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산(100m). 상월산(180m). 월각산(276m). 죽지봉(208m). 대포리봉(244m). 송선암씨산(176m).깃대봉(광주423). 벌태산(165m)/광주광역시 북구
산행일자; 2023년 8월 19일 (토) .날씨; 맑음(습하고 무더움). 산행거리;8.4km 산행시간; 약3시간25분(11;15~14;40)
교통편; 안내산악회
비용;40,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비용 포함)
산행코스; 월산버스정류장-개천변길-산길 진입-월산(100m)-상월산(180m)-월각(삼각)산(276m)-죽지봉(208m)-대포리봉(244m) (급우측 임도길내려서)-잡목구간 -송선암씨봉(176m)-깃대봉(△광주423)- 임도 건너-벌태산(165m)-장동마을버스정류장
■ 월산(100m) 상월산(180m) 죽지봉(208m) 송선암씨산(176m)깃대봉(광주423) 벌태산(165m)은 광주광역시북구 삼각동,장등동에소재한 산이다.국립지리원 지도상 대포리봉(244m) 과 월각산(月角山, 삼각산276m ) 은 그이름이나오는 산이고 월산(100m) 상월산(180m) 죽지봉(208m) 송선암씨산(176m)깃대봉(광주423) 벌태산(165m)은 무명봉인데 오록스맵Korea지동에 그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 대포리봉(244m)은 광주광역시의 북구건국동 관할 생룡 · 효룡동과 석곡동관할 장등동 경계에 있는 산이다(고도:244m). 무등산에서 북쪽으로 내려선 능선이 도동고개 를 거쳐 삼각산에 오르고, 다시 북쪽으로 이어져 솟아있다. 북서쪽 기슭에 생룡 마을이 있으며, 서쪽은 모산, 북동쪽은학동 , 남동쪽은 장등 마을이 위치한다.
큰 봉이라는 의미로 대봉우리>대볼봉>대폴봉>대포리봉>죽취봉(竹翠峰)으로 변한 듯하다. 대나무가 많아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대동지지』에 견훤대(甄萱坮)가 기록되어 있다. 후백제 견훤이 주둔한 '견훤대' 터로 짐작된 곳이며, 아래에는 말을 먹인 방목평(放牧坪)도 있었다. 생룡 마을에서 금성 범씨 여환의 묘와 더불어 꼭대기까지 토성(土城) 흔적이 보인다. 주변 마을 논밭에서도 백제 토기와 기와조각들이 발견된다. 1894년 범경준 일행이 피난처로 택하고, 주위 5리에 걸쳐 우치산성(牛峙山城)을 쌓았다는 얘기도 전한다.
■ 월각산(月角山, 삼각산276m )은 광주광역시의북구삼각동 과 석곡동 관할 장운동 경계에 있는 산이다(고도:276m).무등산에서 북서쪽 대봉으로 내려선 능선이 도동고개를 거쳐 솟아있다. 북구의 진산으로 여겨진다. 현대지형도(1:50,000)에는 월각산(月角山)으로 나오나, 「1:10,000 지형도」에는 삼각산(318m)으로 되어 두 지명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현 북쪽 5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지도』에도 삼각산이 표기되어 있다. 본래 바위가 많은 산의 의미로 돌부리>달부리>월각 또는 석각(石角)이 되어 석이 '삼(三)'이 되어 '삼각산(三角山)'이 된 듯하다.
옛 절터에 뿔이 3개 달린 소가 있다거나 지맥이 세 군데로 뻗어 칭했다는 설이 있다. 도읍지에 있는 뫼를 '서울산'이라 하므로 주변이 광주의 고읍이라는 주장도 있다. 『대동여지도』에 광주 '고읍(古邑)'이 표기되어 있다. 삼각산 아래에 '큰안골', '역골'이 전하고, 『한국지명총람』에 "이곳에 옛날 광주 고을이 있었다."라고 기록되어있다.
