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8:26~40 / 이디오피아 내시에게 복음을 전함
(행 8:26) 주의 사자가 빌립에게 말하여 이르되 일어나서 남쪽으로 향하여 예루살렘에서 가사로 내려가는 길까지 가라 하니 그 길은 광야라
(행 8:27) 일어나 가서 보니 에디오피아 사람 곧 에디오피아 여왕 간다게의 모든 국고를 맡은 관리인 내시가 예배하러 예루살렘에 왔다가
(행 8:28) 돌아가는데 수레를 타고 선지자 이사야의 글을 읽더라
(행 8:29) 성령이 빌립더러 이르시되 이 수레로 가까이 나아가라 하시거늘
(행 8:30) 빌립이 달려가서 선지자 이사야의 글 읽는 것을 듣고 말하되 읽는 것을 깨닫느냐
(행 8:31) 대답하되 지도해 주는 사람이 없으니 어찌 깨달을 수 있느냐 하고 빌립을 청하여 수레에 올라 같이 앉으라 하니라
(행 8:32) 읽는 성경 구절은 이것이니 일렀으되 그가 도살자에게로 가는 양과 같이 끌려갔고 털 깎는 자 앞에 있는 어린 양이 조용함과 같이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행 8:33) 그가 굴욕을 당했을 때 공정한 재판도 받지 못하였으니 누가 그의 세대를 말하리요 그의 생명이 땅에서 빼앗김이로다 하였거늘
(행 8:34) 그 내시가 빌립에게 말하되 청컨대 내가 묻노니 선지자가 이 말한 것이 누구를 가리킴이냐 자기를 가리킴이냐 타인을 가리킴이냐
(행 8:35) 빌립이 입을 열어 이 글에서 시작하여 예수를 가르쳐 복음을 전하니
(행 8:36) 길 가다가 물 있는 곳에 이르러 그 내시가 말하되 보라 물이 있으니 내가 침례를 받음에 무슨 거리낌이 있느냐
(행 8:37) (없음)
(행 8:38) 이에 명하여 수레를 멈추고 빌립과 내시가 둘 다 물에 내려가 빌립이 침례를 베풀고
(행 8:39) 둘이 물에서 올라올새 주의 영이 빌립을 이끌어간지라 내시는 기쁘게 길을 가므로 그를 다시 보지 못하니라
(행 8:40) 빌립은 아소도에 나타나 여러 성을 지나 다니며 복음을 전하고 가이사랴에 이르니라
본문은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복음을 전하고 빌립의 전도를 받은 내시의 믿음 성숙을 말합니다. 복음은 우리 누구나 해야 할 사명이고 믿음의 성숙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희망하는 것입니다.
26~28 주님의 천사가 빌립에게 말했습니다. “일어나 예루살렘에서 가사로 내려가는 남쪽 길로 가거라. 그 길은 광야 길이다.” 빌립이 일어나 가다가 길에서 에티오피아 사람 하나를 만났습니다. 그는 에티오피아의 여왕 간다게의 높은 관리로서, 여왕의 재정을 맡은 사람이었는데, 내시였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에 예배드리러 왔다가 본국으로 돌아가는 길이었습니다. 그는 마차에 앉아서 예언자 이사야의 글을 읽고 있었습니다.
29~30절 성령이 빌립에게 “저 마차로 가까이 가거라”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빌립이 달려가서 그 사람이 예언자 이사야의 글을 읽는 것을 듣고 “지금 읽고 있는 것을 이해하십니까?”라고 물었습니다.
빌립은 성령님이 지시(감동)하시는 대로 자신의 판단과 생각을 더하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성령님께서 하시는 대로 자신을 에티오피아 내시를 위한 성령님의 도구로 내놓은 것입니다. 이런 빌립과 같은 믿음의 사람들이 여전히 성령님의 감동과 말하심에 순종할 때 복음이 받아들여지고 믿음이 성숙하게 되는 것입니다.
30절에 빌립의 믿음을 판단할 수 있는 단어가 나오는데 '달려가서'라는 말입니다.
빌립은 성령님의 지시하심에 자신의 우선순위와 하고 있던 일들을 아무것도 거론하지 않고 즉시 순종합니다. 하나님은 '들음을 순종'으로 옮기는 사람을 기뻐하십니다.
