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puritans won't give up(청교도들은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May 13th 2010 | CAIRO
진보와 보수 사이에서 투쟁하는 문학 WHEN Richard Burton, a 19th-century British adventurer and linguist, published his translation of “The Thousand and One Nights” in 1885, many complained about the salacious scenes that previous bowdlerised editions had omitted. “We must remember that grossness and indecency…are matters of time and place,” wrote Mr Burton in his introduction, a year before he was knighted. “What is offensive in England is not so in Egypt.” 리차드 버튼이, 19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언어학자인 리차드 버튼이1895년에 그의 번역서인 ‘천일야화를’ 출판 했을 때, 이전에 삭제 판에서 누락이 되었던 외설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많은 불평들이 있었다. 그가 기사 작위를 받기 일년 전에 버튼은 책 소개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아주 무례하고 외설적인 것들에 대해서,, 우리는 기억 해야 합니다. 문제는 시간과 장소입니다” 영국에서 불쾌해 한 것이 이집트에서는 더 심하지 않다.
<단어> gross behaviour 아주 무례한 행위 bowdlerize [|baʊdləraɪz] [동사] (보통 못마땅함) (책・연극 등에서) 충격적인[불온한] 부분을 삭제하다
Some of today’s Egyptians are acting as yesterday’s British Victorians. A group of Islamist lawyers calling itself “Lawyers Without Shackles(족쇄)” is taking Egypt’s ministry of culture to court for issuing a new edition of the Nights that is more faithful to the 1835 Cairene(카이린:시민) manuscripts that form the cornerstone(초석) of the canonical version of this famously fluid text. 오늘날 이집트사람들은 과거의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의 사람들처럼 행동한다. 자신들을 가리켜 “제약 없는 변호사들” 이라고 하는 이슬람 변호사 그룹은 이집트 문화 장관을 법정에 세우려고 하고 있다. “천일야화”의 새로운 출판에 대해 이슈를 삼아서, 근데, 이 “천일야화” 는 유명한 부드러운 문체의 필사본의 초석이 된 형태로서, 1835 년의 카이로 시민의 원고 보다 원작에 더 충실 하고 있다.
As in the West, various versions are available in Egypt, with the most popular ones aimed at children. A new distinctly adult-oriented one quickly sold out its first print-run, and the activist lawyers are trying to ensure there is no second printing. They are appealing to Article 178 of Egypt’s penal code, which punishes “with imprisonment for a period of two years anyone who publishes literature or pictures offensive to public decency”. 서양 국가들처럼 이집트에서도 큰 인기를 가지고 아이들을 타깃으로 한 여러 버전이 가능하다. 첫 번째 프린트에서 새롭게 눈에 띄는 어른용 버전은 재빨리 다 팔고, 활동가 변호사들은 이 제 두 번 째 프린트는 없다고 확실히 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들은(활동가 변호사들은) 누구라도 풍기 문란에 반하는 책이나 그림을 출판 하는 누구라도 2년 동안 구금될 형벌이다 라고 하는 이집트의 178형벌 코드에 호소하고 있다.
Islamist Egyptians, going back to 1985, have tried to ban the bawdier editions of the Nights. Samia Mehrez, a professor at the American University of Cairo who recently wrote a book called “Egypt’s Culture Wars”, says the lawsuits serve a political rather than cultural purpose. “ 이슬람교 이집트인들은, 1985년으로 돌아가서, 외설적인 천일야화 출판을 금지하려고 애쓰고 있다. 카이로 에 있는 어메리칸 대학의 교수이고, 최근 이집트의 문화 전쟁이라 불리는 책을 쓴, Samia Mehrez는 이러한 소송은 문화적인 목적 보다는 정치적인 것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Cultural icons have been used as pawns in the political game between the state and the Islamists,” she says. “It is the Islamists’way of getting back at the state, by embarrassing it, for the violence it inflicts on them.” 문화 아이콘은 국가와 이슬람교도 간에 정치적 개임의 노리개로서 사용되어 왔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폭력으로 그들에게 괴로움을 주고, 그것을 부끄럽게 함으로써, 국가에 되 갚아 주려고 하는 것은 이슬람교도의 방식이다.
