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危機)에 빠진 십상시(十常侍) -
하진(何進)은 삼십여 명의 대신((大臣)들을 이끌고 황궁(皇宮)으로 들어가 황태자(皇太子) 유변(劉辯)을 모시고 신황(新皇) 즉위(卽位)의 선언(宣言)을 천하(天下)에 선포(宣布)하였다. 아울러 황태자(皇太子) 유변(劉辯)을 천자(天子)로 책립(冊立)하는 의식(儀式)을 벼락같이 거행(擧行)하였다.
의식(儀式)이 끝나자 원소(袁紹)는 오천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환관 건석(蹇碩)을 죽이려고 찾아 나섰다.
건석(蹇碩)은 사태(事態)의 위급(危急)함을 깨닫고 후원으(後園)로 숨어들었으나 하진(何進)을 제거(除去)하는 데 의견을(意見) 달리하였던 십상시(十常侍)의 한 사람이었던 곽승(郭勝)에 손에 죽고 말았다. 그리하여 곽승(郭勝)은 건석(蹇碩)의 목을 가지고 하진(何進) 장군(將軍)에게 달려가 바침으로써 자신의 목숨만은 살릴 수가 있었으니 진정(眞情) 동료(同僚)란 무엇인가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한편, 황궁(皇宮)의 대세(大勢)가 하진(何進) 장군에게 유리(有利)하게 돌아가자 건석(蹇碩)이 조종(操縱)하던 금군(禁軍)들이 제각기 하진에게 항복(降伏)하였다.
원소(袁紹)가 하진(何進)에게 말한다.
"장군님! 이 기회(機會)에 궁중(宮中)에서 농간(弄奸)질하고 있던 십상시(十常侍)의 무리들을 씨알머리도 남김없이 모두 죽여 버려야 합니다. 만약(萬若) 한 놈이라도 살려 두었다가는 후일 어떤 후환(後患)이 될지 모릅니다."
"음...."
본래 하진(何進)은 미천(微賤)한 백정(白丁) 출신(出身)으로 장군(將軍) 자리에 오를 만한 대범(大汎)한 인물(人物)이 아니었다.
건석(蹇碩)의 농간(弄奸)으로 홧김에 황궁(皇宮)으로 쳐들어 오기는 하였지만 궁 안의 처참(悽慘)한 광경(光景)을 보고 있는 사이에 자신(自身)의 명령(命令) 하나로 처참(悽慘)한 모습으로 변해버린 궁중(宮中) 사태(事態)에 뒷감당(堪當)할 자신(自信)이 없는 것은 몰론이고 스스로 공포심(恐怖心)조차 느낀 것이었다.
한편, 살아남은 십상시(十常侍)들은 사태(事態)가 위급(危急)하자 하후(何后)의 거처(居處)로 피신였다.
그리하여 하진(何進)의 누이동생인 하후(何后)의 옷자락을 붙잡고 늘어지며 눈물로 호소(呼訴)하였다.
"황후(皇后)마마! 당초(當初)에 하진(何進) 장군(將軍)을 모해(謀害) 하려 했던 것은 건석(蹇碩) 한 사람뿐이옵고, 저희들은 아무런 죄(罪)도 없사옵니다. 더구나 십상시(十常侍)의 한 사람인 곽승(郭勝)이 건석의 목을 베어 하진(何進) 장군(將軍)에게 바친 것만 보아도 알 수가 있는 일이 아니겠사옵니까? 그런데 하진 장군께서는 원소(袁紹)의 그릇된 말을 들으시고 저희들을 모조리 죽이려 하신다니 세상에 이런 억울(抑鬱)한 일이 어디 있사옵니까? 황후(皇后) 마마의 오늘이 있게 된 것은 모두 저희들의 지난날의 공(功) 임을 돌아보시고 부디 오라버님의 노여움을 풀어 주시옵소서!"
그러자 하후(何后)는 그들을 매우 측은(惻隱)하게 여기면서,
"그대들을 죽이지 않도록 할 것이니 염려(念慮) 말라!" 하고 말한 뒤에,
하진(何進)을 불러들여 이렇게 말했다.
"우리 남매(男妹)가 미천(微賤)하게 살아오다가 오늘날과 같은 영화(榮華)를 누리게 된 것은 모두가 장양(張讓) 같은 십상시(十常侍)의 덕택(德澤)이었소. 건석(蹇碩)은 우리를 해치려고 했으니까 죽여서 마땅하지만 그 밖의 사람들까지 죽일 필요가 어디 있단 말이오?"
하진(何進)은 막상 홧김에 벌이긴 하였으나 궁중 내의 끔찍한 살육(殺戮)이 스스로 몸서리쳐 지던 판인지라 그 소리를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하기는 건석(蹇碩)은 이미 죽었으니까 다른 자들은 그냥 내버려 두어도 괜찮을 것이오." 하고 말하였다.
