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비앤지스틸 (004560) 성림첨단산업 상장 추진 소식 속 성림첨단산업 최대주주라는 점이 부각되며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 유일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 업체로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성림첨단산업이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업계에 따르면, 성림첨단산업은 지난해 사업 보고서를 확정하는 4월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예정이며, 통상 예심 신청 후 상장까지 3개월 가량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 코스닥 입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성림첨단산업의 최대주주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셀트리온/셀트리온제약/고바이오랩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 완료 속 급등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 12월28일 합병을 완료했음. 지난달 28일 셀트리온은 이사회 결의를 통해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을 완료했고 합병 등기를 진행한다고 공시. 두 회사의 합병으로 셀트리온은 제품 개발부터 판매까지 전체 사업 사이클을 일원화할 수 있게 됐으며, 이에 따라 회사는 원가 경쟁력 확보를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합병으로 거래구조 단순화를 통한 투명성 제고와 원가율 개선에 따른 원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며, 합병 통합 자원으로 대규모 투자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밝힘. KB증권도 '유플라이마' '램시마SC' 등 바이오시밀러의 견조한 성장세가 예상되고, 최근 허가를 획득한 '짐펜트라'의 2월 말 출시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등재 소식에 따라 긍정적인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이 상승세를 기록중. 또한, 셀트리온과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를 하고 있는 고바이오랩도 셀트리온의 투자 및 인수 기대감이 커지며 시장에서 부각.
[종목]: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고바이오랩
삼성출판사 (068290) 더핑크퐁컴퍼니 '베베핀', 韓 애니메이션 최초 전 세계 8개국 넷플릭스 1위 등극 소식에 상승
▷더핑크퐁컴퍼니는 언론을 통해 '베베핀'의 스핀오프 콘텐츠 '베베핀 플레이타임(Bebefinn Playtime)'이 전 세계 8개국 넷플릭스 1위, 11개국 10위권에 등극했다고 밝힘. 글로벌 인기를 입증하듯 2023년 10월 4주차에 '베베핀' 오리지널 시리즈가 국내 애니메이션 최초로 미국 넷플릭스 1위에 등극한 데 이어, 약 2개월 만에 '베베핀 플레이타임'이 전 세계 8개국 1위에 등극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더핑크퐁컴퍼니 관계자는 "베베핀 오리지널 시리즈에 이어, 스핀오프 콘텐츠 '베베핀 플레이타임'까지 넷플릭스 신기록을 달성하며 넥스트 IP로서의 파급력과 존재감을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연령층의 시청자가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선보이며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서의 행보를 이어 나가겠다"고 밝힘.
▷이에 분기보고서(2023.09) 기준 더핑크퐁컴퍼니 지분 16.83%를 보유하고 있는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한국단자 (025540) 전장화/전동화 수혜 및 해외 법인 이익 증가 전망 등에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동차의 전장화/전동화가 진행될수록 자동차용 커넥터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 현재 자동차용 커넥터 매출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수준으로, 향후 전기차 시장을 중심으로 매출 확대가 본격적으로 일어날 전망. 자동차용 커넥터 매출은 2020년 7,703억원 → 2021년 8,908억원 → 2022년 10,674억원으로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북미와 유럽 공장 Capa 증설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를 추진 중인 가운데, 북미/유럽 법인 매출 성장이 본격화된 시점은 2023년이라고 밝힘. 멕시코 공장의 경우 작년에 2공장을 완공했으며 12월부터 생산을 시작, 2024년에도 해외 법인 매출 규모는 점차 확대될 전망. 또한, 주요 원재료인 구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고 있다는 점도 동사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대동 (000490) 로봇주로서 본격 주가 리레이팅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율주행·작업 및 정밀농업 기술 개발에 따른 온디바이스AI 관련주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언급. 이와 관련, 2020년 인텔과 엣지 컴퓨팅 기반 정밀농업 기술과 자율주행 제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했고, 2023년 10월 자율주행 3단계 자율주행 트랙터를 출시했다고 언급. 현재 4단계 완전자율주행 트랙터에 적용될 클라우드AI 및 엣지 컴퓨팅 기술 개발을 진행중이며, 비농업용 특수환경 임무수행 로봇, 로봇모어, 자율운반 로봇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 중이라고 설명.
