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용 : |
천간론은 어렵다. 왜 어려운가하면 때로는 음양오행론에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병화가 있을 때 신금이 오면 칩거, 운둔, 침체라하고 신금이 있을 때 병화가 오면 활동력이 엄청커진다고 한다. 이런것은 오히려 이해하기가 쉽다. 왜냐하면 병화지년에 병신합수는 수태과이고 신금지년에 병신합수는 수불급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신금은 수기를 빨아들이고 주변을 끌어안고 가는 데 경금은 주변을 분리제거한다고 한다. 왜 그럴까? 일단 경금과 신금의 차이는 경금은 화기를 더 욱 필요로하는 금이고 신금은 화기를 이미 잔뜩 머금어 화기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금이다. 금의 가장 중요한 핵심 역할은 금화교역이다. 금화 교역은 수화의 운동의 핵심역할을 하는 이론으로서 여기에 경금이 존재한다. 그래서 땅이 열기를 받아들이는 복날이 모두 경일임을 기억하는 것이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금속에서 철은 핵자간의 결합에너지가 가장 강력한 물질임을 이해하는 것도 나름대로 도움을 준다.
그러하기에 경금은 열기를 계속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을목과 간합 극을 하여 목생화를 유도한다.화기를 더욱 받아 들이기 위하여~ 그러므로 경금은 을경합을 하여 금이되고 이는 금 자체의 기운을 강화시키는 분리에만 관심이 높다.
반대로 신금은 이미 화기가 충만한 재질로서 더 이상 화기를 받아들이는 일에는 관심이 없다. 그래서 신금은 인성을 버거워한다. 다만 화기를 이용하여 수화운동을 지속하는 일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금은 매우 이기적인 일간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병신합수는 인간적인 감정보다는 자기 목적하는 바에 대한 타산이 제일 우선하는 합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을경합을 하면 금이되고 병신합을 하면 수가 되는 기전을 생각하면 경금은 분리를 주장하고 신금이 체를 키우는 이치가 나타난다. 또한 신금이 물을 필요로 함도 자명하게 밝혀진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에도 신금은 음구역의 핵심 음간이다. 음의 역할은 극을 받아 생을 하는 역할이 긴요하다. 또한 음간은 생보다는 극을 선호한다. 신금이 을목을 극하는 극의 루트를 한바퀴 돌면 신금은 정화로 부터 극을 받고 이 때 을목과 계수가 살아난다. 결국 신금은 계수나 임수를 살려야 함이 드러난다. 결국 신금은 체를 살려야 함이 자기의 임무로 주어진다. 신금 그대여 경금의 도움을 받아 주변의 수기를 모두 당당하게 빨아들여 이를 안고 가고 싶어한다. 명분은 천지간에 음양운동을 주재하기위하여 ㅎㅎ
이러한 신금은 무토나 진토 또는 술토가 오면 철저하게 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면 이런한 경우 신금은 갑목이 와서 이를 소토하기 전까지는 스스로의 역할을 제한당한다. 우리는 이를 매금이라고 부른다. 무자년에 모든 신금은 매금되어 갑목월이 오기전까지는 스스로를 운둔하고 나타나지 못한다. 어떤 현상이 이러날지는 신금의 육신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 |
첫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고나갑니다. 감사합니다^^
경금과 신금의차이 확실히 짚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을경합을 하면 금이되고 병신합을 하면 수가 되는 기전을 생각하면 경금은 분리를 주장하고 신금이 체를 키우는 이치~~만물이 이치를 다시 깨달았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