But it is not only Muslims who are twitchy. Yusef Zeidan, who won the Arabic Booker prize last year for his novel “Azazil”, is under attack from Christian activist lawyers emulating their Islamist peers also by citing Article 178. “Azazil”, meaning a devil, was an unlikely bestseller. 하지만, 초조한 것은 무슬림 뿐 만 아니다. Yusef Zeidan 이라는 문학상을 수상한 아랍계작가는, 그의 소설 “Azazil”(아자젤:희생양)으로 178 조항을 인용한 이슬람 변호사들의 흉내를 내고 있는 크리스찬 활동가 변호사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다. “Azazil” 은 악마라는 의미로서, 베스트 셀러가 될 것 같진 않다. <단어> “Azazil”(아자젤: 영어로 skip goat:쫒겨난염소 : 희생양등.. 성경에서 왔음)
Its theme is the fifth-century debate between Nestorius, Patriarch of Constantinople, and Cyril, Patriarch of Alexandria, over various arcane ecclesiastical and theological issues. Mr Zeidan, a Muslim scholar of religion, backs the Nestorians, depicting Cyril as fanatical and intolerant. This has upset some Coptic Christians, for whom Cyril is a revered founding father. 이것의 주제는 네스토리우스(시리아의 성직자), 콘스탄티노플의 족장, 그리고 카릴 (그리스도 전도자의 이름), 알렉산드리아의 족장, 여러 가지 신비로운 기독교와 신학적인 이슈들의 15세기 논쟁이다. Zeidan 씨는, 무슬림 종교의 연구가로서, 네스토리우스 을 되돌아 보며, 카릴 을 미치고 참을성 없는 인간으로써 묘사하였다. 이것은 카릴을 조상으로 모시는Coptic Christians 을 화나게 만들었다.
Gamal al-Ghitani, a leading novelist who edited the latest version of the Nights, has rallied fellow intellectuals in a defence of the tales in the literary magazine he runs, Akhbar al-Adab. Some think it preposterous to ban a work of literature that many in the rest of world admire as a shining symbol of Arab culture. 아라비안나이트의 가장 최신 버전을 편집한 선두적인 소설가인 Gamal al-Ghitani, 는 지적인 동료들과 이야기를 수호하기 위해 그가 운영하는 문학잡지인 Akhbar al-Adab 에서 힘을 한데 모았다. 어떤 이들은 생각한다. 그들이 많은 다른 세계에서 우러러 보는 가장 뛰어난 아랍문화의 상징의 문학적인 작업을 막고 있는 것은 터무니 없다고 생각한다.
The authorities, including the minister of culture, Farouk Hosni, have remained silent in both cases, thereby irking liberal campaigners. But last time he spoke out, against an attempt in 2000 to ban a novel, “Banquet for Seaweed”, by a Syrian, Haydar Haydar, some Egyptian students rioted in protest against the book, which contains irreverent allusions to the Koran by jocular atheists. 당국은, 문화부 장관인 Farouk Hosni를 포함하여 양쪽 케이스에 대해서 입을 다물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활동가들을 짜증나게 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2000년에 벌어진 “Banquet for Seaweed’ 에 대해 반대한 시도에 대해서는 반대 한다고 밝혔다. 이 책은 시리아인 하이다르 하이다르에 의해 저술된 책으로서, 이 책이 생각 없는 무신론자들에 의해 코란에 대한 불손한 암시를 하고 있다고 이집트 학생들이 반대 시위를 했었다.