▷아울러 공격적인 북미 중대형 트랙터 판매 증가와 유럽 지역 매출 확대 등에 힘입어 향후 실적 성장이 기대되며, 2024년에는 로봇주로서 본격적인 주가 리레이팅이 작용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3,500원[신규]
산돌 (419120) 윤디자인그룹 경영권 인수 목적 배타적, 독점적 교섭권 양해각서(MOU) 체결에 급등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경영권 인수를 위한 배타적, 독점적 교섭권 양해각서(MOU) 체결 공시. 거래 대상은 윤디자인그룹의 발행 주식 중 자사주를 제외한 주식(15만400주)으로 최종 거래대금은 거래 계약 체결을 위한 실사 결과에 따라 확정될 예정. 실사 기준일은 2023년12월31일이며, 실사는 최초 실사자료 제공일로부터 4주간 진행될 계획임.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웹폰트 서비스 및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폰트, 글로벌 사업 등 성장 사업 추진에 집중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인수합병(M&A)을 통해 신사업을 확장하 겠다고 밝힌 바 있는 가운데, 또 다른 국내 폰트 시장 플랫폼 기업 윤디자인 경영권 인수에 나서는 것도 이같은 계획의 일환으로 풀이되고 있다고 전해짐.
레이크머티리얼즈 (281740) 올해 반도체 부문 필두 주요 사업 부문 성장 기대감 및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사업 본격화 전망 등에 급등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부문 매출액은 895억원(+45% YoY)을 기록할 것이며, 반도체를 필두로 모든 주요 사업 부문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고객사 가동률 정상화, 1a, 1b 비중 확대에 따른 High-K 전구체(Hf, Zr) 사용량 증가에 기인하며 특히 High-K 전구체는 SK하이닉스의 1a, 1b 비중 확대(4Q23 32% → 4Q24 51%)에 따라 구조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는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지분 70.6%)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사업을 준비중이며, 올해 황화리튬 사업에서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첫 해가 될 것으로 예상. 내년부터 가동률 상승에 따라 매출 성장 본격화가 기대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4,000원[신규]
시노펙스 (025320) 혈액투석 관련 제품 국산화 기대감 등에 급등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혈액투석 관련 제품 국산화 기대감이 크다고 언급. 이와 관련, 혈액투석 관련 제품 국산화를 위해 보건복지부 국책과제 사업을 수주하여 연구개발을 진행, 최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언급. 식약처 제조허가 또한 근시일 내 획득할 것으로 기대되어 상반기 내 판매가 개시될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아직 사업 시작전이기에 구체적인 실적 추정은 어려워 보수적으로 실적 전망치를 제시하나 동사는 2027년까지 국산화 대체율을 30%까지 확대하고자 목표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 또한 준비중이라고 언급.
더블유씨피 (393890) 마진율 방어 기대 속 신규 고객사 확보 전망 등에 소폭 상승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헝가리 신규 라인, 2025년 북미 생산기지 증설로 인해 향후 고정비 증가는 불가피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0% 중반대의 영업이익률은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동사의 주요 투자 포인트로는 안정적인 주요 고객사 보유와 신규 거래선 추가를 들 수 있다며, 주요 고객사인 삼성SDI는 프리미엄 고객 向 물량의 대응으로 전기차 시장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성을 유지 중에 있다고 밝힘. 또한, 북미 내 신규 생산기지의 건설을 통해 2027년까지 100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이로 인한 분리막 수요 증가는 동사의 수혜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FEoC의 확정으로 脫중국 기조 속 신규 고객사의 추가가 예정되어 있다며, 1H24 중으로 공급 대상 및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발표될 것이고, 본격적인 공급은 하반기부터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75,000원[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