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역잡아함경(別譯雜阿含經)
역자 미상
[일러두기]
1. 원문은 초송과 이송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게시판에서는 구별하지 않았다.
2. 원문에는 일정 수의 경들의 뒤에 주제어구를 붙여 놓았으나, 이 주제어구들은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여기서는 제시하지 않았다.
3. 원문에는 경의 제목이 없으나, 여기서는 주된 대화 참여자와 주제어구를 중심으로 제목을 붙였다.
[목차]
별역잡아함경 제1권
1. 초송(初誦) ①
1. 선생(善生) 존자의 두 가지 모습
2. 얼굴이 여위고 위덕이 없는 비구
3. 제바달다
4. 상수 비구, 세 가지 잘못된 법
5. 장로(長老) 난타(難陀)
6. 난타 비구가 닦는 행
7. 질사 비구, 마땅히 성냄과 교만을 끊어야 하느니라
8. 반사라자 비구, 항상 법의 요체를 설하고, 설할 것이 없으면 침묵한다
9. 나이 젊은 비구, 나이 젊은 비구가 일을 하지 않았다고 싫어하지 말라
10. 장로 비구, 혼자 앉고 혼자 다니는 것
11. 장로 승겸과 본이, 올 때에도 기뻐하지 않고 갈 적에도 근심하지 않으니
1-11. 주제어구
12. 존자 아난, 좋은 향기
13. 존자 우루빈라 가섭과 빈바사라 왕
14. 미다구 비구, 타표 비구를 비방하다
15. 타표 비구, 열반에 들다
16. 도적 앙굴마라
17. 천자, 때 아닌 출가
18. 바라문, 슬기로운 사람에게 땅을 파 보게 하다
19. 바구, 감관과 관련된 부끄러움
20. 바구, 괴로움의 씨앗과 더러움과 번뇌
21. 바구, 부스럼을 덮음
22. 큰 코끼리와 작은 코끼리의 연뿌리 먹음
12-22.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2권
1. 초송(初誦) ②
23. 마왕 파순, 목숨은 짧은 것
24, 마왕 파순, 모든 행은 무상하다
25, 마왕 파순, 5욕을 끊고 괴로움을 다하다
26. 마왕 파순, 염각(念覺)을 닦다
27. 마왕 파순, 마왕이 큰 돌을 부처님 처소까지 굴리다
28. 마왕 파순, 마왕이 독한 뱀의 몸으로 부처님의 방해하다
29. 마왕 파순, 나는 독한 화살을 이미 빼냈으니
30. 마왕 파순, 구덕 비구가 열반에 들다
31. 마왕 파순, 마왕과 세 딸이 세존께 따지다
32. 마왕 파순, 변화하여 온갖 형상을 짓다
23-32. 주제어구
33. 일곱 가지 행을 굳게 지니면 반드시 제석이 된다
34. 제석, 제석의 몸과 행적
35. 제석, 제석의 이름과 그 인연
36. 제석, 야차는 사람들의 성냄을 돕는 것
37. 제석, 성내지 않고 해치지 않는 사람
38. 제석, 아수라왕과의 대화, 인욕의 법
39. 제석, 아수라왕과의 대화, 참는 생이 출가의 법이다
40. 제석, 부처님을 공경하는 것이 출가의 법에 합당한 것이다
41. 제석, 구족계(具足戒)와 법을 예배하고 공경하는 것
42. 제석, 스님을 공경하는 것
33-42.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3권
1. 초송(初誦) ③
43. 제석, 정진
44. 제석, 모든 선인들의 집을 떠난 향기
45. 제석, 성냄 없애면
46. 제석, 청정한 계율을 받아 지니면
47. 제석, 정직한 일을 행하면
48. 제석, 탐냄ㆍ성냄ㆍ거짓말로 성현을 비방하면
49. 제석, 금시조의 알, 인자함과 참음
50. 제석, 참음이 가장 제일이다
51. 천인으로 태어난 인연
52. 외도의 제사와 부처님의 말씀
43-52. 주제어구
53. 바사닉왕, 세상에 작아도 가볍게 여길 수 없는 것이 네 가지가 있다
54. 바사닉왕, 태어나서 죽지 않는 것은 없다
55. 바사닉왕, 자기를 사랑하는 것과 자기룰 미워하는 것
56. 바사닉왕, 자기를 보호하는 것과 자기를 보호하지 못하는 것
57. 바사닉왕, 악마의 그물에 걸린 사람
58. 바사닉왕, 악마의 함정 속에 들어간 사람
59. 바사닉왕, 인색한 장자
60. 바사닉왕, 인색한 부자의 인연
61. 바사닉왕, 제사의 복과 부처님을 믿는 복
62. 바사닉왕, 견고한 감옥
53-62.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4권
1. 초송(初誦) ④
63. 아사세왕과 바사닉왕, 이기고 지는 일이 없다면
64. 아사세왕과 바사닉왕, 과보
65. 바사닉왕, 방일하지 않음
66. 바사닉왕, 방일하지 않음, 갖가지 비유
67. 바사닉왕, 세가지 법, 늙음ㆍ병ㆍ죽음
68. 바사닉왕, 어떤 사람에게 보시해야 하는가?