Still, the publishers stopped printing the novel, and even classical authors such as Abu Nuwas, a medieval poet known for his homoerotic verse who fled to Egypt from Baghdad because of censorship, were no longer published. This time, Mr Hosni has kept mum but the second print run of “The Thousand and One Nights” is going ahead, pending a court verdict. Judging by recent trends, the Islamist lawyers’ case may be rejected. 아직, 출판업자들이 소설을 찍는 것을 멈추고 있다. 그리고 고전 작가 조차도 중세의 시로 알려진 그의 동성애 시, 검열 때문에 바그다드에서 이집트로 피신한 그의 동성애 시로 알려 진 AbuNuwas 같은 것은 더 이상 출판되지 않았다. Hosni씨(문화부장관)는 는 잠자코 있었다. 하지만, “천일야화” 의 두번째 인쇄는 계속 될 것이고, 법원의 평결을 기다릴 것이라고 했다. 현재의 트렌드에 대한 판단으로 볼 때, 이슬람 변호사들의 항의는 거부될 것이다. <단어> keep mum (…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다; 계속 조용히[잠자코 He kept mum about what he’d seen.
These controversies have arisen just as publishing in Egypt and elsewhere in the Arab world has perked up, partly thanks to enterprising independent publishers and to a growing Western interest in Arab literature. A spate of new books, many of them tackling taboos, have appeared. Some conservatives have grumbled, especially about a trend towards the sexually explicit, but nothing akin to the agitation against “Banquet for Seaweed” has occurred. Despite efforts by the Islamists to invoke the law, the tide in Egypt’s culture wars may slowly be turning against them. 이러한 논란들은 단지, 이집트와 아랍의 다른 장소에서 출판한 것이 화를 돋구어, 일어나게 된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아랍의 문화에 대해 서구의 흥미를 가져온 것에 대해 독립 출판업자들에게 감사해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책의 출판이 빈번한 것은, 그 책들 중에서 터부 시 되는 것에 대해서 솔직히 말하고, 나타내는데 있다. 보수주의자들은 투덜거려왔다, 특별히 성적으로 솔직한 것에 대해 나아가는 경향에 대해서, 하지만 아무것도 “Banquet for Seaweed” 에 대한 반대같이 흡사한 것은 일어 나지 않았다. 이슬람주의자들의 법을 들먹이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집트의 문화 전쟁의 흐름은 그들에 대항하여 조금씩 바꿀지 모른다.
<단어> grumble : 투덜거리다 |
|
첫댓글 “What is offensive in England is not so in Egypt.” 영국에서는 offensive 한 것이 이집트에서는 그렇지(so) 않다.
A group of Islamist lawyers calling itself “Lawyers Without Shackles(족쇄)” is taking Egypt’s ministry of culture to court for issuing a new edition of the Nights that is more faithful to the 1835 Cairene(카이린:시민) manuscripts ~.
자신들을 "Lawyers Without Shackles"라고 지칭하는 한 무리의 이슬람주의자 변호사들이 이집트의 문화부 를 1895년 카이로판 원고에 더 충실한 천일야화의 새로운 버젼을 발간(issue) 하였다는 것을 문제삼아 법정에 내세웠다.
serve a political rather than cultural purpose. 문화 보단 정치적 목적의 역할을 하다
still 여전히
poet 시인
but the second print run of “The Thousand and One Nights” is going ahead "천일야화" 2쇄가 진행되고 있다
perk up 활기를 되찾다.
thanks to ~ 덕분에, ~ 때문에
These controversies have arisen just as publishing in Egypt and elsewhere in the Arab world has perked up, partly thanks to enterprising independent publishers and to a growing Western interest in Arab literature.
이러한 논쟁들은 단지 이집트와 아랍세계의 기타 다른 곳들에서 출판이 다시 활성화 됨에 따라 발생하였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enterprising한 독립적인 출판업자들과 아랍문학에 대한 서구의 늘어나는 관심 덕분이기도 하다.
A spate of new books, many of them tackling taboos, have appeared. 새로운 책들이 등장하였고 이들중 상당수는 금기를 건드리고 있다.
해석하신 글에 보기 좋게 단어 부연설명도 해놓으시고, 본인께서 애매한 부분에는 노란색으로 명암처리도 해주시는게 인상깊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수고 하셨습니다.
아, 감사합니다. 부연 설명을 해 주셨네요~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