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관
② 오른쪽 경정맥을 통해 삽입
③ 오른쪽 상단 상대정맥에 카테터의 tip 위치
④ 카테터를 피하에 삽입하여 세균의 침입을 최소화
[ Dacron cuff
- 우리 몸의 피하터널 중간에 위치
- 해부학적 방어역할 (fibroblast 의 성장을 촉진시켜 피하터널을 밀폐고정시킴)
- 터널감염 예방
- Dacron cuff 가 피부 밖으로 노출될 경우 감염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카테터를 제거해야 함
2) 히크만 카테터의 종류
-성인은 보통 12Fr를 사용

3) 사용목적 및 용도
=>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경우 삽입
① 강한 자극성의 항암화학요법 투여시
② 지속적 고영양 수액제 (TPN) 주입 필요시
③ 말초혈관의 사용이 어려울때
④ 잦은 채혈검사와 수혈 필요시
⑤ 조혈모세포 이식시
2. 히크만 카테터 삽입
1) 삽입 전 준비 (병동)
- 시술장소 ; 주로 혈관조영실 (필요시 전신마취하에 수술실에서 시행하기도 함)
- 금식 ; 4시간
- 동의서 ; 동의서 작성 (출혈, 감염 등의 위험성)
- 수혈 ; coagulation battery 확인
혈소판 50,000/mm3 유지 --> 50,000 이하시 사전 혈소판 수혈
- IV 확보 ; 22G 이상
- 전처치 ; 필요시 예방적 항생제, 진통제 투여
2) 삽입과정 ; 1시간 정도 소요
① supine position 을 취하고 시술부위 surgical preparation
② Venous entry site 부분마취
③ Venous entry site 와 exit site 사이의 skon 밑으로 tunnel을 만듦
④ Catheter를 Rt. atrium 2cm 위 SVC에 삽입
⑤ Vasectomy site suture & venous entry site 와 exit site dressing


3) 삽입 후 간호
① V/S check & supine position 유지
② Exit site 와 entry site 의 출혈 및 oozing 여부 확인
- 출혈, oozing 시 occlusive dressing 유지
- 필요시 모래주머니로 지혈 또는 혈소판 수혈
③ 카테터의 개방성 확인
- 주치의가 X-ray 를 통해 catheter tip 의 위치를 확인 후 당일부터 사용 가능

4) Stich out
- 실밥제거는 entry site 만 시행
- Exit site 는 카테터 고정을 위해 봉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정기적인 소독 필요