69. 바사닉왕, 네 종류의 사람
70. 바사닉왕, 늙음ㆍ병ㆍ죽음ㆍ쇠퇴의 제양을 벗어나는 법
71. 바사닉왕, 잘 관찰해서 알아야 하나니
72. 다섯 나라 왕, 5욕 가운데 어떤 것이 제일인가?
73. 바사닉왕, 음식의 양을 조절하다
63-73. 주제어구
74. 소년 아수라염, 부처님께 욕성를 퍼붓다
75. 소년 비의, 부처님께 욕성를 퍼붓다
76. 바라문 돌라사, 부처님께 욕성를 퍼붓다
77. 바라문 돌라사, 부처님께 욕성를 퍼붓고 흙을 던지다
78. 바라문 반려, 부처님께 반대하고자 하다
79. 무해라고 이름지은 까닭
80. 바라문 돌라사, 부처님께서 음식을 받지 않으신 까닭
81. 바사타 바라문의 딸의 남편인 바라문이 출가하다
82. 마가 바라문, 보시의 복을 묻다
83. 찰리바라비공 바라문, 청정한 도를 묻다
74-83.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5권
1. 초송(初誦) ⑤
84. 3명(明)의 바라문
85. 똥 무더기 굴속에서 사는 부부
86. 늙은 바라문, 죽을 때를 당해서도 의지할 데가 없다
87. 늙은 바라문, 보시를 닦아 가난한 이 도와 주면
88. 오답 소년, 공양의 복
89. 우비가 소년, 바른 제사와 보시
90. 우비가 소년, 제사와 보시
91. 불이 소년, 제가자의 법, 부지런함ㆍ감관을 지킴ㆍ선지식을 만남ㆍ이치대로 생활함, 믿율ㆍ보시ㆍ학문의 지혜
92. 바라문의 여인인 바사타와 남편 바라돌라사
93. 울주라돌라사 바라문, 어찌하여 비구는 홀로 고요함을 즐기시는가
94. 바라문과 장자들, 언설이 바로 성인의 깃발이라서
95. 천경 바라문, 보시의 과보
96. 바라문, 숲에 있으면서 숲이 없으니
97. 바라문, 어찌하여 홀로 고요히 앉아서
98. 바라문, 법의 물로 더러운 때 씻으려면
99. 바라문, 제사 음식과 보시
100. 바라돌라사 바라문, 묶은 머리털을 끊어 없애리
84-100. 주제어구
101. 범천왕, 모두가 다 법에 의지함을 스승으로 삼았으며
102. 범천왕, 만일 4념처를 닦는다면
103. 범천왕, 인간과 천상에서 가장 훌륭합니다
104. 법천왕, 아련야에 머무는 법
105. 네 명의 범신천, 열반을 따르고 순종하는 법
106. 범주천, 한량없는 법을 측량하려고 하면 그 범부만 해롭느니라
별역잡아함경 제6권
1. 초송(初誦) ⑥
107. 두 범천과 바가범, 어딜 가려고 하는가
108. 바가범의 삿된 견해, 항상함
109. 법천의 삿된 소견, 나보다 더 뛰어난 이는 없다
110. 마지막 제자 수발타라, 부처님의 열반
2. 이송(二誦) ①
111. 착한 행을 부지런히 닦은 것, 청정하게 법을 설하는 것
112. 비구가 보시를 받을 때의 마음가짐
113. 마하가섭, 참회하는 자는 착한 법이 더욱 자라나서 물러서지 않는다
114. 마하가섭, 만약 어떤 사람이 믿는 마음을 갖추었다면
115. 마하가섭, 가르치고 설법하는 법
116. 마하가섭, 두타행을 칭찬하는 것
117. 마하가섭, 부처님께서 가섭의 공덕의 존귀함을 칭찬하시다
118. 마하가섭과 아난, 비구니가 설법하는 가섭을 비난하다
119. 마하가섭, 아난의 꾸짖고, 부처님의 누더기 옷을 받은 일을 말하다
