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 解 | solution
해는 해결, 풀이, 답의 뜻이고, 방정식에서 풀어 구한 미지수의 값을 뜻한다.
근 | 根 | root
근은 근원, 근본 등에 쓰이는 한자로 뿌리, 기원의 뜻이다. 근 또한 방정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을 뜻한다.
해와 근의 차이
해와 근은 비슷한 용어이나, 해가 좀더 일반적인 용어이고, 근은 보통 ”다항식에서의 해”로, 해보다 좁은 의미로 쓰인다. 예를 들어 부등식에서의 미지수를 구할 때, 근이라고 하기 보다는 해라고 한다.
해1
명사
1.
아침에 동쪽에서 떠서 저녁에 서쪽으로 질 때까지 하늘에서 빛과 열을 내어 지구를 밝고 따뜻하게 하는, 크고 둥근 천체. 태양(太陽).
"∼가 뜨다"
2.
태양에서 나오는 빛이나 열.
"이 방은 오후에 ∼가 든다"
3.
날이 밝아서 어두워질 때까지의 동안.
"∼가 짧다"
4.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동안. 연(年).
"∼가 바뀌다"
5.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시간의 단위.
"한 ∼"
관련 구문
해가 길다
하루의 낮 시간이 밤 시간보다 길다.
해가 들다
햇볕이 안으로 비치어 들다. "해가 잘 드는 방"
해가 서쪽에서 뜨다
있을 수 없는 일의 비유. "네가 그런 일을 해내면 해가 서쪽에서 뜨겠다"
해가 짧다
하루의 낮 시간이 밤 시간보다 짧다.
해(가) 있다
해가 지기 전, 낮에 해가 하늘에 떠 있는 때를 이르는 말. "해 있을 때 김매기를 끝내야 될 텐데"
해(가) 지다
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다. 해(가) 떨어지다.
해1, 海
명사
우리나라의 성(姓)의 하나. 본관은 김해(金海)·영암(靈巖) 등이 현존함.
해2
명사
경북 방언
⇒혀① 경북 방언.
해2, 垓
수사
십진급수의 한 단위. 경(京)의 만 배. 자(秭)의 만 분의 일임. 곧, 10²⁰.
해3
명사
충남 방언
⇒회(蛔) 충남 방언.강-회1, -蛔
/-회/-훼/
명사
똥에 섞이지 않고 따로 나오는 회충.
— 蛔는 '회충 회'라는 한자로, '회충(蛔蟲)'을 뜻한다. '거위 회'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거위'는 Goose가 아닌 회충의 순우리말 표현이다
해4
명사
전남·경상 방언
https://www.google.com/search?q=%E8%86%BE&client=ms-android-ee-uk-revc&sca_esv=c640f05120339334&source=android-browser&sxsrf=ADLYWIJRiH1lTW0A8yZBFVyevIEyF6RaLQ%3A1732225754272&ei=2qo_Z9ymEJythbIP4cb00AM&oq=%E8%86%BE&gs_lp=EhNtb2JpbGUtZ3dzLXdpei1zZXJwIgPohr4yBRAAGIAEMgUQABiABDIFEAAYgAQyBRAAGIAEMgQQABgeMggQABiABBiiBEi5JFD5CViBH3ABeACQAQCYAZ0BoAHUAqoBAzIuMbgBA8gBAPgBAZgCBKACgQOoAg_CAgkQABiwAxgHGB7CAgcQABiwAxgewgIEECMYJ8ICBxAjGCcY6gKYAwuIBgGQBhGSBwMxLjOgB9cP&sclient=mobile-gws-wiz-serp
⇒회(膾) 전남·경상 방언.
해5
명사
주로 `내', `네', `뉘(누구)', `우리' 아래에 쓰이어, 소유물임을 나타내는 말. 것.
"이건 내 ∼다"
해7
부사옛말
많이. 흔히.
"方國이 해 모ᄃᆞ나"
-해, 海
접미사
`바다', 특히 `대양(大洋)의 일부를 이루거나 육지로 둘러싸인 바다'를 나타내는 말.
"다도∼"
해-1
접두사 [일부 형용사 앞에 붙어 ]
`하얗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맑다"
해-1, 該
접두사
한자어 위에 쓰이어, `바로 그', `해당하는 그'의 뜻을 나타내는 말.
"∼사건"
해-2
접두사
`그 해에 새로 난 것'을 뜻하는 말. 다음에 오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하거나 첫 자음이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일 때 붙음.
"∼깍두기"
해ː1, 亥
명사
1.
민속
12지의 마지막. 돼지를 상징함.
을해(乙亥)는 60간지 중 12번째에 속하고, '을'은 청이므로 '파란 돼지의 해'에 속한다. 납음은 산두화(山頭火)로 분류한다.