3. 히크만 카테터 관리
1) 소독
① 준비물품
- Dressing set
- 10% 베타딘 소독액
- 멸균거즈 또는 Transparent (ex. tegaderm)
- 거즈 드레싱은 1회/일, 테가덤 드레싱은 2회/주(3~4일 간격) 으로 교환
② 소독방법
- 손씻기
- 기존의 드레싱 제거
- 주변 피부상태 관찰
- 베타딘 소독솜으로 안에서 밖으로 원을 그리며 소독. 3회 반복
- 베타딘이 마른 후 거즈 또는 테가덤 붙이기
2) 개방성 (patency) 유지
① Heparinization (카테터로 지속주입을 하지 않을 경우)
- 헤파린 희석액을 주입하여 카테터가 막히지 않도록 함 (1회/주)
- 헤파린 희석액의 농도 ; 50unit/ml
- 헤파린 희석액의 주입량 ; 4ml
] 헤파린 희석액 만들기 ; N/S 100ml 1 병과 heparin 25000unit/vial(5ml) 1병을 준비
N/S 100ml 에 heparin 1ml(5000unit) 을 희석 ==> 50unit/ml
② Flushing (카테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 생리식염수를 정기적으로 주입하여 카테터 내 혈액이나 약물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예방
- 생리식염수 10ml를 주입함
- 시행시기 ; 수혈과 투약 전후, 혈액 채취 후, 헤파린 희석액 주입 전, TPN이나 고농도 수액이 들어가고 있을 때
- IVIG 나 Ampho-B와 같은 약물의 사용 전후에는 5%D/W 10ml 로 flushing 함
4. 주요 문제들
1) Loss of blood return
① 증상
- 주사기로 흡인시 혈액이 나오지 않는 경우
- 수액주입은 되기도 하고 되지 않기도 함
② 예방
- 정기적 flushing
③ 관리방법
- 자세변경, 흉곽내압을 변화시켜보고 크게 기침하도록 함 (sitting/lying, trendelenberg position, coughing, deep breathing,
raising arms 등)
- 꼬이거나 접힌데는 없는지 점검
- 생리식염수로 밀고 당기기 (pull & push maneuver)를 여러차례 시도 (강한 압력은 피함)
- 50unit/ml 의 헤파린 용액 4ml로 flushing
- 위의 방법으로도 blood return 이 안될 경우 X-ray 로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하고 thrombolytic agent 의 사용을 고려함
[ Thrombolytic agent 사용방법
- 희석방법 ; Urokinase 20,000unit 1vial + N/S 4ml mix (5000unit/ml)
- 2ml 가량 주입하고 dwell time 30 분 후 regurgitation 하여 patency를 확인
- 주의사항 ; thrombolytic agent 사용 전에 반드시 coagulation battery결과 확인
2) Occlusion
① 증상 ; 수액주입이 안되거나 약물 투여시 저항이 느껴짐
② 예방 ; 약물 주입 사이에 flushing
③ 관리방법 ; 혈액에 의한 폐색이 확실한 경우 urokinase를 사용 (사용방법은 위와 동일)
48시간 이내에 3회까지 시도할 수 있음
3) Infection
① 증상
- Exit site 나 catheter 가 삽입된 tunnel을 따라 감염증상 발생 (발적, 동통, 부종, 분비물, 열 등)
- Catheter 내 감염증이 있을 경우 균혈증 발생
② 예방 ; 철저한 무균술과 dressing으로 예방
③ 관리방법
- Blood culture 시행 후 적절한 항생제 투여
- 필요시 catheter 내에 항생제 locking (주로 vancomycin 사용)
- Catheter 제거 --> catheter 감염이 확실한 경우
4) Dislodgement
① 증상 ; 카테터 길이가 길어지거나 Dacron cuff 가 빠져나온 상태
② 예방 ; 카테터가 늘어져 있지 않도록 함, 테이프 등으로 고정
③ 관리방법 ; 카테터 제거
5) Venous thronbosis
① 증상 ; 카테터가 삽입된 쪽으 어깨, 목 또는 팔쪽으로늬 불편감, 통증, 또는 쇠골하정맥과 목에 부종
② 치료 ; 항응고요법으로 치료 --> 효과 없으면 카테터 제거
6) Catheter damage
① 증상 ; 카테터가 새거나 잘려진 부분이 있음
② 예방
- 카테터 가까이에서 가위 사용을 피함
- 날카로운 물건을 멀리 둠
- 카테터 사용시 강한 압력을 적용하지 않도록 함
③ 관리방법 ; 카테터 제거
--> 손상정도에 따라 repair kit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repair kit을 이용하기 보다는 제거함
5. 히크만 카테터 제거
1) 적응증
- 치료상 카테터 사용 종료
- 카테터로 인한 문제 발생시
2) 제거방법
① 카테터 출구 부위 소독
② 카테터 끝을 손에 감고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김 --> 갑자기 세게 당기면 카테터 중간 부분이 끊어져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음
③ 2~3분동안 일정한 힘으로 잡아 당기면 Dacron cuff 주위의 섬유조직이 느슨해지면서 빠지게 됨
--> 때에 따라서 Dacron cuff 주위를 mess로 잘라서 잘 빠지게 해야 함
④ Tip culture 가 필요한지 확인하고 필요시 실시
⑤ 출구 부위를 다시 소독하고 필요시 suture
⑥ 모래주머니를 올려 지혈