120. 사리불과 마하가섭과 외도, 죽고 태어남에 관한 외도의 삿된 견해를 말하다
121. 마하가섭, 계율의 양과 수행
111-121.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7권
2. 이송(二誦) ②
122. 재주 부리는 사람, 삿된 소견
123. 싸움을 잘하는 장수, 삿된 소견
124. 말을 잘 다루는 사람, 세 가지 일로 사람을 조복하다
125. 마을 주민 악성, 사람들이 나쁜 성질이라고 부른 까닭
126. 마을 주민 여의주정발, 사문은 차라리 더러운 똥을 만질지언정 보물은 만지지 말아야
127. 마을 주인 왕정발, 욕락을 받는 것 세 가지, 고행의 세 가지, 중도의 두 가지
128. 마을 주인 여성, 온갖 고통들은 애욕으로 말미암아 생긴다
129. 마을 주인 폐구성, 여러 집을 파괴하는 아홉 가지 인연
130. 마을 주인 폐구성, 중생의 세 종류, 밭과 물동이의 비유
131. 마을 주인 결집론자, 죄업에 관한 삿된 소견, 손톱 위의 흙과 대지의 흙의 비유
122-131.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8권
132. 천자, 아련야의 처소에 머물면서
133. 천자, 빈 숲 속에서도 방일하지 않으니
134. 천자, 바른 법으로 계를 깨끗이 지니면
135. 천자, 보시의 과보
136. 천자, 보시의 복의 과보
137. 천자, 친함과 벗
138. 천자, 적멸의 즐거움을 얻고 싶다면
139. 천자, 크게 두려워하는 마음 내어
140. 천자, 빠르게 흐르는 물을 잘 건너면
141. 천자, 잠깬 이와 잠자는 이, 더러운 티끌에 물듦과 청정함
142. 천자, 기뻐함과 괴로움, 적멸의 즐거움
143. 사람의 세 종류(1), 말의 비유
144. 사람의 세 종류(2), 말의 비유
145. 사람의 세 종류(3), 말의 비유
146. 사람의 제 종류(4), 말의 비유
147. 비구의 네 종류, 말의 비유
148. 네 종류의 장부, 말의 비유
149. 비구의 여덟 가지 허물, 말의 비유
150. 장부)가 탈 만한 것 여덟 가지, 말의 비유
151. 다섯 가지 덮개[5개], 의지하지 않음ㆍ명칭ㆍ공적
143-151. 주제어구
152. 석마남, 우바새의 법ㆍ믿음ㆍ계율ㆍ보시
153. 석마남, 우바세의 수다원ㆍ사다람ㆍ아나함
154. 석마남, 우바세의 행: 믿음ㆍ계행ㆍ희사, 자기와 남을 이롭게 하는 여덟 가지 행
155. 석마남, 만약 삼보를 생각하는 마음을 잃어버리면
156. 석마남, 6념처
157. 석마남, 5사, 믿음ㆍ계행ㆍ많이 들음ㆍ보시ㆍ지혜
158. 석마하남, 유학ㆍ무학의 계율ㆍ선정ㆍ지혜ㆍ해탈
159. 추수와 마하남, 무어지지 않는 법, 부처님ㆍ법ㆍ승가ㆍ계율
160. 마하남, 수다원을 얻었다고 수기하는 것
152-160.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9권
161. 천자, 적멸이 바로 즐거움이 되네
162. 천자, 선서께서는 큰 자비로써 그를 위안하고 가르쳐 인도하시니
163. 천자, 제 부끄러움과 남부끄러움을 잘 닦아서
