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더불어 행복한 공간을 꿈꾸며
우리, 지리합시다!
지난 여름은 무던히도 모질었습니다. 세계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더웠다고 하지요. 우리 동료 선생님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더 뜨겁게 끓었나 봅니다. 내가 거기에 있었을 수도... 우리는 한마음으로 뜨거운 아스팔트 위 하나의 점이 되었습니다. 깊은 애도의 마음으로 끝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편히 쉬세요.
하나의 점은 변화의 물결이 되어 여기저기 흐르며 다시금 희망을 찾고 있습니다. 지리의 희망은 더불어 행복한 공간입니다. ‘더불어 행복한 공간을 꿈꾸며’는 전국지리교사모임의 슬로건이자 아이덴티티이지요. 전지모의 처음, 선배 선생님들은 어떤 마음으로 ‘더불어 행복한 공간을 꿈꾸며’라는 슬로건을 지으셨을까요? 그 마음이 지난 여름을 보내며 우리의 마음속에도 뚜렷해지는 것 같습니다.
아우라지 이번 가을호의 주제는 ‘지리-라이팅(Geography-lighting)’입니다. ‘지리’의 가치를 알리고, ‘지리’로 세상을 밝히자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모두 지리-라이팅을 하고 있지요. 내가 잘 하고 있는 걸까? 다른 선생님의 이야기가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여기, 전지모의 지리-라이팅 노하우를 담아 보았습니다. 지리-라이팅의 목적은 결국 행복한 삶입니다. 나의 삶이 세상과, 다른 사람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고, 이해하며,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가치를 통해 행복한 삶을 꾸려 나갈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전지모는 올해 회원 유지 기간을 6개월 또는 1년 단위로 모두 변경했고, 그렇지만 작년에 비해 회원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새로운 시도가 많아 다소 염려가 되었던 '전국중고등학생 지리책 읽기 및 지리 사진 대회'도 많은 관심과 참여로 자리를 잘 잡았습니다. 늘 응원해 주시고, 함께 해 주신 전지모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앞으로도 소통과 연대로 선생님과 지리를 함께 하겠습니다.
지리-라이팅, 파이팅!
2023. 10.
전국지리교사모임 공동회장 이용훈
목차
지리-라이팅
놀이
도시건설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미래도시 만들기 - 박준희(아름고)
독도 보드게임 개발 이야기: 강치를 찾아라! - 이용훈(한광여자고)
사진
지리사진전 교내대회를 하면서 - 장양기(인천인일여자고)
독서
단편소설, 서평, 기사, 사진까지 알록달록 ‘다문화’ 작품에 도전하기 – 박종희(대전두리중)
홍보
지리크리에이터와 지리교육의 저변 확대 - 지리 콘텐츠 제작으로 교육과정 박람회 준비하기 – 강민찬(광혜원고)
캠프
강원지리교육연구회 강원학생 지리캠프 – 김영훈(신철원고)
제주 청소년 지리 캠프를 소개합니다. - 고진희(신성여자고)
가치
행복지리교육: 지리를 통해 ‘행복’을 배우고 만들기 – 심승희(서울대 지리교육과 교수)
인류세, 지리학, 지리교육 - 박정재(서울대 지리학과 교수)
지리아이덴티티
고교학점제 속 지리교사로 살아남기
고교학점제 속 지리교사로 살아남기(6) - 지리-라이팅이란? - 서태동(전남대사대부고)
지리교사로 산다는 것
특성화고에서 지리 살아남기 - 김민숙(동해상업고)
예비교사 이야기
2023년 교육실습 회고록 – 김도현(공주대 지리교육과 3학년)
2023년 교육 실습 지도 교사 후기 - 이재언(한솔고)
미디어에 지리 끼얹기
'우리'와 '타자'의 경계를 넘어서 -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한준호(세종국제고)
우리 지역 모임을 소개합니다
전북지리교사모임, 지리하다 - 윤대성(전주솔내고)
2023 유난히 뜨거웠던 여름 - 김소형(전주중앙여자고)
*<아우라지>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서 교과모임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아우라지 목차(2015~)
https://bit.ly/3IC6j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