하진(何進)은 하후(何后)의 앞을 물러 나오자 원소(袁紹)를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건석(蹇碩)은 나를 모략 (謀略)했기 때문에 죽였거니와 다른 사람이야 무슨 죄가 있으리오. 다른 환관(宦官)들은 죽이지 말고 살려 두기로 하오."
원소(袁紹)는 그 소리를 듣고 크게 놀란다.
"장군(將軍)님! 이제 와서 그런 말씀을 하시면 어떡합니까? 이제 와서 그들을 살려 준다는 것은 풀을 베고 뿌리를 뽑지 않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궁중(宮中)의 독(毒)버섯 같은 십상시(十常侍) 세력(勢力)을 지금 도려내지 않으면 훗날 반드시 후회(後悔)하시게 될 것입니다!"
"천만(千萬)에! 만약(萬若) 그대의 말대로 이 일을 자꾸만 확대(擴大)시켜 가다가는 궁중(宮中)의 혼란(混亂)이 천하(天下)의 혼란으로 커가기 쉬울 것이오. 그렇게 되면 수습(收拾)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이니, 보복(報復)은 이쯤에서 마치도록 하겠소."
우유부단(優柔不斷)한 하진(何進)은 마침내 원소(袁紹)의 말을 거절(拒絕)해 버리고 말았다.
이렇게 황궁(皇宮)에서의 건석(蹇碩) 무리의 소탕(掃蕩)을 마친 하진(何進)은 어느 날 하후(何后)의 부름을 받고 달려갔다.
"오라버니, 모든 일이 잘 되었지요?"
"음, 이제 변(辨) 황자(皇子)를 황제(皇帝)로 옹립(擁立)하였으니 모든 것이 우리의 뜻대로 되었소."
"하지만 한 가지 꺼림칙한 것이 있소이다."
"그것이 무엇이오?" 하진(何進)은 하후(何后)의 말을 듣고 즉석(卽席)에서 물었다.
그러자 하후(何后)는,
"승하(昇遐)한 황제(皇帝)의 어머니 동 태후(童太后) 말이에요."
"동 태후(童太后)?"
"그분은 평소부터 변(辨) 황자(皇子)를 천자(天子)로 책립(冊立)하는 것을 반대(反對)하고, 왕미인(王美人)의 소생(所生)인 협(協) 황자(皇子)를 천자(天子)로 모시려 했었으니 앞으로 무슨 일을 벌일지 알 수 없는 일이 아니겠소?"
"흐음... 그러고 보니 손을 써둬야 하겠소."
얼마 후 영제(靈帝)의 어머니 동 태후(童太后)는 하진(何進)에 의해 시골로 보내지게 되었다.
동 태후(童太后)는 며느리 하후(何后)와 하진(何進)의 처사(處事)가 매우 괘씸했지만 지금 형편(形便)으로는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하진(何進)과 하후(何后)는 동 태후(童太后)를 시골로 보내놓고 나서도 안심(安心)이 되지 않아 그로부터 얼마 후에는 자객(刺客)을 보내어 동 태후(童太后) 마저 죽여 버리고 말았다.
살아남은 십상시(十常侍) 장양(張讓)과 단규(段珪)는 처음에는 동 태후(童太后)를 등에 업고 하진(何進)의 일파(一派)를 제거(除去)하고 협(協) 황자(皇子)를 천자(天子)로 옹립(擁立)하여 자신(自身)들의 재기(再起)를 획책(劃策)하였다.
그러나 동 태후(童太后)가 하진의 손에 무참(無慘)하게 죽어 버리자 그 간악(奸惡)한 무리는 사태(事態)의 불리함을 깨닫고 하진(何進)의 아우인 하묘(何苗)와 그의 어머니 무양군(舞陽君)에게 많은 금은보화(金銀寶貨)를 보내어 하 태후(何 太后)의 환심(歡心)을 사려고 애를 썼다. 그야말로 자기네 잇속에 따라 간에 붙고 허파에 붙는 간악(奸惡)한 처사(處事)였다.
원소(袁紹)는 그러한 사실(事實)을 알고 있었기에 하진(何進)에게 다시 권(勸)하였다.
"이 기회(機會)에 환관(宦官) 십상시(十常侍) 잔당(殘黨)들을 처치(處置)하지 않게 되면 후일(後日) 반드시 큰 화가 있사오리다. 전일(前日) 두무(竇武)가 환관(宦官)들을 죽이려다가 비밀(秘密)이 누설(漏泄)되어 도리어 앙화(釀禍)를 받은 일이 있사오니 우리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나 하진(何進)은 원소(袁紹)의 말을 좀처럼 들어 주지 않았다.