164. 천자, 이미 자기의 법을 잘 알면
165. 천자, 법을 잘 다스리고 따르면서
166. 천자, 비구로서 아라한이 된 이는
167. 월천자, 달은 허공에 있으면서
168. 천자, 나는 어머니인 수갑이 없으며
169. 천신, 나에겐 기쁨과 번뇌가 없음을
170. 천자, 머리 위에 또한 불이 타더라도
171. 천자, 이 수레를 탈 수 있다면
172. 천자, 깊은 진흙 땅으로 된 그 속을
173. 천자, 언과 밖, 세계의 머리털 묶음
174. 천자, 비구는 의지하는 바가 없고
175. 천자, 정진하여 다섯 가지 일 버리면
176. 천자, 온갖 번뇌의 업을 다 없애면
177. 천자, 욕망을 즐김을 끊어 없애면
178. 천자, 안으로 몸과 생각 관찰한다면
179. 천자, 중생들의 행을 다 관찰하고 알다
180. 천자, 거센 흐름을 건너다
170-180. 주제어구
181. 천자, 세상은 항상 놀라고 두려워하며
182, 천자, 최상의 색과 화합의 수레에 머물면서
183. 천자, 누가 애욕을 버릴 수 있는가
184. 천신과 장사꾼 우바세, 깨어 있는 자에 대해서 잠들었다 칭하고
185. 회당의 신과 우바세, 애욕은 무상하다고 말하면서도
186. 수달다 장자, 부처님의 처소를 향하여 발을 들어 한 걸음 걷는 것의 공덕
187. 수달다 장자, 네 가지 무너지지 않는 믿음, 6념처
188. 우두머리 장자, 네 가지 무너지지 않는 믿음, 6념처
189. 천자, 그들은 모두 거센 흐름 건너고
181-189.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10권
190. 독자 범지, 몸과 나는 하나인가 다른 것인가
191. 독자 범지, 여기에서 죽은 후 저기에 태어나는가(1)
192. 독자 범지, 여기에서 죽은 후 저기에 태어나는가(2)
193. 독자 범지, 여기에서 죽은 후 저기에 태어나는가(3)
194. 독자 범지, 여기에서 죽은 후 저기에 태어나는가(4)
195. 독자 범지. 일체 중생이 나가 있는 것인가, 12연기법
196. 독자 범지, 뎔 가지 삿된 소견(1), 세존은 어떤 소견도 없다, 무생의 자리
197. 독자 범지, 뎔 가지 삿된 소견(2)
198. 독자 범지,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수행하다
190-198.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11권
199. 우척 범지, 세계는 끝이 있는가 없는가, 문지기의 비유
200. 존자 부나외 외도, 중생이 죽으면 다시는 태어남을 받지 않는다?
201. 아난과 외도, 나는 여기에서 죽으면 저기에 태어나는 것인가
202. 장자 수달다와 외도, 열 가지 삿된 견해
203. 장조 범지, 법을 인식한다는 것
204. 사라부 범지, 나의 지견이 저 석가보다 낫다?
205. 중소 범지, 부처님께 귀의하다
206. 외도들, 바라문의 세 가지 진리
207. 문타 범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끊다
208. 우척 범지, 나는 이미 가르침의 법을 여의었다?