한송(寒松) 이응상(李應相, 1883~1937)의 "삼각산에 내리는 노을[三角落霞]"로 시작되는 시가 전한다. 정상에 깃대가 세워져 '깃대봉'이라고 하며, 북구 일대가 조망된다. 남서사면 아래 오치동 관할에 1953년부터 향토사단이 있고, 남사면 능안동에는 광주 노씨 시조설단 등이 있다.월각산( 276.0m 이정표는 삼각산이다)은 마멸된 삼각점(광주22)은 데크 중간에 자리 한다
■장원지맥(삼각지맥)은 신상경표 개정증보판 당시 30km 이상되는 146개 지맥 중에서 주행 변경이나 재 측정으로 지맥 반열에 합류한 11개 지맥(백하, 무성, 사금, 칠보, 철성, 청명, 오토, 봉화, 분적, 쇠치, 용천북) 이후 최근에 추가된 5개 지맥(와룡, 주읍, 장원, 만덕, 선은) 중 하나다. 장원지맥은 호남정맥의 무등산 서석대에서 분기하여 중봉(910.3m)으로 내려서고 장원봉(387.5m), 노고지리산(257m), 삼각산(276.0m), 잘봉산(172.9m), 운암산(133.9m), 대마산(92.4m) 을 지나 유천동 유덕마을로 이어지고 유덕마을에서 직선거리3k를더 가야 광주천이 영산강과 합류하는 곳에 이르게 되지만 마루금이 분명치 않아 신상경표에서는 이곳 유덕마을을 산줄기의 끝지점으로 정리합니다. *하지만 지금 유덕마을은 옛 모습을 찾기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교각숲에 묻혀버려 어렵기에 유촌교에서 광주천을 따라 약 3km를 주행하여 광주천과 영산강이 만나는 그 현장을 목격하면서 유덕마을에서의 아쉬움을 달래는 산객들도 점 점 늘어나는추세랍니다.
■ 광주 광역시(光州廣域市)는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다.전라도 의 최대도시이며 광주권의 수부도시다.광주학생 항일운동의 도화선이었고 4.19혁명, 5.18민주화운동,6.10민주항쟁 이 일어나는 등 한국 근현대사에 굵은 획을 남긴 도시다.
光州. '빛고을'이라는 순우리말 이 있기에 붙여서 빛고을 광주라는 표현으로도 많이 쓰인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10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도시의 행정구역에 도시의 평균 고도와 1,000m 이상 차이 나는 산이 있는 도시다. 이란 테헤란이나 멕시코의 멕시코시처럼 아예 도시 자체가 km급 고지대에 자리잡은 경우는 흔하지만 도시의 행정구역 내에서 이렇게까지 고도 차이가 큰 경우는 광주광역시가 유일한 것이다. 지리학적으로 보았을 때, 도시 안에 1,000m급 산이 있는 것은 도시 자체가 성장하기에 절대불리한 조건이므로 다른 곳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광주광역시는 화산체의 분지평야지대에 위치한데, 이 평야 지형이 광활해서 가능한 것이다.
전라남도에서 분리된 광역시로 전라남도에 둘러싸여 있고 현재도 공동혁신도시, 전남도발전연구원-광주시정연구원 통합 등 전라남도와 협력을 많이 하고있다. 광주 주변에선 나주시와화순군,담양군 이 위성도시화 되어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그 외에 장성군,함평군,영광군,곡성군 까지 영향력을 미친다.광주권출신이 광주광역시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한다. 1986년부터 1995년까지 광주광역시의 행정구역 명칭.
1986년 11월 1일 법률 제3808호인 「광주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어 부산·대구·인천에 이어 네 번째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광주가 전라남도에서 공식적으로 떨어져 나온 11월 1일은 한동안 '광주시민의날'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승격된 광주직할시는 3구 72동이었고, 행정구역의 면적은 215.11㎢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1988년 1월 1일 법률 제3963호인 「광주직할시와 전라남도의 관할지역 변경 및 송정시·광산군 폐지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어 송정시와 광산군 전역이 광주직할시 에 다시 편입되었다. 또한 기존의 동구.서구.북구 외에광산구 가 설치되면서 면적은 501.44㎢로 크게 늘어나게 되었고, 4구 83동 9출장소를 관할하게 된다.1995년 1월 1일 광주직할시의 명칭이 광주광역시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3월 1일에는 서구를 분구해 남구가 설치되면서 동구.서구.남구.북구.광산구 등 5개 구가 되었다.