돼지는 중국의 원소에서 이름을 따온 다섯 종류가 있다. 순서는 금속, 물, 목재, 불, 지구 순이다. 이것들은 천간에 해당합니다
the 일본 황도대[1] 그리고. 티베트 황도대,[2] 돼지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멧돼지. in the 다이 조디악, 돼지는 다음으로 대체됩니다. 코끼리.[3] in the 구룽 황도대, 돼지는 다음으로 대체됩니다. 사슴.[4] 말레이 황도대는 돼지를 다음과 같이 대체합니다. 거북이.[5]
따라서 일반적으로 감정 및 직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소(천체 줄기라고 함)와 함께 동물 황도대(지구 줄기라고 함)도 주기를 따른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각 원소는 동일한 지구 줄기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돼지의 자연 요소는 물입니다
연도별로 보면 12의 주기는 목성의 12년 주기에 해당한다.
https://baike.baidu.com/item/%E8%A7%A3%E5%8D%A6/8789360
https://baike.baidu.com/pkgSubpage/pages/starMap?nodeId=bad7cf356a82cd09e5e33324&lemmaTitle=%E8%A7%A3%E5%8D%A6&lemmaId=8789360&starMapFrom=lemma_relation_starMap&fromModule=lemma_starMap&_swebfr=220011
2.
`해방(亥方)'의 준말.
3.
`해시(亥時)'의 준말.
해ː1, 解
명사
`해괘(解卦)'의 준말.
해ː2, 害
명사
곤란한 지경이나 손상.
"∼가 있다"
해ː2, 解
명사
1.
수학
방정식이나 부등식을 성립시키는 미지수의 값. 또는, 미분 방정식 등을 만족시키는 함수.
2.
주어진 문제의 해답.
3.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의혹이나 비난에 대하여 답하기 위한 것.
해ː3, 解
명사
우리나라의 성(姓)의 하나. 지금은 현존하지 않음.
해ː6
부사
1.
기운 없이 멋쩍게 입을 벌리는 모양.
"입을 ∼ 벌리고 바라보다"
2.
입을 조금 열어 속없이 방그레 웃는 모양. 또는, 그 소리. [큰말] 헤.
"∼ 웃다"
해ː8
`하여'(`하다'의 어간 `하'와 여 불규칙 활용 어미 `여')가 준 말.
"이렇게 ∼라"
한자로는 태양(太陽)이라 한다. 질량은 태양계 총 질량의 99%를 차지하여 행성의 운동을 지배하고 또 스스로의 중력으로 고온의 기체로 하여금 일정한 크기로 뭉쳐 있게 한다. 맨눈으로 보이는 표면인 광구(光球)는 약 400㎞ 두께의 층으로 약 5,800°K의 온도를 가진다.
양을 가리키는 순우리말.
부여와 고구려의 왕족의 성씨이자 태양을 뜻한다는 해(解)가 지금껏 전해져서 태양을 가리키는 순우리말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해(解)는 본래 상고음으로 *kˤreʔ로 읽으며 중고음으로는 kɛ, hɛ, kai(객가음, 한음), hǎi(민난음), ge(오음)라고 발음된다. 위의 한자음들은 삼국시대 당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 등에서 사용된 한자음이다.
한국 국문학계에는 본래 고대 한국어에는 ㅎ(h)로 시작하는 음가가 없었으므로 중세 한국어와 현대 한국어에서 ㅎ(h)로 시작하는 발음은 본래 고대 한국어에서 ㄱ(k)로 발음되었다가 나중에 발음이 변화한 것이라는 주장[1]이 존재한다. ㅎ 말음 체언 문서 참고. 이런 음운변화를 생각하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주장이다. 다만 이 주장이 정설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한국어 해[日]가 고대 한국어에서 ㄱ(k)로 시작하는 음절로 발음되었다는 확실한 증거가 발견되어야 한다.
흰색과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
동화에서는 햇님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햇님 달님이라는 제목의 동화도 있다. 그 밖에 잘 웃는 사람들을 햇님이라는 별명도 부르기도 하는데, 아이돌 쪽에서는 공원소녀의 서경이 햇님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2]
12번째 지지로서, 배속된 상징 동물은 돼지이다.
https://namu.wiki/w/%ED%95%B4%EC%A1%B1
일(日)자가 환하고 밝고 빛나는 느낌을 지닌 글자에만 들어있는 것은
아니다. 어둡다는 뜻을 가진 암(暗)자에도 일(日)이 들어있는데
전기가 없던 옛날에는 해가 져서 어두워지면 자그마한 소리들까지 들리게
되니 어둠은 소리가 살아나는 시간이다.
https://m.blog.naver.com/eternity9us/221504224653
'차양'을 뜻하는 제주도 사투리.
어원: 한자 太陽
태양계의 중심이 되는 항성. (비유) 매우 소중한 것과 희망을 주는 무엇을 비유하는 말.
태양처럼 뜨겁게 사랑하다.
그는 태양처럼 모든 이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해(日)는 태양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해(年)는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동안을 세는 단위이다.
해는 박두진이 지은 시이다.
해(垓, 1020, 100,000,000,000,000,000,000)는 경(京, 1016, 10,000,000,000,000,000)의 만 배가 되는 수이다.
해(解)는 한국의 성씨이다.
해(解)는 방정식이나 부등식을 성립하게 하는 미지수의 값을 말한다.
해(奚)는 동호계의 부족이다.
해(亥)는 지지의 열두째이다.
해(害)는 불교 용어로, 다른 이를 핍박하는 마음작용이다.
해(海)는 바다를 뜻하는 한자어이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igoak&logNo=22276129953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해 일을 부수로 사용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