209. 우척 범지, 어떻게 비구가 착한 법을 닦고 모으는가
210. 시복 범지, 배움과 배울 것 없는 이[무학]
211. 시복 범지, 업과 인연
212. 나리바력 범지, 원수ㆍ친한 벗ㆍ끊음ㆍ심한 괴로움이 없는 것
213. 수발타라
199-213.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12권
214. 광야 비구니와 마왕, 조용한 곳에 가서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215. 소마 비구니와 마왕, 남자나 여자의 모습이 만일 없다면
216. 시사교담미 비구니와 마왕, 번뇌가 없는 법에 편히 머무르나니
217. 연화색 비구니와 마왕, 두려움의 근본이 다했으니 두려운 것 없네
218. 석실 비구니와 마왕, 악마들은 삿된 소견 내어서 중생이 있다고 생각을 하지마는
219. 비리 비구니와 마왕, 색상은 뭇 인연이 일어나서 있는 것일 뿐
220. 비사야 비구니와 마왕, 쾌락과 욕망은 나에게는 전혀 필요치 않네
221. 절라 비구니와 마왕, 나는 지금 어디든 태어나려는 곳이 없다
222. 우파절라 비구니와 마왕, 나는 몸을 받을 곳이 전혀 없다
223. 동두 비구니와 마왕, 그 도를 나는 전혀 좋아하지 않는다
214-223. 주제어구
224. 존자 바기사, 둥근 달이 구름 없는 허공에 있으면서
225. 존자 바가사, 교진여를 칭찬하다
226. 존자 바기사, 사리불을 칭찬하다
227. 존자 바기사, 부처님과 스님들을 칭찬하다
228. 사리불과 존자 바기사, 참회, 몸과 입과 뜻에 허물이 없는가
229. 존자 바기사, 참회, 당장 마음에 온갖 허물과 악이 많다
230. 존자 바기사, 참회, 나의 마음이 불타고 있다
231. 천자, 수승한 이익ㆍ친한 벗ㆍ중생이 의지하는 것ㆍ저축하는 것
232. 천자, 사랑함ㆍ잘 가르침ㆍ지혜ㆍ비
233. 천자, 부처님ㆍ좋은 수레ㆍ정숙한 여인ㆍ효도하는 이
234. 천자, 밝음이 생김ㆍ무명이 소멸함ㆍ부처님께 공양함ㆍ스님들에게 던지는 종자
235. 천자, 6애욕과 세간, 6접촉과 존재, 6정[6근]과 괴로움
236. 천자, 마음[意]과 세간ㆍ괴로움ㆍ하나의 법ㆍ자애로움
237. 천자, 애욕과 세간, 해탈과 열반
238. 천자, 늙음ㆍ죽음과 세간, 애욕ㆍ법과 중생
239. 천자, 무명과 세간, 애착과 존재, 성냄과 중생, 아만과 당기
240. 천자, 믿음ㆍ법다운 착한 행ㆍ진실한 말ㆍ혜명(慧命)
241. 천자, 믿음ㆍ지혜ㆍ열반
242. 천자, 계울ㆍ믿음ㆍ지혜ㆍ복의 제물
243. 천자, 애욕으로 중생이 태어나고 의식이 온갖 티끌에 달려가니
244. 천자, 중생은 애욕으로부터 생겼고 마음과 의식이 달리면서 멈추질 않아서
245. 천자, 애욕이 중생을 내고 의식은 온갖 티끌로 달리면서
246, 천자, 애욕ㆍ목숨과 도, 청정함 행을 더럽히고 세간을 괴롭히는 것
247. 천자, 4음(陰)과 착함, 하나의 법
248. 천자, 게송, 애욕ㆍ글자ㆍ이름ㆍ문장
249. 천자, 당기ㆍ연기ㆍ임금ㆍ지아비로써 아는 것
별역잡아함경 제13권
250. 존자 바기사, 애욕은 싫어할 근심거리이다
251. 존자 바기사, 교만한 마음을 싫어함
252. 존자 바기사, 3명(明)을 찬탄하다
253. 존자 바기사, 말에 관한 네 구절의 법
254. 존자 바기사, 네 가지 독한 화살을 뽑아 버리신다는 비유
255. 존자 바기사, 니구타겁파 비구가 열반에 들다
256. 존자 바기사, 위대한 비구라고 칭하는 것
257. 존자 바기사, 존자의 열반과 부처님을 칭찬함
250-257. 주제어구
258. 극만 마납, 교만과 겸손ㆍ공경
259. 우갈제사리 바라문, 세 가지 칼과 세 가지 불
260. 승가라 바라문, 착한/착하지 못한 장부에 대하여 달을 관찰하는 것과 같다