광주직할시의 지형은 대체로 동쪽이 높고 중앙부와 남서쪽은 낮다. 동쪽에 광주의 진산인 무등산(無登山) 을 비롯한 많은 산지가 분포하고, 인근 전라남도 화순군과의 경계 지역에는 너릿재 등 고개가 많다. 주요 하천으로는영산강 의 본류를 형성하는 극락강· 황룡강, 시내를 북서 방향으로 흐르는고앙주천 등이 있다. 이 밖에도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시내를 관통하는 용봉천,서방천,동계천, 증심사천 등이 있다. 평야는 극락강.황룡강,광주천을 따라 발달하였다.
■ 삼각동은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동이다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2003년 7월 서산동이 삼각동과 일곡동으로 분리되었다.하천을 덮어 도로를 만들어 일곡지구까지 이어져 있다. 배우 문근영,방탄소년단제이홉 이 졸업한 국제고등학교 , 방송인허지웅이 졸업한고려고등학교,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와 남도향토음식박물관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제31보병사단이 삼각동의 동쪽 부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문흥동에 있었던 광주교도소가 2015년 10월 이 곳으로 이전하였다.
석곡동은 관할 법정동으로 금곡동·덕의동·망월동·운정동·장등동·청풍동·충효동·화암동이다. 인구는 2352명1955년 7월 망월리·운정리·장등리·청풍리·화암리가 광주시에 편입되고, 1957년 11월 담양군 남면(현 가사문학면) 금곡리·덕의리·충효리가 추가로 편입되어 석곡출장소 산하 장운동·청옥동·충효동이 설치되었다. 1980년 4월 북구 설치와 동시에 석곡출장소가 폐지되었고, 1998년 9월 장운동·청옥동·충효동이 합병되었다. 통합된 동 이름은 예전 광산군 석곡면 및 석곡출장소에서 따 왔다. 동 행정복지센터는 원래는 청옥동 동사무소 건물을 쓰다 망월동으로 옮겼는데, 담양군(고서면)과의 경계(장운천) 코앞에 있다. 행정복지센터 뒤 다리(망월1교)만 건너면 바로 담양군이다.
무등산자락에 있어 넓이에 비해 인구밀도가 매우 낮다. 면적은 광주시 행정동에서 가장 넓으나 주민은 3천명이 안 될 정도. 석곡동에서 시내로 나가는 길목인 장등동에는호남고속도로동광주TG 와 중소기업 호남연수원이 있다. 시내버스 공영차고지가 있어서 석곡동 중에서는 교통사정이 가장 나은 곳.
흔히 '망월동 묘역'이라 불리는 국립 5.18민주묘지(신 묘역)는 실제로는 망월동이 아닌 운정동에 있다. 구 묘역 역시 건너편 수곡동(행정동 건국동)에 있다. 사실상 행정복지센터 소재지인 망월동이 석곡동 전체를 대표하는 이름이 돼버린 듯. 망월동에서 석곡로를 따라 남쪽으로 더 내려가면 나오는 청풍동 또한 산속 시골마을의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청풍학생야영장과 제4수원지가 이곳에 있다. 이곳을 지나가는 시내버스로는 배차간격 26분짜리인 석곡87번이 있다. 제4수원지 남쪽의 화암동에는 지산유원지부터 이어지는 등산로와 충민사가 있다.
충효동은 광주호 남쪽에 있는 시골마을이며 담양군 남면으로 가는 길목에 해당한다. 환벽당, 취가정이 있다. 충효동에서 남쪽으로 더 내려가면 무등산의 북쪽 등산로의 기점인 금곡동이 나온다. 무등산의 북쪽은 거의 금곡동 소속이라 봐도 무방하며, 무등산 천왕봉과 군용 통신소,MBC와 KBS 의 송신소도 주소상으로는 금곡동에 속한다(참고로 KBS 송신소는 동구 용연동 소속). 동 북쪽의 충장사와 남쪽의 원효사도 마찬가지. 이곳을 지나가는 시내버스로는 배차간격 1시간짜리인 충효187번이 있다. 충효동에 있는 광주동초는 석곡동 전체에 있는 유일한 학교이다.
충효동에서 광주호를 따라 서쪽으로 가면 나오는 덕의동은 마을이라고는 없이 민가 몇 가구가 있는 걸로 끝. 도로망도 부실한데다 시내버스조차 안 들어와서 동구 밖 석제 정류장까지 나와야 한다.
