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이후 풍전등화에 놓일 윤석열 정권
총선을 9일 남겨두고 국민의힘 출마자들이 공개적으로 윤석열을 비판하고 있다. 총선의 패배가 눈앞에 보이자 그동안 꾹 참았던 말을 마구 쏟아내고 있다. 그 대상은 윤석열이다.
유승민은 윤석열에게 "앞으로는 당정 관계든, 정책이든, 대통령이 국민을 대하는 자세든 모든 것을 다 바꾸어 가야 한다"며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 진짜 좋은 일 하려고 대통령이 된 것 아닌가. 그런 점에서 진짜 좀 반성하셨으면 좋겠다"라고 했고,
경남 김해을 후보인 조해진은 "이대로 가면 국민의 참패고, 대한민국은 망한다"며 윤 대통령의 사과와 함께 내각 총사퇴를 요구했고,
서울 마포을 함운경 후보는 이날 윤 대통령의 의대 증원 대국민 담화에 대해 "한마디로 쇠귀에 경 읽기"라고 비판하면서 윤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했다.
조해진은 험지 출마를 요구받고 밀양·의령·함안·창녕 지역구를 넘겨주고 당이 원하는 대로 김해을에 출마했다. 아무런 연고도 없는 김해을에 공천을 받아 출마는 하였으나 현재의 추세로 보아 당선은 어려워 보인다.
함운경은 운동권 출신으로 한동훈에 의해 정청래에 대한 자객공천을 받았으나 정청래와는 오차 범위 밖의 지지율로 당선은 어려워 보인다.
거기다 비윤 유승민은 출마는 하지 않았으나 국민의힘이 남아 여당 내 非尹 非韓의 중심이 되고 있다. 조해진이나 함운경에 비하면 국민의힘에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다,
이들 세 사람의 윤석열 비토는 시작에 불과하다. 총선일이 다가올수록 더 많은 출마자가 노골적으로 윤석열에 대한 비판뿐만 아니라 한동훈에 대해 비판하는 출마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갈수록 내부적으로 단단해지고 있는 민주당에 비해 국민의힘은 내부 분열이 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에서는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부당하게 공천에서 배제되었다고 생각하는 인물이나 출마 포기를 종용받은 인물들은 공격의 대상을 한동훈으로 삼을 것을 보인다. 국민의힘이 완패하면 그 책임을 공천을 잘못한 한동훈한테 물을 것이기 때문이다.
총선 후 국민의힘은 심각할 정도의 갈등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에서 공천을 받거나 비례공천을 받아 당선된 출마자들은 총선 패배의 책임론으로 인해 친윤, 친한, 비윤비윤 등 4-5개의 세력으로 분파될 수 있다.
윤석열 정권은 야당과 국민의힘 내부의 세력들에 의해 내각 총사퇴 압박에 내몰릴 것이고 윤석열이 내각 총사퇴를 받아들이면 정권은 허수아비가 될 것이고 이를 거부하게 되면 일부의 의원이 야당과 함께 윤석열 탄핵에 돌입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은 풍전등화에 놓이게 될 것이다, 자업자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