261. 생청 바라문, 보시의 복
262. 늙은 바라문, 부처님께 옷을 공양하다
263. 늙은 바라문, 걸식하면 비구인가
264. 두라사 바라문, 부처님께서 밭을 가시는 것
265. 범천 비구의 어머니, 범천에 태어나려면
266. 바라문, 부처라고 이름한 연유
267. 연씨 바라문, 부처라는 이름
258-267. 주제어구
268. 화성 달뢰수, 바라문과 전타라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69. 천녀 구가니사, 입과 뜻으로 착한 일을 행하면서
270. 바라문, 무엇을 네 구절의 법을 연설한다고 하는가
271. 천녀 구가니사, 입과 뜻으로 착한 일을 행하면서
272. 천녀 졸라와 구가니사, 거룩한 법을 능히 칭찬하면서
273. 천자, 접촉하지 않을 곳엔 접촉하지 말 것이니
274. 천자, 짓는 업이 착하지 못하면
275. 천자, 말만을 가지고 설한 것으로는
276. 제바달다의 벗 구가리, 도끼가 그 입 속에 있어서
277. 천자, 없신여김ㆍ공경함ㆍ공경하지 않음
278. 천자, 공경하고 순종함ㆍ깔보고 능멸함ㆍ유치하고 어리석은 유희
279. 천자, 거친 생각과 미세한 생각이 일어나려고 하면
280. 천자, 이름ㆍ재물과 보배ㆍ명예ㆍ친한 벗을 얻는 것
281. 천자, 지견이 밝게 되고 재물과 이익을 모으는 것
282. 구누라와 여섯 천녀, 어떤 공덕을 지었기에 그러한 곳에 태어나게 되었는가
283. 천자, 성냄ㆍ탐욕ㆍ무명ㆍ사라짐
284. 천자, 탐욕의 성품은 본래 무상하나니
285. 천자, 착한 이와 머루르고 친근하며 그에게 법을 받아야
286. 천자, 탐욕보다 무서운 것은 더 없나니
287. 여덟 천인, 부처님께서는 가시가 다리를 찔러서 매우 고통스러웠지만
278-287. 주제어구
288. 천자, 애욕ㆍ성냄ㆍ교만
289. 천자, 복의 무더기는 불이 태우지 못하고
290. 천자, 믿음은 먼 길 가는 양식이며
291, 천자, 즐거움과 괴로움, 사람이 생각과 바람을 버린다면
292. 천자, 온갖 어려움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어려운가
293. 천자, 업으로부터 수레가 생겼고 마음이 그것을 운전하고 가나니
294. 천자, 좋지 않은 것을 좋다고 생각하며
295. 천자, 이름과 물질이 영영 없어져서 그 이름이 온갖 곳을 여읜다면
296. 천자, 계율ㆍ고만함ㆍ마음의 생각ㆍ산한한 생각
297. 천자, 하늘에 태어나고자 하는 이는
289-297.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98. 인다라 천자, 자기 몸의 수명을 탐내고 집착하면
299. 석가 천자, 온갖 괴로움에 시달리면 슬기로운 이는 불쌍히 여겨서
300. 최승장자 천자, 늘 배우고 좋은 게송 말하며
301. 시비 천자, 성현과 함께 머무르며 어진 이에게 바른 법을 물으면
302. 월자재 천자, 비록 선정을 닦아도 오히려 생사의 그물에 있지만
303. 비뉴 천자, 부처님을 친근하는 이는 기쁨을 얻지 않는 자 없나니
304. 반사라 천자, 비록 온갖 업무에 처해 있더라도 법을 얻을 수 있나니
305. 수시마 천자, 사리불을 칭찬하다
306. 적마 천자, 중생계의 끝이 곧 열반이다
307. 외도 6사(師)의 무리였던 여섯 명의 천자, 고행을 비난하고 법을 찬양하다
298-307. 주제어구
308. 마가 천자, 성냄 그 하나의 법만 없애면
309. 마가 천자, 무엇이 첫째 가는 밝은 비춤인가
310. 담마시 천자, 물을 건널 때 바닥까지 밟음으로써 저 언덕에 도달하였네
311. 다라건타 천자, 5욕의 수음ㆍ5개ㆍ5근ㆍ5분의 몸
312. 가묵 천자, 가장 하기 어려운 일
313. 가묵 천자, 애욕에서 나의 마음에 이르기까지, 나무의 비유