2023년08월19일(토).(06;35)가양역에서 9호선 급행으로 (06;59) 신논현역 도착 8번출구나와 (07;05)아리솔마운틴 클럽 관광버스에 탑승합니다. 정기사님이 교통사고를 당해(빠른 쾌유를 빕니다) 운행을 하지 못한 관계로 배하사님이 급히 수배한 경기고속28인승 버스입니다.
28인승버스의 젊은 기사님이 싹싹하고 좋군요. 28인승버스 를 타면 장거리인 경우는 안락해서 좋습니다.그래도 장단점은 있습니다.단점은 정해진 코스외에 다른 곳 운행을 사절한다는 점입니다.오늘 28인승 버스는 에어컨은 빵빵하게 나오는데 차안 냉장고가 고장이나서 하산하여 먹을 막걸리가 걱정이되는데 들머리에서 대원들 내리고 젊은 기사님이 마트에서 종량제봉투에 얼음사서 물부어 냉장고에 넣고 막걸리냉장 시킨 덕분에(cf 아이디어는 조종창님이 냈습니다) 하산하여 대원들이 시원하게 마실수있었습니다.
차는 중간 여산휴게소에서 약10분(09;50~10;00) 휴게시간 갖고 (09;40)북광주TG를 빠져나와 산행들머리로 잡은 (11;15)광주광역시 일곡동 월산버스정류장에 도착후 하차하여 바로 산행 작합니다.
0km 0분[삼각동 월산 버스정류장](11;15)
(11;15) 삼각동 월산 버스정류장입니다. 산행시작합니다.
11;15월산마을표지석입니다.도로건너 천변을 따라가 산길에 붙습니다.
0.7km 10분[ 월산](100m) ( 11;25)
(11;25)월산(100m)정상입니다
11;26 월산(100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38 이정표(삼각산정상1km/양지월산마을0.6km/원삼각마을0.4km)입니다.
11;40 부부소나무입니다.
1.5km 25분 [상월산](180.1m)(11;40)
(11;40) 상월산(180.1m) 정상표지판입니다.청산수산악회에서 부착했습니다
11;40~11;42)[2분] 상월산 (180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2.0km 39분 [월각산,삼각산](276m)(11;54)
(11;54) 월각산(삼각산276m)정상 삼각점(판독불가)입니다.
11;54 월각산 (276m)정상 인증입니다.
11;54 월각산(276m) 정상 표지기입니다
11;54~11;55[1분] 월각산(276m) 정상 인증사진2 입니다
11;56 "빛고을 산들길" 표지목입니다
11;57 풍광
12;04 급경사 목책계단길입니다.
12;11 이정표(죽지봉1.5km/시민의솟음길5.9km/삼각산정상800m)입니다
12;15 대나무 숲입니다
12;31 이정표(죽지봉0.3km/삼각산1.6km)입니다.
12;33 소나무 숲길입니다
4.0km 85분 [죽지봉](208m)(12;40)
(12;40) 죽지봉(208m)정상입니다.
12;40 죽지봉 정상표지목겸 이정표(효령노인복지타운2.6km/우치공원1.2km/삼각산정상2.1km)입니다.
(12;40) 죽지봉(208m) 정상표지목겸 이정표 인증사진입니다.
12;40 표지기입니다
12;41 정3품 최공묘지입니다
12;48 잡초무성한 묘지2기입니다.
12;54 목책계단 오름길입니다
4.7km 102분 [대포리봉,죽취봉](244m) (12;57)
큰 봉이라는 의미로 대봉우리>대볼봉>대폴봉>대포리봉>죽취봉(竹翠峰)으로 변한 듯하다. 대나무가 많아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12;57) 대포리봉(244m)정상입니다.
(12;57) 대포리봉(244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57) 대포리봉(244m)정상 삼각점(판독불가)입니다
12;57 준.희님이 부착한"죽취봉244.2m)표지판입니다.에이원 회장님 시그널도 반깁니다.
12;57 준.희님이 부착한"죽취봉244.2m)표지판과 에이원 회장님 시그널 인증사진입니다.장원지맥은 죽지봉에서 잘산봉(173m)으로 가지만 아곳 정상에 오르고 싶은산으로 표지판이 부착되었습니다.