믿음은 들음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믿음을 통해 기뻐하십니다.
(히11:6)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 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
우리도 언제든지 성령의 감동이 되면 지체 없이 순종하시기를 바랍니다.
31절 그는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는데 제가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는 빌립에게 마차에 올라와 자기 곁에 앉으라고 부탁했습니다.
에디오피아 내시의 일행을 멈춰 세운 빌립의 모습을 신하들이 에티오피아 내시에게 보고했을 것입니다. 빌립은 누가 봐도 에티오피아 내시와 격이 맞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에티오피아 내시와는 격을 맞출 삶의 수준은 아니었던 것입니다.
그럼에도 에디오피아 내시는 빌립의 낯설고 불쾌한 질문에 자신의 권력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빌립의 질문에 대하여 겸손하게 '믿음의 부족함'을 고백합니다.
하나님은 겸손한 자를 살리시고 높이신다는 것을 에티오피아 내시에게 일어난 일을 통해 다시 깨닫습니다. 만일 에티오피아 내시가 빌립의 외모만 보고 무시하고 자기의 나라로 돌아갔다면, 에티오피아 내시는 '복음'을 알지 못하고 복음의 외형과 형식만을 행하며 살아가는 종교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32~33 그가 읽던 성경 구절은 이것이었습니다. “그는 도살장으로 가는 양처럼 끌려갔다. 털을 깎는 사람 앞에 있는 양처럼 잠잠했으며, 입을 열지 않았다. 그는 모욕을 당하고 바른 재판을 받지 못했으니, 누가 감히 그의 후손에 대해 말할 수 있단 말인가? 이 땅 위에서 그의 삶은 끝났다.”는 내용입니다.
34~35 에티오피아 내시가 빌립에게 물었습니다. “이 말은 누구를 두고 한 말입니까? 예언자 자신을 두고 한 말입니까, 아니면 다른 사람을 두고 한 말입니까?”
빌립이 입을 열어 이 성경 구절로부터 시작해서 그 사람에게 예수님에 관한 복음을 전했습니다. 에티오피아 내시를 위한 빌립의 눈높이 믿음 교육이 있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에디오피아 내시의 믿음은 더욱 성숙해진 것입니다.
36절 그들이 길을 가다가 물이 있는 곳에 이르자 내시가 말했습니다.
“보십시오. 여기 물이 있습니다. 제가 세례를 받는 데 장애 될 만한 것이 있습니까?”에디오피아 내시는 지금까지 살면서 수없이 많은 물들을 보았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세례'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빌립과의 대화를 마치자마자 에티오피아 내시는 '믿음의 결단'을 바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에티오피아 내시가 갖게 되었을까요?
성령의 뜻에, 감동하심에 순종한 빌립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에티오피아 내시의 믿음의 성숙은 혼자의 힘으로 얻은 열매가 아닙니다.
빌립은 에티오피아 내시의 무지함에 대한 정확한 대답을 했습니다.
그리고 에티오피아 내시는 자신이 모른다는 부끄러움을 정직하게 고백했습니다.
성령은 에티오피아 내시의 믿음에 대한 정직한 열심을 빌립을 통해 깨닫도록 돕게 하신 것입니다.
에티오피아 내시의 믿음의 성숙은 한 사람의 감동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에티오피아 내시를 만나는 그 땅의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의 선한 영향력'으로 나타납니다.
에티오피아 내시에게 빌립과의 만남은 삶을 바꾸고 믿음의 우선순위를 바꾸는 잊지 못할 시간과 사람이 되었습니다.
롬10:14절은 '그런즉 그들이 믿지 아니하는 이를 어찌 부르리오. 듣지도 못한 이를 어찌 믿으리오. 전파하는 자가 없이 어찌 듣으리오'
바울은 믿음의 지도자들에 대한 중요함을 이 말씀 한 절로 결론을 지었습니다.
에티오피아 내시는 빌립을 평생을 두고 '믿음의 스승'으로 여기며 늘 마음으로 존경하며 믿음을 지켰을 것입니다.
우리도 에디오피아 내시처럼 우리의 믿음을 위해 수고한 영적 스승을 잊지 말고, 마음으로 배나 존경하며, 우리도 그러한 스승이 되기 위해 헌신하기를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