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성적, 높은 연봉 보다 더 중요한 것
요즘 학생들을 보면 끝도 없이 공부 또 공부에 사로잡혀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부모님도 아이들의 성적에 너무 과도하게 집착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공부하는 데에 집착이 생기는 것은 공부를 못하면 좋은 대학을 못갈 것 같고, 좋은 대학을 못가면 좋은 직장에 취직을 못할 것 같고, 좋은 직장에 취직을 못하면 돈을 많이 못 벌 것 같고, 돈을 많이 못 벌면 행복하지 못할 것이라고 공식처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공부 잘하는 사람이 좋은 대학 가고 좋은 직장 얻는 것은 확률입니다. 물론 좋은 대학 나오면 좋은 직장에 취직 할 것이고 돈을 좀 더 벌 확률이 높아질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대그룹에 다니는 사람들이나 교수, 의사, 판사가 모두 행복할까요? 사실 이것은 행복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돈과 행복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상관관계가 있지는 않아 보입니다.
우리가 그동안 해 왔던 착각을 깨야 할 때입니다. 좋은 성적, 좋은 대학, 좋은 직장, 높은 연봉이 곧 행복한 삶으로 이어진다고 여기는 보편적인 편견을 깨야 하는 것이지요. 우리 아이들에게도 좋은 성적과 좋은 대학과 직장과 연봉만을 원하고 주입시킬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어떤 삶을 누리고 싶은지, 어떤 것을 할 때 가장 행복한지, 공부를 한다면 좋은 성적과 직장과 연봉을 얻고자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먼저 물어야 하지 않을까요?
어떤 이들은 학창시절을 다 바쳐가며 부모님이 원하는대로 다 이루었는데, 이루고 보니 그 다음에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르겠다고 말하곤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을 지혜롭게 키우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먼저 깨어있어야 합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바라는 것이 좋은 대학과 좋은 직장, 높은 연봉인가요? 혹시 나도 자식에게 그것을 원하고 강요한 것은 아닌가 살펴봐야 합니다. 좋은 대학, 높은 연봉은 삶의 기쁨과 행복, 평화와 나눔 같은 본질적인 삶의 목표를 위한 하나의 작은 방편 정도는 될 수 있겠지요. 보다 많은 이들과 함께 나누는 세상을 이루기 위한 방편으로 열심히 돈을 벌 수는 있겠지요. 그러나 그 방법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아이들에게 나중에 성공하고 나면 그 때가면 행복해 진다고, 또 돈을 벌고 나서 그 때 나누라고 말하지 마세요. 어릴 때 아직 성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먼저 충분히 행복하게 사는 법, 기쁨을 느끼는 법, 작은 행복의 감각을 만끽하는 방법, 이웃과 나누는 기쁨 등을 경험하고 느끼고 누릴 줄 아는 아이로 키워가야 합니다. 어릴 때, 아무것도 없을 때, 무언가를 이루지 않았을 때, 그저 지금 이대로의 나 자신만을 가지고도 충분히 행복하고, 기쁘고, 즐거울 수 있다는 사실을 온 존재로써 먼저 누릴 수 있어야 커서도 행복을 누릴 줄 아는 어른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나중에 행복하려면 지금의 고통은 감수해야 한다고 주입하고 있지는 않았는지요? 지금 행복한 아이들만이 행복한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먼저 부모가 행복해져야 합니다. 물질적 성공이나 외부에서 무언가를 더 가져오지 않더라도, 부모님이라는 존재 자체가 이미 아이에게 충분히 행복하고 풍요로울 수 있다면, 그 아이는 훗날 성공할 필요도 없이, 지금 이 자리에서 이미 성공한 아이로 키우고 있는 것일 겁니다. 우리의 아이를 미래가 아닌 지금 행복하고, 지금 만족하고, 지금 성공한 사람으로 키우세요.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중에서
첫댓글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_()()()_
감사합니다. 지금이자리에서 행복을 만끽하겠읍니다
대자대비 천수천안 ^^ _()_
저도 제 딸이 행복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제 딸이 어떻게 하면 행복할까 함께 고민하고 풀어나가려고 하는데
왠지 공부를 조금 더 잘해놓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 올라옵니다.
지금 행복하고 지금 만족하고 지금 성공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_()_
감사 합니다. 사랑 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_()_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