13;13 잡목구간이 지나고 숲길로 들어섭니다.
13;15 묘지2기 (관리가 안되어 무성한 풀이 웃자란)입니다.
13;30 4거리안부입니다
6.6km 144분 [송선암씨산](176m)(13;39)
이름도 특이하지만 그유래는 알지 못합니다.
13;39 송선암씨산(176m)정상입니다.
13;39 송선암씨산(176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6.7km [깃대봉](△광주423) (176m)
송선암씨봉에서 0.1km /2분 거리 삼각점봉입니다.
(13;41~13;51)[10분] 깃대봉](△광주423) (176m) 정상 삼각점 (△ 광주423)입니다.비너가 고장이나서 표지기를 흘리고 가다보니 약0.3km10분을 힘들게 왕복합니다.
(13;41~13;51)[10분] 깃대봉](△광주423) (176m) 정상 표지기 입니다.비너가 고장이나서 표지기를 흘리고 가다보니 약0.3km10분을 힘들게 왕복합니다.
(13;41~13;51)[10분] 깃대봉](△광주423) (176m) 정상 삼각점 인증사진 입니다.비너가 고장이나서 표지기를 흘리고 가다보니 약0.3km10분을 힘들게 왕복합니다.
13;57 묘지입니다
13;59 풍광1
13;59 풍광
14;02 가야할 벌태산(165m)입니다
14;03 도로에 내려섭니다 도로건너 산길로 들어 섭니다.그늘의자가 쉬어가라고 유혹하지만 쉬다보면 도로 따라 탈출할 것 같아 ~~
14;10 벌태산(165m)은 낮아도 잡목구간으로 오름길이 힘듭니다.
7.6km 184분 [ 벌태산](165m) (14;19~14;22)[3분]
(14;19) 벌태산(165m) 정상은 칡넝쿨과잡목으로 가득하여 문정남 선생님 표지기옆에 표지기 겁니다.
(14;19) 벌태산(165m) 정상은 칡넝쿨과잡목으로 가득하여 문정남 선생님 표지기옆에 표지기 걸고 인증합니다.
14;21 우회하여 벌태산 (165m)정상 근처로 접근합니다.
14;19~14;22[3분] 벌태산 (165m)정상입니다.
14;19~14;22[3분] 벌태산 (165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38장동마을 도로에 내려섭니다.
14;38 고선생 경모비입니다
8.4km 205분 [장동마을 표지석과 버스정류장](14;40)
14;40 장동마을 표지석과 버스정류장입니다
14;40 장동마을 입구 산악회버스에서 산행종료합니다
14;40~15;20[40분]장동마을 입구에 기다리는 산악회 버스안에서 시원하게 냉장된 막걸리1병 꺼내 목마름 달랩니다.대충 짐정리하고 슬리퍼 갈아신고 옷보따리 챙겨 다슬기가 서식하는 청정 개울 물에서 모처럼 알탕즐기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버스로 돌아와 함께 고생한 누리님과 막걸리1병 더 건배 무사산행을 즐기면서 후미들 기다립니다.습도가 많고 무더운 날씨임에도 그나마 등로가 좋아 예정시간에 맞춰 모두들 무사히 도착되어
(15;20)장동마을 을 출발 들머리근처 (15;30)일곡동 일곡 추어탕집에 도착 약50분 (15;30~16;20) 아리솔 마운틴 클럽이 제공한 추어탕과 조종창이 쏜 추어 고추튀김안주 추가된 푸짐한 식탁에 오익근 선배님이 준 소주반컵으로 남도 맛갈 식사를 즐깁니다.
(16;20) 식당을 출발 30년 광주생활을 하신 고병선 선배님이 고향 방문 기념으로 시원한 아이크림 제공 이동하는 차안에서 즐깁니다. 조종창님 ,고병선선배님 감사히 잘먹었습니다.
차는 중간 정안휴게소에서 버스 주유와 함께 휴게시간 약10분(18;25~18;35) 갖고 (19;50)양재역도착 (19;55) 3호선 타고 고속버스터미널에서 (20;05)9호선 환승 (20;26) 가양역 도착(20;35) 귀가 합니다.
로커스트랙지도
오록스맵 Korea트랙지도
산행기록표1
산행기록표2
e-동아트랙지도
실트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