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행산(萬行山)은 만인이 다녀간다는 의미이지만 삼한시대의 어느 임금이 만행사에서 고승의 설법을 들으며 머물렀다는 전설과
또는 고려말 이성계가 고남산 아래 운봉 황산벌에서 왜장 아지발도를 물리친 전설등 임금과 관련되어 ☞ 천황봉(天皇峰)이라는 또다른 이름이 있다.
그래서 산 전체를 말할 때엔 만행산이라 하고 봉우리를 칭할 땐 천황봉이라 하는 게 맞을 듯하다.
일명 보현봉이라 불리기도 하여 ☞ 보현사(寶賢寺)와 임금이 된 뒤 다시 돌아와 3일 간 정치를 하고 돌아갔다는 귀정사(歸政寺)가 산아래에 있다.
말 나온 김에 하나 더 해보자.
산행 중 최고의 전망대인 상사바위(賞賜岩)는 상을 준다는 의미이고,임금에게 상소를 올린다는 상소(上疏)바위 그리고
상서롭다는 상서(祥瑞)바위,남녀가 서로 그리워하는 상사(相思)바위 등인데 재정립 돼야 하겠다.
남원에서는 지리산 다음으로 유명한데 그것은 어디에서 보아도 생김새가 삼각 뾰족봉으로 워낙 도드라져 특출하기 때문.
나는 몇 달 전 고남산정상에서 이 유별난 인상착의의 천황봉을 흠모한 적이 있었다.
산행코스: 용평제 주차장-보현사-큰골-큰재-상사바위-천황봉-너적골-용평제 주차장 (원점회귀,3시간 30분)




(11:38) 88고속도로 남원 I.C에서 내려 721번도로를 타고 보절면을 지나 보현사주차장에 닿는다
아래에 넓고 큰 대형주차장이 또있어 편리한데,진입도로 일부구간이 협소하여 대형버스는 조심조심...

보현사주차장도 꽤 넓어 궂은 날씨에 우리버스만 덩그렇다.

태고종 보현사가 안개속에 묻혀있다.

(11:40) 산행채비를 서두른 후 들머리를 잡아본다.(보현사주차장에서 20여 미터 아래쪽에 포장임도로 열려있다.)

(11:42) 안개비가 흩뿌리는 가운데 산길을 잡는다.

보현사주차장 20여 미터 아래의 들머리에 세워진 이정표.(상서바위는 우리가 올라갈 길이고,천황봉 방향은 300여 미터 아래의 내려올 길을 말한다.)

(11:47) 포장임도는 곧 비포장으로 바뀌고 우리는 안개속을 뚫고 약진을 한다.

(11:54) A팀과 B팀이 갈라지는 갈림길이다.

(11:54) A팀은 직진(상서바위 2.0km)으로 산길로 바로 붙고,B팀은 계속 임도(천황봉 2.7km)를 따라간다.

(12:00) 이정표는 아주 친절하게 많이 안내되어 있다.

아침까지 내린 비가 제법 되는 모양이다.

(12:29) 계곡으로 붙어 오르던 길은 우측 능선으로 갈아 타면서 본격적 된비알이 시작된다.
해동기와 아침까지 비가 내렸지만 산길은 뽀송뽀송하게 걷기가 좋고,양탄자를 깔아 놓은 것처럼 솔가리가 폭신하다.

(12:32) 오른쪽에 큰 바위를 만난다.
상서바위인가 하였는데 아니었다.

(12:34) 안개만 아니었다면 기막힌 전망대였을 것.

온통 뿌우연 안개천국이다.

안개속을 뚫고 간다.

(12:50) 주능에 올라서 만난 이정표.

(12:51) 주능에 올라서 식사할 자리를 찾는다.

주능에선 이정표가 가리키는 오른쪽 방향.

(13:25) 둘러앉아 식사를 하고...

(13:33) 상서바위에 도착하였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13:36) 상서바위에서의 이정표.

(13:36) 상사바위 팻말(☞ 산꾼화가 조규환님이 달았네.)

(13:38) 상사바위에서 조금 진행하면 갈림길이 나온다.(이 지점에서 우측 아래로 꺾어 내려간다.)

(13:55) B팀이 올라온 능선갈림길 지점.

(14:03) 이정표.

(14:18) 밧줄을 잡고 살금살금 오르면...

(14:20) 너적골로 하산할 갈림길.(정상에서 다시 200여 미터 백 하여 이 지점에서 내려가야 한다.)

(14:23) 나무계단을 밟고 정상을 오른다.

(14:25) 안개 자욱한 정상엔 조망제로.

정상의 이정표.

(14:28) 인증샷을 서두르고...

(14:31) 아까의 이 지점으로 U턴을 하여 너적골로 내려간다.
산길은 좀 가파르기도 하고 일부 너덜지대도 통과한다.

(14:54) 작은 천황봉에서 내려오는 갈림길을 만나면...

(15:04) 폭신한 너른 산길을 만난다.

(15:15) 저수지와 만나는 내려선 날머리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돌면 보현사가 보이고...(보현사와 약 300미터 지점)

(15:19) 아까 올라간 오른쪽 들머리와 보현사.

(15:21)

보현사 앞 계곡으로 내려서서 대강 땀을 씻고...

신발의 먼지도 털어낸다.
뒷풀이로 내어놓은 굴국밥은 진한 바다향을 담고 있다.
단촐한 식구들이 때이른 봄비를 뚫고 무탈한 산행을 이루었다.
A,B 팀으로 나뉘어진 산행이 안개를 뚫고 모두 정상을 밟았으니 한마음의 내공도 착착 쌓여간다.
오늘은 돌아가신 우리 아버지의 22주기 기일이다.
형제들도 모두 바쁜 사정들이 있어 불참이고,또한 제각각 다른 종교적 양심도 있어 우째 외로운 제사를 올린다.
그래서인가?
음복이 너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