"그다지 시급한 일이 아니니 좀 더 생각해 보기로 하겠소."
장양과 단규는 원소(袁紹)가 자기들을 죽이려는 계획을 알고 있어서 전력을 다해 하씨 일가의 환심을 사기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급기야는 많은 뇌물을 받아먹은 하묘와 무양 군이 하 태후를 궁중으로 직접 찾아가 환관(宦官)들을 죽이지 말도록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하묘(何苗)는 누님인 하 태후(何太后)에게,
"새 황제(皇帝)를 보필(輔弼)하여 나라를 안정시키고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야 할 시기에 전대부터 황제(皇帝)를 가까이 모셔오던 환관(宦官)들을 함부로 죽이려 해서야 되겠습니까?" 하며 하 태후의 옷소매를 부여잡고 눈물을 흘리며 애원하기까지 하는 것이었다.
하 태후(何 太后)는 그러잖아도 환관(宦官)들을 측은히 여기던 터인지라,
"네 말이 백번 옳다! 내가 그들을 죽이지 못하도록 하마!" 하고 말한 뒤에,
이내 오빠인 하진(何進)을 불러,
"오라버니가 선왕(先王)이 총애하던 환관(宦官)들을 모조리 죽이려 한다는 말이 떠도는데 그게 웬일이오? 선왕이 총애(寵愛)하던 구신(舊臣)들을 모조리 죽이려는 것은 종묘(宗廟)에 큰 죄를 짓는 것이니 행여 그런 일은 없도록 하시오."
하고 태후(太后)의 위세(威勢)를 이용하여 단단히 타일렀다.
이런 일이 있은 다음날, 원소(袁紹)가 다시 하진을 찾아왔다.
"대장군께서는 십상시(十常侍) 잔당(殘黨들을 어떻게 처리하실 생각입니까?"
"나도 환관(宦官)들을 모조리 죽여 없애고 싶지만 태후(太后)께서 허락(許諾)을 아니하시니 이 일을 어찌했으면 좋겠소? 장군의 좋은 생각이 있으면 말해 보오." 우유부단(優柔不斷)한 하진(何進)은 모든 책임을 태후에게만 돌렸다.
원소(袁紹)는 하진(何進)의 대답을 매우 못마땅하게 여기면서,
"전에도 말씀드린 것 같이 십상시(十常侍)는 모두 죽여 없애 후환(後患)을 남기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니 장군님 손에 피를 묻히기 싫으시면 지방에 있는 영웅들에게 명령을 내려 그들로 하여금 낙양(洛陽)으로 올라와 십상시(十常侍) 모두를 죽여 없애도록 하는 것은 어떻겠습니까?" 하고 말하였다.
"음... 그게 괜찮은 생각이오. 그러면 각지로 격문(檄文)을 보내기로 합시다."
하진도 십상시(十常侍) 모두를 처치해 버리고 싶기는 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누이동생이자 황실(皇室)의 최고 권위자인 태후(太后)의 명을 거역(拒逆)하기도 어려운 일이라서 망설이고 있던 차에 원소(袁紹)의 의견은 내심 바라던 바였다.
그리하여 곧 주부(主簿) 진림(陳琳)을 불러 각처에 보낼 격문(檄文)을 쓰라고 지시하니,
진림(陳琳)은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장군님! 그것은 잘못된 일인 줄로 아뢰옵니다. 장군께서는 천하의 병권(兵權)을 장악(掌握)하고 계시온데 자체 병력으로 환관(宦官)의 무리를 죽이는 것은 아무것도 아닌 일이온데 어찌하여 외방(外方)의 군사들을 낙양(洛陽)으로 불러 올려 도성(都城)을 범하게 하려고 그러시나이까? 여러 영웅(英雄)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도성(都城)에 올라오면 각기 딴마음을 먹기가 쉽사오니 행여 그 일은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을 줄로 아뢰옵니다."
그 자리에 있던 전군(全軍) 교위(校尉) 조조(曹操)도 이렇게 말하였다.
"환관(宦官)의 죄를 다스리시려는데 무엇 하러 외병(外兵)을 도성(都城)으로 불러 올리려고 하십니까? 만약(萬若) 외병(外兵)의 힘을 빌려 뜻을 이루신다면 반드시 일이 딴 방향(方向)으로 벌어지고 말 것입니다."
모두가 옳은 말이었다. 그러나 하진(何進)은 그들의 말을 듣지 아니하고 마침내 비밀(祕密)리에 각(各) 진(鎭)으로 밀서(密書)를 보내어 군사를 도성(都城)인 낙양(洛陽)으로 불러 올렸다.
조조(曹操)는 그 사실(事實)을 알고 <하진(何進)이 스스로 제 무덤을 파고 있구나!> 하고 하늘을 우러러 탄식(歎息)하였다.
삼국지 - 29회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