의 색소인 로돕신의 결핍으로 생긴다.
후천적으로는 비타민 에이(vitamin A)의 결핍으로 일어난다.
▶음양곽뿌리 19g, 만잠아(晩蠶蛾: 약간 볶음) 19g, 사간(射干) 1푼,
▶감초(약간 빨갛게 되게 굽고 부순다) 1푼을 찧고 체로 쳐서 곱게 가루를 낸다.
▶어린 양의 간 1개를 갈라 앞의 가루약 7.5g을 그 속에 넣어서 실로 묶고
▶검은콩 1홉, 한잔(대)의 쌀뜨물로 잘 끓여 내서 2회로 나누어 즙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 선령비산]
★ 소아 척수마비[脊髓痲痹 : 척추뼈의 손상이 척수에 미쳐 생기는 마비. ]
대개 외부의 힘에 의해 척추뼈가 골절 또는 탈구 따위를 입었을 때 나타나며, 이에 잇따라 감염증이 생긴다
♣ 소아 척수마비 후유증 :
▶두충 30 ∼ 50g과 돼지발쪽 1개를 물에 4시간 정도 끓여서 건더기 는 건지고 고기와 국물을 하루 2번 먹인다.
★ 소아 폐렴[肺炎 : 폐 조직이 세균 감염, 이물질 흡입 따위로 인하여 염증이 생기거나 붓는 병. ]
오한, 고열, 가슴앓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율무뿌리 40~80그램을 돼지위장 40그램과 함께 약한 불에 고아 복용한다. [민동본초]
★ 소아 황수[黃瘦 : 위(胃)에서 토하는, 담즙(膽汁)이 섞인 노란 액체.]
▶헛개나무 열매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