314. 전단 천자, 보시와 지계
315. 전단 천자, 계율ㆍ선정ㆍ지혜, 정진
316. 가섭 천자, 일체의 존재를 여의어서
317. 가섭 천자, 모든 법이 공함을 깊이 아나니
308-317. 주제어구
318. 굴묵 야차, 뜻과 염(念)을 항상 잊지 않고 바른 생각으로 편히 잡니다
319. 존자 상호, 저 언덕에 도달하는 이는
320. 귀자모와 아들 빈가라, 도인께서 경을 외우시니, 너는 울지 말라
321. 야차의 어머니와 아들과 딸, 너희들은 지금 반드시 울음소리를 그쳐야 한다
322. 마니행 야차와 여인, 애욕은 깨끗함이 아니니 세간을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323. 전모 야차, 애욕, 나무의 비유
324. 우바이와 그 아들, 어찌하여 다시 또 와서 불 속에 뛰어들려고 하느냐
325. 광야 야차, 믿음ㆍ진실한 말ㆍ지혜ㆍ정진ㆍ보시
326. 야차와 비리 비구니, 사람들이 비구니에게 보시하게 하다
327. 야차와 백정 비구니, 사람들이 비구니에게 보시하게 하다
328. 칠악 야차와 설산 야차, 6입처가 연못의 흐름이 소용돌이 치는 곳이며
329. 위해 야차와 부해 야차과 사리불, 바른 마음은 큰 산과 같으니
318-329. 주제어구
별역잡아함경 제16권
330. 파리사가 비구, 5음은 무상하고 괴로운 것이며, 나가 아니고 내 것도 아니다
331. 윤회, 눈물의 양, 5음은 무상하고 괴로운 것이며, 나가 아니고 내 것도 아니다
332. 윤회, 어미에게 먹은 젖의 양, 항하의 물의 비유
333. 윤회, 과거의 어머니의 수, 물과 나무로 만든 셈대로 세는 것의 비유
334. 윤회, 과거의 어머니의 수, 콩알로 세는 것의 비유
335. 윤회, 세상에서 쾌락을 좋아하는 무리들이 최상의 즐거움을 누리는 것을 보면
336. 윤회, 중생들이 심한 고통을 받으면서 근심하고 괴로워하는 걸 보면
337. 윤회, 어떤 사람이 놀래어 몸의 털이 곤두서는 것을 보면
338. 윤회, 전생의 몸들
339. 바라문, 미래에 마땅히 몇 분의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시게 되는가
340. 윤회, 어떤 사람의 과거의 백골들을 쌓아 무더기로 만든다면
330-340. 주제어구
341. 윤회, 겁의 장구함의 비유(1), 쇠로 만든 성
342. 윤회, 겁의 장구함의 비유(2), 견고한 돌
343. 윤회, 겁의 장구함의 비유(3), 기억
344. 윤회, 생사가 장구해서 끝을 알기가 어렵다
345. 윤회, 다른 중생의 몸이 되지 않은 적이 없다
346. 윤회, 생사의 법과 생사의 장구함, 물거품의 비유
347. 윤회, 한량없는 세계에 가득 찬 중생들과 한량없는 세계도 모두 텅 비게 된다
348. 윤회, 공중에 던진 막대기의 비유
349. 윤회, 다섯 개의 바퀴살이 잇는 수레바퀴의 비유
350. 무상, 생멸마저 없어지면 적멸하여 즐거움이 된다
341-350. 주제어구
351. 천시과 비구, 그대는 지금 어찌하여 근심하고 있는가
352. 천신과 비구, 어찌하여 잠만 자고 있는가
353. 천신과 비구, 애욕은 추악하게 타 버린 산과 같아서
354. 천신과 비구, 애욕과 청정함
355. 천신과 비구, 한낮의 태양의 뜨거움
356. 아나율과 그 아내
357. 천신과 비구, 모두 다 버리고 여의어서
358. 천신과 비구, 어찌하여 꽃의 향기를 훔칩니까
359. 십력가섭, 사냥꾼에게 설법하다
360. 천신과 발기자, 나는 지금 버려진 나무처럼
361. 천신과 비구, 보리의 즐거움을 구하게 하다
362. 천신, 용이 비구를 깨우치다
363. 천신, 비구들을 깨우치다
364. 천신, 장자의 며느리와 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